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탑컨퍼 논문들 궁금한게

2025.02.16

8

890

저자들 중에서도 "함 해볼까?" 해서 이것저것 해보는데, 저자들도 이유는 모르지만 성능이 잘 나와서 "이게 되네?" 싶어서 탑컨퍼에 붙은 논문들도 많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2.16

99%죠.. ㅋㅋㅋ AI 연구의 대부분은 과학이 아니라 공학으로 봐야합니다. 뭐가 어쨌건 기존에 없던게 만들어졌으면 그걸로 된거죠. 그런데 메소드는 이미 다들 아는 그 신경망 구조 이용하는걸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곯머리 싸맬 일 없고 연구하는게 매우 straightforward하죠. 보통 박사레벨은 프로젝트 시작부터 컨퍼런스 서브미션까지 3개월 내에 되던데요.

2025.02.16

그리고 그게 왜 되는지 납득할만한 설명이 뒤따라야 합니다.

2025.02.16

학부생도 1년쯤하면 쓸수있는 필드입니다.
(우수한학부생이 ai랩 학부연구생일경우)

그래서 상위대학 ai 교수님들은 학생수 늘리면 실적이 선형적으로 올라갑니다. 지도할게 많이없고 테스크도 널리알려져있고 성능나오면 적당히 이유붙이면 어셉되거든요. 펀딩이 실력인 필드일지도.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