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학부때 Q1 썼습니다. 제 경험을 다른 분들과 공유하자면, 교수님의 큰 기여 없어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저는 교수님이 거의 1도 안도와 주셨지만 분야가 달라서 특성이 달랐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또한, 글쓴님은 단독으로 진행하셔서 교수님의 영향이 컸을 것 같네요.
2024.12.18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큰 기여가 없었다니 많은 고민과 노력 끝에 이루어내셨겠습니다 ㅠㅠ
저는 교수님이 멘탈 갈렸을 때 도움을 많이 주셨어요… 원채 멘탈이 약해서 한번 트랜스퍼 당하고 포기하고 싶었을 때 교수님이 이건 무조건 어디에든 출판될 주제니까 끝까지 가자고 하신게 도움이 많이 됐던거 같아요 ㅠㅠ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느 학부 출신인지 알려주세요. 학부생이 IF 15에 단독1저자로 싣는건 탑대학 아니면 거의 불가능해보이는데요. 최근 5년간의 랩 논문을 다 읽었다는거 자체로 탑수준의 능력이네요. 지방대는 대학원생도 논문 한 편 읽는데 일주일이 더 넘게 걸리고 심지어 그렇게 읽어도 제대로 이해를 못해요. 이 글 보고 일반적인 수준의 학부생들도 논문쓰겠다고 되도않는 아이디어로 교수랑 대학원 선배들 괴롭히지 않길 바랍니다
대댓글 5개
2024.12.18
학부 지방거점국립대입니다. 오히려 대학원생이 많지 않아 저에게까지 좋은 주제가 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미국에서 공부한 경험이 있어 영어가 크게 문제되지 않아 논문 읽는게 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 제대로 이해를 못해도 읽다보면 해당 분야 플로우를 알게되고, 그 다음부터는 이해가 잘 되는 것 같습니다.
연구주제는 사실 저도 5번 넘게 바꿨고, 하나 얻어 걸린 것 뿐이지요…
2024.12.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히려 탑대학이면 학부생이 논문 쓰는게 훨씬 힘듭니다.. 좀 낮은 대학이어야 원생수가 적어서 학부생이 해볼만 합니다.
2024.12.19
훼밍웨이님 말대로 지도교수가 대학원생 수주가 어려울때, 학부생을 데리고 하는경우가 많죠. 그게아니면 누가 굳이 학부생데리고 이런저런 연구를 적극적으로 하겠나요. 그중에서 꾸준하고 오랫동안 같이일하는 학부생있으면, 연구아이디어 공유하면서 논문쓰는건 가능하다고 봅니다. 특히나 실험노가다성이 있거나 아이디어로 승부보는 경우에는 가능하고, 이론위주인 곳들은 당연히 어려워지겠죠. - 마지막으로 작성자분도 수고하셨습니다. 좋은논문에 투고하는건 본인연구 동기부여도 줄뿐더러, 유학준비할때는 큰도움이 될겁니다. 하지만 좋은논문이라고 리비전이 빠른건아닙니다.. 혹시 나중에도 그렇게 말씀하실까봐 말씀드립니다.
2024.12.21
보기 안좋습니다. 혹시 학부가 많이 안좋으셔서 가스라이팅 당하며 학위 하셨나요? 본인이 안된다고 남들도 안될거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본인이 안된건 학부가 아니라 본인 문제니까요. 좋은 학부여도 학부생이 논문쓰는거 쉽지 않습니다. 그냥 이 학생분이 대단한 열정과 노력이 있었던거죠.
2024.12.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경리/ 님도 지금 썼잖아요. 좋은 학부여도 학부생이 sci급 논문을, 게다가 IF 15 저널 논문을 쓰는건 아주 어렵죠.ㅎㅎ그러니깐 좋지 않은 학부면 더더욱 어려운거고요. 뭐. 교수가 다 챙겨주고 했다면 생각만큼 대단한거 아닐테고요. 아니라면 아주 extraordinaty한 학생인거고요. 저는 졸업실험 외에 랩 참여같은거 해본 적이 없어서 학부 때 논문 쓸 기회는 없었네요. 참고로 SKP출신 지거국 교수입니다.
2024.12.18
대단하십니다. 연구 주제는 어떤식으로 잡아나가셨나요..? 내년에 4학년이고 학연생을 하기로 했는데 공부가 부족해서 하는 고민이겠져..?
대댓글 2개
2024.12.19
연구주제는 사실 운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가 생각한 방식대로 데이터가 나와줘야하는 부분이라 운이 가장 많이 따르지만 지도교수님과 충분히 상담한다면 좋은 주제 잡을 수 있을겁니다. 지도교수님이 해당 분야를 꿰뚫고 있는 분이니 고견을 구해보세요. 그리고 해당 분야 논문은 IF 5-15정도인 저널 먼저 읽고 이해하고 네이처 사이언스 셀 리뷰논문 읽으면 파악이 더 쉽습니다. 저는 대학원생이 아닌 학부생이라 처음부터 너무 어려운 논문을 읽으면 아예 감을 못 잡더라구요…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24.12.20
우선 귀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__)
덕분에 방향성을 잡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4.12.20
대단하십니다. 축하드려요
2024.12.20
논문을 쓴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일인지 다시금 느끼게 됩니다. 멋진 후기 감사합니다
2024.12.20
대단하네요. 존경합니다.
2024.12.22
주제 잡는거 교수가 많이 관여했겠구민 뭐 혼자했데 ㅋㅋㅋㅋ
2024.12.22
시간도 2년 넘게 걸린거면 뭐 엄청 빠른건 아닌듯
대댓글 2개
2024.12.23
열등감
2024.12.31
ㅋㅋ 전혀 나 교수인데? 뭐하러 열등감 느껴 ㅋㅋ 걍 대단한거는 맞지만 자의식 과잉같다고 생각한거지 ㅋㅋ
2024.12.18
2024.12.18
대댓글 1개
2024.12.18
2024.12.18
2024.12.18
2024.12.18
대댓글 5개
2024.12.18
2024.12.18
2024.12.19
2024.12.21
2024.12.21
2024.12.18
대댓글 2개
2024.12.19
2024.12.20
2024.12.20
2024.12.20
2024.12.20
2024.12.22
2024.12.22
대댓글 2개
2024.12.23
2024.12.31
202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