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LR, CVPR, ECCV, AAAI, NeurIPS 에 소수의 1저자 논문과 대다수 공동저자 및 3저자 정도로 논문 제출했다면 어디가서 상위 연구자라고 얘기해도 괜찮을 정도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2.20
뭐가 탑티어라는거죠?
2025.02.20
아래도 비슷한 글 있었던 것 같은데, 사람이 탑티어라고는 얘기를 잘 안 해요. 언급해주신 학회들은 학회가 탑티어라고 불리기는 합니다. (AAAI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대댓글 1개
2025.02.20
그렇군요. 그렇다면 탑티어 학회들에 많은 논문을 개재했을시 상위 연구자라고 불리나요?
2025.02.20
상위 연구자라는게 어딨냐 자존감을 그런거에서 찾으려고 하지말고 본인 스스로 열심히 하면 잘하고 있는거고 아쉬우면 더 열심히 해라. 남의 시선에서 판단하려고 하지마라. 자존감 낮아보인다.
대댓글 1개
2025.02.20
조언 감사합니다. 아쉬운 만큼 열심히 하겠습니다.
2025.02.20
탑티어 맞지요 실력있으시네요
2025.02.21
근데 궁금한게 AI 쪽은 저널은 안씀??
덤덤한 존 내시*
2025.02.21
탑티어는 누가 그라인에 있는지 몇손가락으로 보이면 탑티어임
덤덤한 존 내시*
2025.02.21
아 질문을 잘못읽었네. 상위연구자 맞습니다. 퍼센트는 모르겠음
2025.02.21
그정도면 상위 연구자 이상이죠
2025.02.21
그 정도면 어디가서든 자랑하셔도 됩니다
2025.02.21
상위연구자라고 니입으로 말하시면 안됩니다. 다른 사람이 그렇게 불러줄 수 있도록 더 노력하시면 자연히 그렇게 불리실겁니다. 상위의 기준이 citaion 횟수 인지 논문의 갯수인지 모호합니다. 마치 자기 세세부 또는 세세세부 분야에서 대가라고 주장해봤자 남이 분야 카테고리부터 인정 안해주면 말짱 꽝입니다.
2025.02.22
위 학회에 주저자 논문 다섯 편쯤 들고 있으면 자부심 가져도 되는 정도입니다.
방탕한 찰스 배비지*
2025.02.22
Ai쪽은 탑티어(라고칭해지는-몇만개가 탑티어라는게 공감안되지만) 1저자 혹은 주저자 5개는 넘어가야 연구좀한다고 말합니다. 특히 주제에따라서 1년에 2~3개 탑티어쓰는 저자들도 종종 있어서 세부주제도 좀 감안해야합니다.
2025.02.25
그 정도면 어디서든 인정받을 것 같아요
2025.02.26
논문 쓰는 처음부터 끝까지 본인이 주도해서 그정도 실적있으면 어디가서 ai전문가라고 해도 아무 손색없습니다. 개수보다는 본인이 스스로 그 학회들에 낼만한 연구성과물을 만들어낼수 있냐 없냐가 중요합니다.
2025.02.20
2025.02.20
대댓글 1개
2025.02.20
2025.02.20
대댓글 1개
2025.02.20
2025.02.20
2025.02.21
2025.02.21
2025.02.21
2025.02.21
2025.02.21
2025.02.21
2025.02.22
2025.02.22
2025.02.25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