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삼성 skt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등등 주요기업에서 ai개발하기 위한 인력 수는 대부분 갖췄고 지금 채용하는 자리 수는 극소수 일부 인원만 더 채우거나 대부분은 그조차도 안하고 걸어잠그는 중임. 채용 포지션은 예전보다 확 줄어든 반면 AI인력 공급은 옛날보다 훨씬 늘어난 상황
업계 상황도 안좋음. 삼성에서도 종기원 AI센터 없애고 사업부로 보내고 SR등등이랑 포함해서 구조조정 하는거 아니냔 얘기 나오고 NC소프트도 옛날부터 ai 연구조직이 꾸준히 1티어 페이퍼 쓰면서 멀쩡히 돌아가던 기관이었는데 칼바람 맞을 준비중이고. 기업 경영상황 안좋아지면 AI같이 당장 수익사업으로 이어지지 않는 선행연구조직이 먼저 칼맞는건 사실 당연하기도 하고
지금시점으로는 LLM빼고는 뭔가, AI 인력 수보다 채용진행하는 포지션이 훨씬적어서 차라리 개발로 시작했으면 네이버 갈 수 있었을거 AI채용이면 다른 훨씬 뛰어난 사람이 지천에 깔려있어서 더 경쟁이 빡센 상황 아닌가 생각함
네이버 카카오급 기업에서 ai포지션 한자리 공고 뜨면 블라인드에서 삼성전자 skt 네이버 라인 막 오만회사 직원들이 그 공고 얘기하고 서로 이직할라고 지원넣고 걍 난리났음아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4.12.09
코어ai 말고 도메인ai
2024.12.09
왜 llm은 뻄?
대댓글 2개
2024.12.09
현시점기준 1티어논문 0편으로도 한 1,2년 라마 튜닝 경험 있으면 좋은회사 취업 잘함. LM은 아직 인력공급이 더 부족한것같음 AI하는 회사들 상당수가 추가채용 진행중이고
2024.12.09
LM도 시간지나면 포화 오겠지 근데 아직은 아닌듯
2024.12.09
멀티모달은?
2024.12.09
님 LLM하세요 ?
IF : 2
2024.12.09
무난한 ai대학원 출신 인력은 과공급이 되어가고, 도메인 특화 AI인력은 공급부족인 곳이 아직도 아주 많음... 다만 도메인 특화되려면 박사나 석사후 수년의 경력이 필요해서 아직 많이 공급될 수 있는 단계가 아님.
대댓글 1개
2024.12.09
옳은 말씀이시네요, 도메인 지식과 AI 지식 고루 갖춘 사람이 아직 흔치 않죠
2024.12.09
LLM도 장담하는데 리서치직군은 내년만 돼도 씨 마를거임. 그냥 엔지니어들이나 좀 뽑을듯. 이미 한국은 foundation model 경쟁에서 절대 안된다는거 여러 회사가 증명했고 c레벨들은 다알고있음. 그래도 리서치 한정이고 그래도 대기업 ml엔지니어정도 자리는 많음. 물론 수준은 낮음. 도메인 에 ai 갖다붙이는 연구는 학계에서도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서 회사들이 인력필요로 할때까지 시간이 걸릴거라고 봄. 대부분의 경우 아직 llm갖다쓰기 이상의 무언가는 없음.
대댓글 3개
2024.12.09
내가 지금 학위를 시작한다면 우선 llm전공은 안할거고 빡센 수학의 core ml로 페이퍼 쓰면서 회사가서 application분야로 뻗어나갈 노력을 할듯
2024.12.10
Application쪽을 하는데 왜 대학원에서 이런연구를함?
2024.12.10
이론*
2024.12.09
사실상 학위만 있지 밥값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것도 문제임
대댓글 1개
2024.12.10
맞긴 함. 수년전에 취직한 연구원들중엔 심지어 인력포화 제일심한 컴퓨터비전 분야같은데서도 1티어 논문 0편인데 억대연봉 연구원 수두룩함.
