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탑티어 학회 쉬워진건 맞는데... 학과 단위 교수랩들 보면 왜 안나오는지 모르겠음..
2025.03.13
8
1938
AI 탑티어 학회 쉬워진건 맞는데... 학과 단위로 랩들 탐방 해 보면 탑티어 학회 논문들이 왜 안나오는지 모르겠음..
뭔가, 갑자기 CVPR 평가 절하 하는 느낌인데...
편수가 많고 쉬운데,, 왜 다들 1년에 8편 이상씩 못 내는지 모르겠네..
그렇게 쉽고 많아 졌으면 다들 1년에 8~10 편씩 내셔야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3.13
CVPR은 아니지만 비슷한 acceptance rate (20~25%)을 갖고있는 CS/ECE분야에 종사중입니다. 일반화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볼때 저희분야도 (AI는 뻥튀기가 된상황에서 더더욱 심할거라고 생각하고요) 분야 상관없이 그냥 한번 내보려는 허수가 꽤나 존재하기때문에 제대로된 분야에서 확실하게 도전하는사람들 입장에서는 40%정도는 accept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탑스쿨에서 포닥중인데, 여기에는 박사졸업할때까지 4~5년동안 4편쓰는게 일반적입니다. 일년에 가장 큰 두 학회중 한번씩 사이클돌면서 계속내는데, 한국 일반적인 학교에서는 2~3편정도가 평균인듯하고요. 말씀하신것처럼 신생랩이 아니라(요즘 ai분야는 신임교수가 워낙 많다보니) 박사과정이 1년차부터 졸업반까지 잘 구성돼있을 경우, 일년 학회에 걸쳐 (우리의 경우 메이저 2곳) 매년 전체 박사과정 숫자의 절반정도는 낼수있는랩이 잘하는랩이라고 생각이 되네요. 실제로 저도 spk학석박인데 (박사과정때는 분야가 달랐습니다) 우리학과에서 같은분야 하는 곳 보면 매년 박사과정의 60-70% 정도가 꾸준히 내는듯합니다.
대댓글 3개
2025.03.13
여튼 신임교수들이나 석사과정이나 박사과정 초창기들이 메인인 랩들한테 많이내라는걸 요구하는건 조금 어려울순있지만, 어느정도 세팅이 된 랩에서 그래도 한국에서 잘하는랩들의 경우에는 꽤나 유의미한 숫자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제 분야에서는 카이스트가 전세계에서 메이저 학회에 매년 가장많이내는 기관 top10위안에 항상 들어요.
2025.03.13
ICRA, IROS 는 억셉율이 40% 에 육박하던데,,, 여기는 어떤가요?
2025.03.13
ICRA/IROS는 로봇분야에서 탑컨퍼지만 로봇분야는 저널베이스이지 학회베이스인곳이 아닙니다. 그래서 ICRA/IROS도 학회 풀프로시딩도 발표하지만, 작년에 IEEE계열 로봇관련저널에 게재된 연구들 (TRO, TMECH, RAL, RAM등)도 많이 초청해서 발표를 시킵니다. 요즘 로보틱스를 메인으로 하는 CS분야도 많아져서 물어보시는듯한데, 거기도 ICRA/IROS에 발표한것을 메인으로 생각하지는 않을겁니다. 한예로 박사졸업할때 탑학회지 2편이면 잘했다고 하면서 졸업할순있지만, ICRA/IROS 두편을 인정해줘서 졸업하지는 않을겁니다. RAL 두편과 비교를 해야 비슷하다고 생각이 되네요. acceptance rate은 사실 학회 기반인곳들이 스스로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해서, 본인들 proceeding 끝에 매번 붙이는걸 본인도 잘 아실겁니다. oral presentation (top 4%) 이런식으로 강조하잖아요.
2025.03.13
AI 컨퍼런스가 억셉을 엄청 주는 건 팩트고, 또 저널이 아니라 한두달 안에 판단하는 컨퍼런스 특성상 피어리뷰 품질을 믿기 어려운 것도 팩트니까 거기 결과물을 평가절하하는 건 그냥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괜히 어설프게 비꼬지말고.. 랩들 탐방해보니 왜 탑티어 논문이 없냐? 그 랩이 실제로 경쟁력 떨어지는거죠. UIUC랑 버클리 랩 탐방해면 탑티어 논문 수두룩하게 달고 졸업하는거 보입니다.
다만 평균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세상 어딜가도 진지하게 연구하고 파급력있는 결과물을 뽑는 사람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걸 3000개씩 억셉 받은 페이퍼 사이에서 구분할 수 없다는 게 문제일 뿐. 또한 적은 케이스지만 컨퍼런스 위주로 안내고 굵직하게 저널 단위로 랩들도 많겠죠. 그들의 생성물의 가치를 읽을 역량을 기르는게 중요할거고요. 고작 컨퍼런스 몇개 냈는지 손가락으로 세어갖고 가치판단할게 아니라요.
(1) (2) 또는 그 랩이
대댓글 2개
2025.03.13
(1) 위에서도 말했듯 일명 탑급 랩들은 1년마다 돌아가면서 컨퍼런스 주기 오면 뭔가 서브밋 합니다. 그런 곳인데 탑티어 컨퍼런스를 못내고 있으면 경쟁력이 떨어지죠. (2) 또는 교수가 그런 걸 선호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연구란 1년 단위로 성과물이 나올래야 나올 수 없습니다. 1년마다 뭔가 규칙적으로 나온다면 깊은 연구로 믿기 어렵고, 그걸 내부적으로 교수가 알고 있고 신경쓴다면 탑티어 컨퍼런스가 매년 몇개씩 쏟아져나오지 않더라도 충분히 좋은 랩일 수 있습니다.
2025.03.13
저널은 최소 6개월 걸리는데,,, 그러면 SOTA 성능 올라가 버리고,, 새로운거 나오는데,, 비전 분야는 예전 부터 CVPR, ICCV, ECCV 3대장으로 운영되던 곳이죠. 원래 비전 학회 저널은 TPAMI, IJCV 같은 곳도 있지만 리뷰 1년 ~ 2년 걸리면,, 이미 뒤떨어진 기술 되어 있어서,,, 컴퓨터 쪽이 원래 빨리빨리 변하는 곳이라서 ,, 저널 보다는 탑티어 학회 위주로 운영됩니다.
2025.03.13
아니 CVPR가 쉬워졌다는 건 상대적인 거지 절대 쉬워졌다는 건 아니니까ㅋㅋㅋ 탑티어는 여전히 탑티어임. 논문 한 편 내는 것도 얼마나 피땀눈물인데...8편은 넘 과한듯.
2025.03.13
대댓글 3개
2025.03.13
2025.03.13
2025.03.13
2025.03.13
대댓글 2개
2025.03.13
2025.03.13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