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 덕분에 내년에 졸업 가능할 것 같은데 목표가 미국 석박이라서요.. 당연히 힘들 것 알지만 mit, 스탠포드, ucla, uc 버클리, 칼텍정도 지원할 생각입니다.
학점은 4.10/4.3이고 전공학점은 4.15/4.3입니다. 고등학교 때도 r&e에서 sci 논문을 낸 적이 있고 연구성과는 학교 내에서도 꽤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진지하게 석박 가능할 것 같은지 조언해주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2.28
그동네에 살고있으면 동기선배교수님들께 묻는것이 훨씬 더 정확할것임.
선배들 어디갔나 잘 찾아보면 됨.
2025.02.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점이 너무 낮습니다.. 과 수석은 할 수 있도록 하세요
대댓글 2개
2025.02.28
현재 과 차차석인거로 아는데 부족할까요..
2025.03.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수석 아니면 학점에서 오는 메리트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5.02.28
기계는 타 전공 대비 입학 매우 쉬움. 당장 스탠포드 박사 합격률만 찾아봐도 ㅋㅋㅋ
대댓글 2개
2025.03.01
타전공이라는게 CS말하시는거겠죠. 시대흐름이 있고 지금 cs보다 쉽다는건 이해하지만, 그렇다고 스탠포드 어느학과든지 경쟁뚫는건 어렵습니다. 코페르니쿠스님께서 스탠에 가보신적도 없으실텐데 인터넷으로 상대방 업적 폄하하는건 쉽죠. 마치 맨시티나 리버풀 아니면 프리미어리그 들어가기쉽다고 말하는 조기축구 방구석축구전문가를 보는느낌이랄까요.
2025.03.01
스탠포드에서 박사하고 있어서 스탠포드 기준으로 말한거고요, 본인이 직접 공대 평균과 비교해서 기계가 합격률이 높아지고 있다는걸 보고 오세요. 그리고 기계 박사를 폄하한 적 없고 입학이 쉽다는 팩트만 얘기한건데 왜 긁히시죠?
은근히 준비만 하시면 갈만 할 겁니다. 요즘 기계공학이 관심 있는 사람들만 하는 분야가 되기도 했고, 특히 미국에서는 그렇게 된지 더 오래 되었기 때문에... 지인 중에 MIT는 아니고 스탠퍼드랑 칼텍 간 사람 있습니다. 다만 MIT를 가냐 마냐보다 교수가 중요하고, 그 교수 랩에 TO가 있느냐 이런 문제 때문에 무조건 붙는다는 확답은 못 드립니다. 대학원은 입시 뚫을 땐 분명히 정량적인 평가도 중요하지만, 교수 마음에 드냐 마냐가 사실 더 중요합니다.
한과영 출신이라고 하더라도 고등학생 수준의 연구는 교수 입장에선 엄청 관심가지지는 않을겁니다. 관심 분야 랩 들어가서 학부 연구생 하면서 연구 경험 물어보면 말할 거리를 더 만들어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3.01
감사합니다 열심히 해볼게요!
2025.03.01
우선 반갑습니다. 카이스트 기계과 학석박이고 (예전에 진학생 100명넘었던시절..) 저도 gpa 3.9정도로 졸업했고 인기랩(로보틱스분야)에서 학위받았습니다. 윗분들은 기계과 나오기쉽다고하지만 사실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저는 유학을 준비하진 않았지만, 주변에서 준비했던 선후배들도 많이봤고, 해외탑스쿨(top3) 포닥하면서 만나게된 동기들도 많았고요. 로봇분야를 목표로하실경우 top3는 매우 어려워서 몇개의 명문사립대+탑주립대들도 4.0넘기던 gpa만 좋던 친구들(서울대/카이스트 모두)이 많이 갔어요. 아쉽게도 저때와 다르게 시대흐름상 cs보다는 선호도가 떨어져서 입시도 쉽지만, 결코 탑스쿨오는건 쉽진 않습니다. 그래서 석사까지 밟고 오시든지, 혹은 개별연구나 URP같은거로 하면서 논문실적을 낼수있도록 해봐요. 가장 좋은건 해외대학에서 오신 젊은교수밑에서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고, 저는 졸업후 부임하셔서 못뵀지만 노민균 교수님에 대한 평도 좋은듯합니다. 그분도 학부생때 조규진교수님랩에서 논문쓰고 해외가신케이스라서 조언도 얻을수있을듯하고요. 그외에 로보틱스하는랩들도 많지만, 짧은시간에 논문실적낼만한 좋은곳이 눈에 들어오는곳은 없네요. 물론 로보틱스 말고 다른분야 관심있으실수도있고, 자대에 젊고 잘하는 교수님들 많으니 개별연구 잘 해보세요. 개인적으로 석사까지하고 가는것도 저는 추천합니다. 참고로 주변에 보면 글쓴이분같이 학점등 스펙이 좋던친구들도 탑스쿨만 고집해서 지원하진않고 거의 20위까지는 다양하게 지원합니다. 요즘트랜드는 잘모르겠지만 한번 잘알아보세요. 로보틱스 생각하면 cmu나 가텍, uiuc, 오스틴 등도 모두 좋은선택지입니다. 유팬같은곳도 잘하는랩들있고, 황보재민교수님처럼 ethz같이 유럽쪽알아보시는것도 추천해요.