근데 요즘은 먼저 태어나는것도 일종의 스펙이란 생각을 함. 하다못해 2000년대에도 서울시 공무원중엔 문맹도 있었다는데 취업난이도 말도안되게 낮을때 태어나서 쉽게쉽게 들어간것도 재주고, 현시점 ai인력 수요는 대폭줄어들었는데 공급만 늘어나서 경쟁 빡세지는 상황에 놓인것도 그냥 어쩔 수 없으니 각자 능력으로 극복해야하는거라 생각함
2024.12.10
LLM도 똑같아요 ㅋㅋ
대댓글 1개
2024.12.10
당장 인스타 유튜브에 AI LLM 도배하면서 교육한다는 광고만 수두룩한 것만 봐도... 거품 중 거품 래드오션 중 레드오션이 LLM이죠
2024.12.10
ML 은 수단이지 목적이 되어선 안됨
사실 목적해도 되는데 이건 수학과 가서 수학 연구하겠다랑 동급임
대댓글 1개
2024.12.10
ML 자체가 목적인 기업연구소는 없을걸. 종기원도 그렇겐 안함. 다 ML이 도구인데 그 플젝들이 거의 인원이 다찬거지
가령 예를들면 분류/인식: OCR, 얼굴인식, 오토레이블링 태깅 등등 기반으로 서비스 개발하지만 여기만큼 포화 심한곳이 없음 공간인지: 자율주행이나 차 메이커 회사 및 로봇회사에서 3d estimation SLAM등등 한다고 하지만 여기도 거의포화 생성AI: 네이버 스노우같은곳이나 게임사 등등 컨텐츠사에서 갠 디퓨전 써서 컨텐츠 제작기술 개발하지만 여기도 포화 음성: 음성인식 음성합성 서비스 지원하는 곳들에서 개발은 하지만 충원은 거의안함
대부분 기업에서 실용적인 연구하지 대학원마냥 막 완전 정통 AI 그자체를 토픽으로 연구개발하는 회사 연구소는 거의없음. 다들 자사가 현재 혹은 미래에라도 수익화 할 수 있는 기술에 AI를 쓸 수 있는 연구원 뽑는데 그게 현시점에선 LLM 정도만 탑티어 논문0편에 고작 1년경력갖고도 대기업 억대연봉 채용이 이뤄지고 나머지는 이미 각 회사들이 자기들 연구개발 하려는 프로젝트에 인원 다갖춰놓고 충원 거의 잠궈버린 상태
당연히 회사도 돈복사되는곳이 아닌데 사업화할 수 있는 기술 위주로 연구하지. 지금은 사측의 그 수요를 꽉채워버린거고
2024.12.11
2021년에 항상 나오던 소리 : 배터리 인력 과포화다
2024년 현재 : 없어서 못뽑음
2024.12.11
행동 지능, 로봇 강화학습으로도 포화 시장일까요?
대댓글 1개
2024.12.12
현대차 로보틱스랩은 꾸준히 뽑는것같고, 현대차말고 현대 로보틱스라고 다른회사 있는데 여기도 AI 뽑는것같고, 전에 한화시스템에서 ai하다 온 지원자 본적 있는데 강화학습이었는진 몰겠고
그외엔 강화학습은 주로 게임사에서만 뽑고 네카라 같은 IT회사에선 안뽑는듯. 우리회사도 강화학습 부서는 있는데 일이 생겼다 말았다 해서 타사랑 협력해서 강화학습 과제를 만들어서 일하고 그랬어
2024.12.09
2024.12.09
대댓글 2개
2024.12.09
2024.12.09
2024.12.09
2024.12.09
2024.12.09
대댓글 1개
2024.12.09
2024.12.09
대댓글 3개
2024.12.09
2024.12.10
2024.12.10
2024.12.09
대댓글 1개
2024.12.10
2024.12.10
대댓글 1개
2024.12.10
2024.12.10
대댓글 1개
2024.12.10
2024.12.11
2024.12.11
대댓글 1개
2024.12.12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