제목 그대로 국내 지방국립대학교 도시공학 졸업후, 물리학과로 편입 혹은 대학원 생각하고있는 사람입니다.
뭐 물리학과를 가려는 이유는 한마디로 말하자면 하고싶기 때문인데, 원래도 이쪽에 관심이 좀있었지만 개인적인 사정으로 다른과에 진학하게되었습니다.
참고로 물리학계에서 계속 일하고 싶고, 원하는 분야는 소립자쪽(초끈)입니다.
제가 여쭤보고 싶은건,
1. 편입 혹은 대학원을 가려고하는데, 어떤게 더 좋은 방법일지?
-현재 나이는 31살입니다. 취업쪽은 생각이 별로없고, 경제적으로는 괜찮으니 이 부분은 걱정 X, 국내도 알아보는 중이지만, 일본쪽으로 우선 기우는 중입니다. 현재 일본어는 현지에서 알바경력 및 현지 대학수업도 어느정도 따라가는수준입니다. 영어는 드럽게 못해요. 토플 60대 후반
2. 제 짧은 지식으로는 국내대학원의 경우 졸업한 학교와 학점이 가장 중요한것 같은데, 딱히 메리트가 있을만한 대학교를 나온것도 아니고, 더군다나 학점은 아주 개박살이 나서 2점대 중반입니다. 이정도면 가능성이 없는 수준인지?
-물리학관련 과목들은 전부 A~A+를 받긴 했습니다만, 해봤자 일반물리 실험, 기초물리학, 선형대수학등의 기초적인 과목들입니다.
3. 현재 독학으로 일반역학을 공부하고있는데, 또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는지?
-1번에 적었듯 현지대학(제국대)에서 수업을 들을 기회가 있어 들었는데, 과목은 전자기와 수리물리학 두 과목 들었습니다. 언급하지 않은 과목들은 수업및 독학을 한 경험이 없습니다.
물리학과에 다니고 계신, 혹은 대학원등에 다니고 계신 물리학 선배님들 조언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10.13
어딜가든 영어하셔야 합니다. 꼭 토플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텝스나 토익하시면 됩니다.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해서 준비하세요. 편입은 서울대 학사편입 알아보세요. 예전에는 타학교 출신에게 개방이 안되어 있었습니다. 개방되어 있으면 지원해 보세요. 고대 연대도 지원해보세요. 대학원도 SKY로 알아보세요. 물리학과면 가능성 충분합니다. 어찌됐건 영어 하셔야 합니다. 일본? 본인이 더 잘 아시겠네요. 그렇다하더라도 학습하려면 영어 하셔야 합니다.
대댓글 7개
2024.10.13
영어는 필요성을 느껴 공부하고 있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4.10.13
서울대는 여전히 닫혀 있는 것으로 압니다.
2024.10.13
찾아보니 서울대 물천중에 물리학 전공은 학사편입 모집을 하긴 하더군요. 단, 모집 인원이 1명이고 졸업학과에 물리라는 명칭이 들어있지 않으면 되더군요.
2024.10.14
서울대 졸업자가 아닌 경우에도 응시 다격이 두어지나요?
원래 서울대 학사 편입은 30년 전부터 서울대 학부 졸업생에 한해 열려 있었습니다.
2024.10.14
아 넵 서울대 졸업자가 아니어도 응시자격 주더라고요.
2024.10.14
현지에서 전자기랑 수리물리를 수강하셨다고 했습니다.
전자기는 Griffiths, 수리물리는 Arfken 정도에서 무리 없이 좇아가실 수 있었다면 역학, 양자, 열/통계 정도 더 독학하시고 대학원 도전해 보세요.
번외로 왜 초끈을 하고 싶으신 건가요?
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초끈은 한국이나 일본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거의 하지 않는 분야입니다.
90년대 학번들 중에 제일 똑똑하고 수학도 잘 하던 사람들이 선택해서 월가도 가고 돌아와서 교수도 하고 그러는데 최소 미국에서는 alternative gravity 같은 분야로 넘어갔다고 들었습니다.
