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t(지디유)는 등록금 전액 무료라고 알고 있는데 자대 교수님이 자기 연구실도 전액 무료로 해주겠다 들어와라 하셔서요,
원래 집 형편이 좋지 못해 ist쪽으로 마음을 완전 돌렸었는데 둘 다 전액 무료라면 ist가 메리트가 그렇게까지 있나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ist 입시에 떨어질 수도 있는 확률을 생각하면 자대가 더 안전하고 좋을지 고민됩니다 (둘 다 제가 흥미로워하는 분야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5.04.06
일단 ist에서 본인 분야 랩실 실적부터 알아보고 비교해보세요 그리고 연구 인프라 차이 절대 무시 못합니다
대댓글 5개
2025.04.06
확실히 ist의 연구 인프라가 좋은가요?
2025.04.06
보니까 자대랩은 이미 확정 같은데 ist 오픈랩이든 인턴이든 한번 직접 눈으로 보고 판단해보는 거 추천드려요
2025.04.06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연구실 실적은 어떤식으로 보는 건가요? 해당 랩에서 논문을 어디에 내는지를 알아보면 되는건가요?
2025.04.06
랩실 홈페이지 일일이 들어가보면서 알아봐야죠 매년 논문 얼만큼 쓰는지 그 논문이 얼마나 좋은 저널인지 보고 알럼나이, 자대생 비율, 외국인 비율도 보고 과제를 얼마나 어떻게 따는지도 보고..
2025.04.06
김사합니다!
2025.04.06
자대 등록금 커버해주시는게 인건비로 받아서 본인이 등록금을 내는지, 아니면 학과차원에서 전액 등록금이 나오는지가 중요합니다. IST는 등록금이 0원이라, 석사의 경우 풀로받으면 220만원 인건비입니다. 다른 대학은 인건비를 똑같이 220받아도 등록금 제외하면 반토막이되죠.
대댓글 1개
2025.04.06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말의 뉘앙스를 생각하니 전자인듯 합니다 Ist 경우에는 90정도 주신다고 하는데 자대처럼 등록금까지 낸다고 생각하면 200정도인 건가요?
2025.04.06
ist의 경우 등록금은 학교에서 전액 부담하고 거기에 추가로 stipend 제도에 의해 보장되는 미니멈 월 인건비도 상당합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연구실의 과제 수행을 통해 추가로 더 받습니다. 금전적인 것을 차치하더라도 연구 인프라가 매우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만약 좋은 연구실적을 목표로 하신고 지거국과 ist 중 선택하셔야 한다면 ist 를 적극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5개
2025.04.06
Ist 랩실에서 90 준다고 하시는데 여기에서 +@가 될 수 있는건 제가 하기 나름인건가요?
2025.04.06
연구실마다 차이가 있으니 확실한 것은 없겠지만 입학전의 대학원 1학기 학생의 인건비로 제시되는 인건비로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본격적으로 과제들에 투입되셔서 수행하시다 보면 인건비가 시간이 갈 수록 오르시게 될 것 같습니다. 말씀대로 열심히 하신다면 인상 가능성이 더 높아지지 않을까요?
2025.04.06
답변 감사합니다!
2025.04.06
궁금한 점이 있어 잠시 질문 드려요) 혹시 기숙사비용은 받은 90으로 쪼개서 내야 하는 걸까요?
2025.04.06
Stipend에 제시된 보장된 금액을 학교에서 지원해주는게 아닙니다. 일부 금액만 지원해 주고 나머진 랩실에서 지원하는 겁니다. 그래서 과제를 더 한다고 @가 바로 붙지는 않아요.
2025.04.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거길 왜우선순위에 둠? Yk skp 부터 찾고 거길 찾으셈!
등록금은 연구실서 지원해줄거임
대댓글 4개
2025.04.07
진짜 느낌표 개패고 싶은데 yk 역훌리인가
2025.04.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ㅋ 좀 얄밉나? 내가 설명을 잘 안하긴 했지!!
근데, yk 이상은 그래도 안정적인 곳이 많음!! 그래서 대학원 연구하러 가는데, 최대한 좋은 곳에서 하면 더 이득이니까 한소리임!!
