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석사 논문 집필을 못 할 것 같아요.

2025.02.10

10

2072

카이스트 전전, 이론 연구실입니다.

석사 과정 6개월 차에 연구 주제, 혹은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정했고 현재 1년 차 (다가오는 학기가 3학기 째) 인데

최근에 제 접근 방식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A가 문제여서 방법 X (제가 속한 연구실의 연구 분야) 를 사용하겠다는 것이 제 연구 주제인데

X를 쓰기 위해 수식을 전개해보면 문제 B가 생기고

이 문제 B가 존재하면 방법 X는 쓸 수 없는 상황입니다.

타 학과에서 진학한 터라 기초 지식도 많이 부족한데 현 연구 주제에만 몰두해서 다른 주제가 마땅히 떠오르지도 않습니다.

지도 교수님께선 사업 때문에 바쁘셔서 거의 지도를 못 받고 있고요.

안 그래도 취업 문제 때문에 진학 했는데 이대로 시간이 지나면 논문도 없고 취업도 못 하고 시간은 시간대로 낭비해버린 밑 바닥 인생으로 전락하는 것이 아닌가 싶어 걱정이 많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2.10

그 깨달음의 과정에 의미가 있다면 그것을 잘 설명해서 학위논문 작성하세요.

전혀 얼토당토않은 것이라면 어쩔수없죠. 다른 방법을 찾을수밖에.

어찌되었든 학위 지도의 책임은 교수에게있으니 들고가서 설명드리고 상의하세요.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10

개인적으로는 Trial and Error를 한다는 점에서 제대로 연구하고 계시다는 생각이 드네요.
교수님과 상담이 걱정되시면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먼저 들어보고 종합해서 교수님과 상담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025.02.10

마음 편하게 가지시는게 중요해보입니다.
만약 최악의 시나리오로 더이상 연구에 진척이 없더라도, 예를 들어서,
"X라는 방법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와 해결 불가능한 문제의 조건 탐구" 정도로도 석사 학위 논문의 가치는 충분해보입니다.
"B라는 문제가 있을 때 X라는 방법을 적용시키면 생기는 위험성" 같은 것도 할 수 있겠네요.
석사 졸업요건으로 대단한 연구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연구실 선배들과 교수님과 상담해 보시면 의외로 가치있는 이야기를 충분히 하실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네요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