대댓글 5개
2025.03.01
아 석사를 지원하시는거면 상향지원하시는건 좋습니다. 다만 대부분 셀프펀딩으로 다니시게될건데 잘알아보세요. 특히나 등록금 제외해도 언급하신곳들이 전부 대도시에 있다보니 돈이 어마무시하게 빠져나갈겁니다.
2025.03.01
마지막으로 유학생각하시면 조졸보다도 좀더 길게 보시는것도추천합니다. 예전에 전자과에서는 gatech이랑 듀얼디그리 이런 프로그램들도 많았는데, 잘 찾아보셔서 한두학기 미뤄지더라도 탑스쿨에서 한학기 교환학생 다녀올수있으면 기회잘살리고 컨택해서 랩인턴같은것도 잘지원해서 해보세요. 카이스트 기계과에 정말 훌륭한교수님들 많지만, 은퇴앞둔 시니어교수님 몇분을 제외하고는 분야에서 엄청 강력한 추천서를 주실수있을만한 분은 막 떠오르진 않네요. 안타깝지만 제 예전 지도교수님도 미국내에서 인지도는 거의없으셨고요. 그나저나 제 이후 후배부터 5년커리큘럼으로바뀐상태로 오랫동안 유지되더니 요즘에는 칼졸업들 많이하나봅니다.
2025.03.01
정말 정성스럽게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석사를 셀프펀딩으로 따는 것도 생각중에 있지만 말씀하신대로 돈이 정말 많이 들어서요..
카이스트에서 석사 받고 가는 것도 한가지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말씀하신대로 개별연구도 성과를 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당연히 top3학교가 아닌 학교들도 매력적이고 좋은 학교지만 top3 학교 박사 가는것이 이렇게 힘들줄은 몰랐네요..
2025.03.01
주변에 가본사람들 있으면 알거에요. 제 주변에서는 다이렉트 박사로 간경우는 탑주립대였고, 대부분 석사하면서 좋은실적낸이후에 탑3갔습니다. 탑주립대도 매우좋기때문에 너무 탑3에만 집착할필요없어요. 특히나 로보틱스로 가실거면 CMU도 좋고 미시간도 잘하는교수많고요. 이미 연구실적이 뛰어나시면 알아서 잘가시겠지만, 고등학교이후에 눈에띄는 연구실적이 있으신지 잘모르겠네요. 참고로 노민균 교수님의 경우 MIT가시기전에 TRO 한편쓰고가셨는데, TRO는 로보틱스 분야에서는 Science robotics 이후로 가장좋은 탑저널입니다. 제 신분이 노출될까봐 걱정되긴하는데, 조규진교수님랩 출신중 다른한명은 사이언스로보틱스 쓰고도 CMU로 갔었고요.
2025.03.01
생각보다 나와보시면 학점만 좋은 각나라 학생들은 많이있습니다. 거기에서 차별성 내기 힘들어요. 본인이 연구실적으로 내든지, 아니면 교환학생등 프로그램하면서 눈에 미리 띄든지 등등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겠죠. 연구실적+학점좋아서 본인은 탑3갈거라고 했던 고등학교친구들(서울대)나 카이스트 기계/전자과애들중 못간애들이 훨씬많았습니다. 요즘 후배들은 유학많이가는지는모르겠네요. 저희때는 그냥 자대인기랩가려는애들도 워낙많았어서 최근정보가 부족할수도잇겟네요. 선배들중 top3간애들이 어떤실적있는지 확인해보세요~
2025.03.01
감히 제가 댓글 달자면, 정말 목표가 mit 박사라면 도전하고 또 도전하십셔. 스펙은 차고 넘칠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경쟁자들도 비슷한 사람들일테니, 그안에서 돋보이는 무언가를 만드세요! 충분히 준비하면 한번에 되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포기마시고 두드리세요!!
2025.02.28
2025.02.28
대댓글 2개
2025.02.28
2025.03.02
2025.02.28
대댓글 2개
2025.03.01
2025.03.01
2025.03.01
대댓글 1개
2025.03.01
2025.03.01
대댓글 5개
2025.03.01
2025.03.01
2025.03.01
2025.03.01
2025.03.01
2025.03.01
대댓글 1개
2025.03.02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