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정출연 석박통합 vs 유니스트

2025.02.25

9

268

26년도에 졸업하고, 26년도 전기 대학원입학을 앞둔 학부생입니다.
성적은 전체 4.1/4.5이고, 서울 4티어(건동홍)라인 학부졸업예정이며,
전공은 재료공학에서 이차전지분야로 나가고자합니다.
학부연구생없이 1년동안 개별연구로 이차전지 양극재분야로 진행했습니다.

대학원에 이전부터 진학하고자 했기에 포스텍에 1월 초에 컨텍해서 TO있다는 말씀듣고, 석박통합을 예정했으나,
최근에 다시 연락드렸을때 갑자기 TO가 없으시다며 컨텍이 좌절된 상태입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이차전지로 연구하기 좋아 유니스트에 컨텍메일을 넣고있으나, 읽씹 혹은 읽지않음상태로 계속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니스트의 경우 배터리로 유명한 에너지화학공학과는 타대생보단 자대생을 우선하기에 컨텍이 매우 어려울 거 같아 조바심이 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알아보던 중, 울산차세대이차전지개발연구센터에서 학생연구자과정으로 유니스트와 센터를 왕복하며 수업과 연구를 하는 지원제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거 또한 석박통합으로 할만한지, 경험자분들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유니스트를 간다면 석사만 하거나, 석박통합으로 전환할 계획이 있습니다.
배터리쪽이 현재 암울하기도 하고, 석사만으로는 안될거같아 석박통합까지 고려하나, 나이도 나이진지라, 취업하는 친구들 보면서 뒤쳐지는 느낌도 들어 저 역시 암울한거 같습니다.

좋은 조언 감히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2.25

유니스트 학연으로 정출연 석박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오히려 정출연 경험이 취업할 때 더 좋을 수도 있고, 석박과정 중 월급 및 수당도 더 높을거고요. 다만 말씀하신 울산차세대이차전지개발연구센터가 에기연 소속인걸로 알고 있는데, 논문이 잘 나오는지는 확인해보세요. 결국 박사졸업 할 때는 논문이 주요 성과인데 PI 박사님들이 논문을 잘 내시는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학연과정으로 정출연을 생각하시는 거면 유니스트는 다른 정출연들도 다 갈 수 있으니 전기연, 화연 같은 다른 정출연들도 더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25

오 하고싶은말을 윗 댓글에서 너무 잘 써주셨네요.

어차피 학연까지 생각한다면 생각보다 많은 곳에 기회가 있습니다. 화연에서도 출범한지 얼마 안 된 글로벌탑전략연구단 이차전지 센터가 있는데 아마 예산 규모로는 국내 최대일겁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25

석박통합이면 유니스트 배터리 괜찮을것 같은데 읽씹이면 다른 교수님들도 알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