주변에 혹시 물어볼 사람들 있으면 물어 조시면 좋을 것 같네요. 아니면 이 아래로 입자이론하는 대학원생들이 첨언해 주시면 좋을 듯.
2024.10.15
주변에는 물리학 관련 전문가나 졸업자가 없어 조언을 구하기 어렵습니다 ㅜㅜ 그러면 편입보다는 대학원을 준비하는게 나을까요?
초끈쪽을 하고싶은 이유는 TOE쪽을 하고싶어 관련해서 찾아보다보니 이쪽으로 굳어 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이외에도 하고싶은 분야가 있기는 하지만 제가전공졸업자가 아니다보니 한계가 있어 일단은 막연하게 저런 쪽을 공부하고싶다~ 정도의 마음만 가지고 있습니다. 우주론이나 암흑물질등 이런쪽에도 관심이 있지만 굉장히 두루뭉실한 상태입니다.. 그래도 입자이론쪽은 꼭한번 해보고싶은 마음이 일단 큽니다.
2024.10.13
공부해야할것: 기본적인 4대역학: 양자, 열통계, 일반역학, 전자기 추천교재는 그냥 마리온 or 파울스(역학) 그리피스(전자기) 그리피스(양자역학) 통계는 딱히 정해진게 없는데 blundell이 제 개인적으론 이해가 쉬웠음 일본쪽이면 학점 그렇게 상관이 있지는 않음(대학원 입학시험이 중요) 일단 가고싶은 학교 검색하시면 보통 3개년정도는 입학시험 문제 공개하니까 그걸 보고서 아 뭘해야하겠구나 하시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4.10.13
넵 조언감사합니다
2024.10.15
물리학과가 전필도 많고 해서 편입하시면 졸업하기까지 3년은 써야 될 거 같은데 리스크가 좀 크긴 한데요. 물리학 연구자가 되고 싶으신 이유가 뭘까요? 초끈이론 쪽은 워낙 어려운 분야인데 차라리 실험물리를 한다고 하시면 도시공학 학위로도 물리학과 대학원 진학이 가능하지만 이론 쪽으로 가고 싶으시면 학부 편입을 하셔야 될 것 같긴 한데, 왜 굳이 초끈 쪽을 하고 싶으신지 궁금하네요. 그래도 수리물리랑 전자기 같은 과목들 들어보셨으면 물리학과 학부과정에서 배우는 것들이 초끈이론 관련 교양서적을 보는 거랑은 다르다는 걸 아실 거고, 그럼에도 물리가 하고 싶으면 도전해 보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졸업하신 모교나 해당 지역 거점국립대 물리학과를 고려해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대댓글 1개
2024.10.15
감사합니다. 초끈이론을 하고싶은 건 위 대댓글에 적은 것 처럼 TOE쪽하고싶다는 생각이 막연하게 있어 일단 그렇게 적어둔 것입니다. 비전공자이다보니 물리학관련 분야에 대해 찾아보는데에 한계가 있더군요 ㅜㅜ
실험물리쪽은 아직은 생각이 없고 이론물리쪽, 특히 소립자? 이쪽이 그나마 제가생각하는 분야랑 비슷한것 같아 일단을 초끈이론이라고 말해둔것입니다. 제가 비전공자라 이쪽 분야는 정확히 어떻게 나눠지는지 인터넷으로 찾아보는것 외에는 알방법이 없더군요..
일단은 교양서적보는것과 실제 물리학은 다르다는 것은 수업듣기전부터 어느정도 알고있었고, 오히려 그 부분이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모교는 이학부(자연과학)가 아예 없어 힘들것같고, 집은 서울이라 서울쪽이나 물리학과기준으로 좋은 학교위주로 생각중입니다.
2024.10.13
대댓글 7개
2024.10.13
2024.10.13
2024.10.13
2024.10.14
2024.10.14
2024.10.14
2024.10.15
2024.10.13
대댓글 1개
2024.10.13
2024.10.15
대댓글 1개
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