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대 석사 후 미국 박사 vs spk 석박통합

2025.01.02

10

2217

자대는 인서울 중하위권입니다.
어떤 경우가 더 좋을까요?
어떤분은 해외나가는게 좋다라고 하고
어떤 분은 석사가 자대면 의미없다 높게 가라 라고 하기도 합니다.
뭐가 더 나을까요? 기업 연구소에 갈때 미국 박사여도 낮은 자대 석사면 안좋은가요? 한국은 spk가 답인가요?
또 교수가 된다고 하면 제가 학사로 나온 대학보다 높게 가긴 어렵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1.02

1. 두 선택지다 모두 좋음. 비교하는게 크게 의미가 있을까 의문
2. 석사보단 박사 출신 학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함
3. 기업 연구소갈땐 자대 석사는 의미없고 어떤 연구했는지 가 훨씬중요.
4. 일반적으로 도는 얘기는 그렇지만, 학위과정동안의 성과에 따라 충분히 뒤집을 순 있음. 근데 매우 어려운건 사실

2025.01.02

괜찮은 학교 (e.g., top 20) 갈 수 있으면 무조건 미박

2025.01.02

한국취업이면 spk도 그리 나쁘지 않아요

2025.01.02

미박을 갈수만있다면 미박이죠 근대 미박이 안되니까
문제죠

2025.01.02

우선 본인의 경쟁력을 돌아보시고 말씀해보시길..
1. spk 갈수있는지
2. spk 괜찮은랩 갈수있는지 (spk도 교수배출 못하는랩 많음)
3. 미박 갈수있는지 (영어성적등)
4. 미박은 어느정도 갈수잇을지

대댓글 1개

2025.01.02

아무것도 없이 한국이좋나요? 미국이좋나요? 이건 당연히 의미없는 질문이되겟죠.

2025.01.03

spk가 답입니다

2025.01.03

교수는 학벌보다 연구실적이 더 중요한데..

2025.01.03

이런거 물어볼 정도면 그냥 취업하세요..

2025.01.03

김칫국 마시지말고 어디든 최종합격부터 하고 물어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