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재학중인 학교 졸업 후 바로 박사코스 밟을 수 있는데, 만약 가게되면 AI 쪽일것 같아요. 아직 3학년이라 졸업논문 주제는 정하지 않았지만 큰 주제로는 spatial ai랑 nlp에 관심있습니다. 월급 300만원 받으면서 박사 학위 따는데까지 4년 걸린다는데, 박사학위가 있으면 바로 취업해서 4년일한것보다 더 좋은 점이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11.09
리서치에서 거리 먼 엔지니어링 할거면 별 차이 없음
2024.11.09
4년안에 졸업하면 그거슨 뉴스에 나올 일이여
2024.11.09
'4년만에 박사를 준다' 는 '4년만에 박사로 성장할 수 있다' 와 다르지요. 하기 나름이겠지만 보통 사람이라면 하나의 주제로 박사학위논문 저술까지 5~7년정도는 수련을 합니다.
그 기간을 겪고 취업하는 것과 현업에서 그 시간동안 일하는 것의 차이는 여러가지가 있지요. 더 좋다 나쁘다 할 수 없는, 가치관의 영역도 있기 때문에, 남이 결정해줄 수 없습니다.
금전적인 부분만 보면, 바로 취업하는게 최소 10년간은 무조건 앞서갑니다. 저희 쪽에서는 학사와 박사 계약연봉이 2~3천가량 차이나는데, 학사가 약 5년간 벌어들인 연봉을 저 차이로 따라가려면 시간이 오래걸리고, 투자 등을 생각하면 더 걸릴 수 있죠.
직급은, 박사하고 취업하는것이 더 높고요.
직무에 대해서는, 박사에게 요구하는 것과 학사에게 요구하는 것이 다릅니다. 박사가 더 자기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고위직 승진도 박사에게 좀 더 관대한 편이고요. 당연히 업무능력이 제일 중요하지만, 늦게 입사한 박사들도 1년이면 실무 다 따라잡습니다.
이밖에도, 학문적 성취, 사기업 취업 이외에 출연연이나 교직 등의 진로 가능성, 학계/업계 인맥 등 차이가 생길 수 있는 영역은 정말 많고요, 뭐가 좋다 나쁘다 하기 어렵습니다.
2024.11.09
학사졸업후 3.5년후 박사학위 땄음. 장점 같은 나이대 보다 짬많고 승진 빠르고 연봉 높음. 단점 취직할때 애를 꽤 먹음. 나이가 어리다느니.. 연구실적에 대한 불신 등
온화한 우장춘*
2024.11.10
학부 꽤 좋은데 같으신데, 박사 6년내 취득 확실하면 무조건 하는게 이득.
1. 100세시대 사회에서 평생 박사 소리들음 그 위에 뭐 없음 (생각보다 석사만하면 이거 평생 신경쓰임) 2. (같은 능력일지라도) 교수, 정출연, 회사 고위직 승진 훨씬 수월 3. (같은 능력일지라도) 해외 취업 해외체류 가능성 상대적으로 높음. 포닥하다 특정나라 취업연계 쉬움. 4. 학사보다 6년 소득이 늦지만, 평생소득으로 보면 훨씬 많음. 간혹 괜찮은 학교 교수하거나 해외취업하면 2~6억 사이 받음 (학사보다 해외취업, 교수 가능성 월등히 높음)
위에는 정량적으로 표현해본 장점이고 정성적으로 6년동안 제대로 했다면 어떤 문제가 와도 해결해볼 수있겠다는 자신감과 문제의 해석 방법 자료수집 접근 등 돈으로 살수 없는 많은걸 득했음. 다만 박사과정중에는 힘들어서 저런 장점이 눈에 안보이고 걍 탈출하고 싶엇던 ㅋㅋ
2024.11.09
2024.11.09
2024.11.09
2024.11.09
2024.11.10
대댓글 1개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