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가 다른 직업에 비해 압도적으로 좋은점은

2025.01.26

13

8802

머 워라벨, 독립성, 해외학회, 방학, 높은 사회적 위상, 높은 연봉 등등 이런게 아님.

세상에 어떤 직업이 채용할때 '당신의 비전'이 먼지 연구계획을 심사하겠음. 본인이 하고싶은 일을 최고의 전문가로서 하고있다는 것, 그리고 그게 사회적으로 인정받는다는게 교수가 가장 좋은 직업이고 많은 대학원생들이 이 직업을 꿈꾸는거임.

회사가 연봉더준다 정시퇴근하는데 교수는 갈린다-이런거로 반박하는 사람들은 애초에 교수를 못할사람인거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1.26

ㅎㅎㅎ그만큼 어려운 공부 하느랴 노력했으니 당연히 주어질 보상 같습니다

2025.01.27

돈 욕심없고 사회적 욕심없고 지적 욕구가 있다면 제일 좋죠. 평생 공부 해야 하죠.

그렇지 않은 교수는 살아남아도 보직하며 정계 진출해야해요. 그렇지 않으면 미래가 없어요.

2025.01.27

그런데도 교수가 되면 그걸 잊고 사는 사람이 많음

2025.01.27

교수라는 직업이 갖는 본질적인 매력이죠.

2025.01.27

연구 잘하면 돈이나 워라벨은 버려야하냐? 꼭 그랬어야했냐?

2025.01.27

교수는 갈리면 진짜로 갈리는데 회사는 그게 덜한거같음

2025.01.27

하고 싶은 연구만 한다는 착각이 가장 큰 문제지

2025.01.27

교수는 하고싶은거 하면서 돈받는 직업임 이게 제일 큰 장점임

2025.01.27

1. 큰 장점으로 정년보장이라 봄. 이미 정교수 승진의 감동도 사라진지 오래된 지금 시점에 주변을 돌아보면, 2차 전직한 친구나 지인들이 많음.(회사를 옮기거나 아예 다른 직종으로 옮겨야 하는 매우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 있었거나 있으며, 사실상 전부 그전직장보다 처우나 조건이 못해지곤 함.)
교수의 경우, 16년째인가? 등록금 동결과 함께 교수 연봉도 동결되어 과거보다 오히려 체감연봉은 많이 줄어들긴했으나, 그래도 65세까지 일할 수 있다는 안정감은 매우 크게 와닿음.

2. 그리고, 교수의 가장 좋은 점은 대학원시절 일요일저녁이 우울했었는데, 교수는 무언가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월요일이 기다려진다는 점임. 멤버들이 어떠한 성공한 결과를 가져올까라는 기대감에 월요일이 기다려짐.

2025.01.28

굳이 이런 글들이 올라오는 이유가 뭐겠어? 일뽕은 일본인이 아니고 중뽕은 중국인인것 마냥... 능력이 있으면 자기자신만을 위한 쓸데없는 연구하면서 자기위로하지말고, 미국이나 한국 인더스트리가서 인류에 조금이라도 도움되는 연구하고 정당한 보상 받으세요.

2025.01.28

한국은 이제 교수들이 연구하기 힘든 시대고 앞으로 더 그럴거임 왜냐? 돈이 없거든 입금 받아야 연구하는 시대. 교수직 오래하명 돈이 아쉬움 그래서 좋은 학교 교수들이 대기업 가는거임. 이제 더 그렇게 될 거임 현타 오는 교수들 많음

2025.01.31

힘내세요... 정말 좋으면 이런 글 안 써요...

2025.01.31

교수가 좋은건 뚜렷한 상하관계없이 지 본인 오피스 실험실에서 마치 사장처럼 근무할수 있다는 점임 회사랑 차원이 다르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