솔직히 전통과 인프라 차이 너도 인정하잖아!! 가봤으면 더 잘 알거고!!
2025.04.09
yk 연구역량 웅앵거리는 거 알겠는데, 모든 게시글마다 발정나서 눈뒤집힌 금수마냥 달려들어서 ist 내려치기 yk 올려치기 하는 거 적당히 하셈 ㅋㅋ 아무도 spkyk로 안묶어
2025.04.09
그리고 yk가 뭔 인프라ㅋㅋ 최대한 좋은 곳은 SPK밖에 없음 낄 데 껴라 제발 심지어는 앞에다 쳐붙이고 있어 성대보다 전통 있고 ist보다 인프라 좋음?
2025.04.07
지거국 부/경 다니고 있는 생명계열 학생입니다.
Ist(지디유)는 등록금 전액 무료라고 알고 있는데 자대 교수님이 자기 연구실도 전액 무료로 해주겠다 들어와라 하셔서요,
원래 집 형편이 좋지 못해 ist쪽으로 마음을 완전 돌렸었는데 둘 다 전액 무료라면 ist가 메리트가 그렇게까지 있나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ist 입시에 떨어질 수도 있는 확률을 생각하면 자대가 더 안전하고 좋을지 고민됩니다 (둘 다 제가 흥미로워하는 분야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5.04.07
1. 요즘 이공계 대학원에 돈내고 다니는 학교는 거의 없음. 여기서 IST가 무료라는건 학교/국가차원에서 등록금이 없다는 이야기니 교수가 부담을 아예 안 가진 상태에서 시작함. 그러니 인건비를 학생에게 주는게 100% 학생이 가질 수 있다는거임. 그런데 그 외 학교들은 학비를 연구실 차원(교수)에서 내준다는거임. 장학금이 있으면 그걸로도 학비가 줄어드는거고. 그렇지만 무조건 0원이 아니기 때문에 교수가 주는 인건비에 일부는 학비로 나가고 나머지를 학생이 먹는 구조임. 즉, 교수 입장에서 같은 인건비 100만원을 쓴다고 가정했을 때, ist는 학생이 100만원을 받지만 타학교는 학비 제외하고 50만원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거임. 어찌됬는 학생은 학비를 안내니 무료는 맞음. 그래서 '월급'이라는 개념이 순수 교수가 주는 인건비라면, 보통 ist가 작은 경우가 많지만(왜냐하면 학비를 고려 안하니), 정확히는 학생이 받는 돈을 알아봐야 함. 교수가 돈이 많으면 학비 제외하고도 돈을 많이 줄 수 있으니 ist보다 나을수도 있고. 대신 법적으로 석/박사 학생 최대 인건비 상한선은 있으니, 최대를 생각하면 ist가 낫고, 일반적인 경우면 연구실 by 연구실임.
2. 연구 인프라는 당연히 수준 차이가 남. 여기서 인프라는 공대 기준 연구환경/분석기기/연구지원 등등을 의미함. 우선 부/경에 비해서는 ist가 훨씬 최근에 만들어짐. 예를들어 가까운 부산대와 unist를 비교하면 건물 내부만 들어가도 차이가 확연하게 날꺼임. 그래서 보통 연구실이나 실험실 환경이 ist가 훨씬 좋음. 분석기기? 흔히 말하는 학교 차원의 공용 기기들 수준이 다름. 부/경에 가도 아마 분석 기기를 많이 쓰는 쪽이면 ist로 기기 쓰러 자주 올 확률이 큼.
3. 대신 뭐 말 그대로 연구 제외 주위 환경은 ist보다 부/경이 더 나은듯. 시골에 박혀 연구만 할꺼면 ist가 나을수도 있는데, 교통 등이 상대적으로 더 열악함. 대신 자취한다면 주위 월세는.. ist가 조금 더 저렴할 듯?
2025.04.06
대댓글 5개
2025.04.06
2025.04.06
2025.04.06
2025.04.06
2025.04.06
2025.04.06
대댓글 1개
2025.04.06
2025.04.06
대댓글 5개
2025.04.06
2025.04.06
2025.04.06
2025.04.06
2025.04.06
2025.04.06
대댓글 4개
2025.04.07
2025.04.07
2025.04.09
2025.04.09
2025.04.07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