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기업과제만 하는 랩실

2024.11.17

6

2549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11.17

1. 석사 1학기라면 박사 말 듣고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 맞습니다. 기업 과제면 과제 완성도나 도출할 업적이 상당히 중요할텐데 석사과정생 말을 들어줄 방은 적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기업과의 관계, 추후 연구비 선정 문제 등이 있죠). 처음에는 사수 말 따라서 능력 흡수하고, 스스로 공부하고 어느 정도 능력이 되면 그때 의견을 피력하는 것이 맞다 생각합니다.
2. 현재 랩이 맞지 않다면 기업 과제가 아닌 국가 과제만 운영하는 랩을 가는 것이 속성에 더 맞을 수 있습니다. 각각 장단점은 다 다르니 어느 쪽이 더 맞을지 잘 고민해보세요
3. 잦은 음주 문화는 랩바랩입니다. 저도, 제가 아는 분들의 랩도 잦은 음주 문화 전혀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1.17

조언 감사드립니다.

어쩌면 저의 문제도 있었을 것 같네요. 계속 불만이 쌓이다 보니 부정적인 생각에 사로잡혔던 것 같습니다.
이유없이 저를 욕하고 다니시는 사수님을 보며, 뿐만 아니라 실험은 다 저희한테 시키고 본인은 본인 취미활동 즐기시는 것을 보며 일꾼이라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아직은 제 의견을 피력할 능력이 부족하기에 따르는 방법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저의 마음을 고치고 배우려고 해보겠습니다.

조언 덕분에 반성도 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1.17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를 할지 기업체를 갈지 알수없지만 기업과제라고 너무 한수 아래라고 보겠지만 만일 교수가 못된다면 회사에서 어짜피 할일이에요. 대부분 연구원들은 기업체 과제에 해당하는 일을 하게되요. 미리 회사 경험한다고 생각하고 업무에 임하는것이 좋아요. 논문 연구도 중요하지만 실제 상용화 연구도 중요해요. 교수들이 기술 창업해서 대부분 성공하지 못하는데 실제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미리 체험해보는것도 중요해요. 실험실연구와 현장 연구는 천지차이더라고요. 선배들 보면 한심한 사람 더러있어요. 직장이나 연구직 가더라도 그런 사람 더러있어요. 이상적인 연구실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되요. 술문화가 없으면 뭔가 다른 나쁜 문화가 있기마련. 심지어 아예 연구실에 무관심한 랩실도 있거나 팀을 와해시키는 사람도 있고 하여간 별별 사례가 많아요. 그리고 석사는 시키는 것 열심히하는 과정이에요. 일단 밑에서 굴러보고 이런점은 나쁘다 생각되는것이 있으면 기억해두고 본인이 그자리가면 그 악습을 폐기하시면되요. 박사진학안하더라도 비슷한 업종 팀장가게 되면 어짜피 겪으니깐. 선배들이 그렇게 행동하는데는 이유가 있더라고요. 나중에 깨닫는경우도 있어서리.

대댓글 1개

2024.11.18

네,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하고 배우겠습니다.
선배님으로써 정말 와닿는 충고 감사드립니다.
우선 주어진 일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면서 더 성장해보겠습니다.
해주신 말씀 항상 명심하고 살아가겠습니다.
새로운 한 주도 화이팅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1.19

석사1학기의 의견대로 진행하여 성공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면 '연구'가 아닐겁니다. 목소리는 배운 다음에 내는겁니다. 아무것도 모르면서 얕은 지식으로 목소리를 내면 무지몽매한 사람이 되는 것이고, 그 목소리를 모두 들어주다보면 연구가 산으로 갑니다. 배운다는 마음으로 임하시고, 하다가 다른 더 좋은 방법이 생각다시면 박사님(박사과정?)께 이런 방법은 어떤지 따로 여쭈세요.

2024.11.20

복 받은 것을 아시는게 먼저예요. 기업과제는 그 랩이 얼마나 핫한지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