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아직도 학부 입결 타령하는 사람 있나? 지금은 과거만큼 입결이 높지 않다고 해도, 그걸로 이 학교를 폄하하는 건 연구 생태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는 소리다.
한때는 서울대랑 지방거점국립대 투톱으로 불릴 만큼 위상이 높았고, 지금도 실제 교수진, 인프라, 국가 주도 연구사업 수주 실적을 보면 지방대 중 단연 독보적이다. 학부 입결만으로 모든 걸 판단하는 건, 실험실 돌아가는 냄새 한 번 안 맡아본 문과적 사고.
연구실 하나하나 보면 알겠지만, 경북대는 특히 이공계, 의생명, 소재, 기계, 전기전자, 농생명 분야에서는 서울대, KAIST, 포스텍 못지않은 연구성과를 내고 있음. 실제로 대구·경북권에서 산학협력이나 국책사업 하면 제일 먼저 경북대 이름 올리는 거 다들 알잖아?
게다가 대구라는 도시가 가진 지역 내 위상과 행정적 지원을 감안하면, ‘지역 내 독점적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프리미엄도 있음. KAIST나 포스텍이 지방에 있지만 지역 주도권은 없음. 반면 경북대는 지방에서 ‘거점’을 넘어 ‘중심’임.
연구비, 인건비, 장비, 시설 수준은 국내 최고 수준이고, 교수들 연구 커리어 트랙 보면 괜히 설카포 교수들이랑 같이 논문 쓰고 공동과제 하는 게 아님. 단순히 탑저널 논문 숫자보다도, 어디서, 누구와, 어떤 임팩트로 연구하느냐가 중요한 시대에, 경북대는 그걸 ‘지방거점’이라는 핸디캡에도 불구하고 증명해내고 있음.
학계에서 경북대를 과소평가하는 사람? 거의 없다. 오히려 학부생들만 학교를 잘 모르는 슬픈 구조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2개
2025.05.14
그런데 학생들도 자대대학원 잘 안가려고 함. skp못지않은 연구실적은 말도안되는 소리고, 연구비 많이타가는건 지역거점 프리미엄 때문이지 그이상 그이하도 아님. 그리고 지역과제가 특성상 별 의미도 없고 논문도 안나오는 어쩔수 없이 해야 하는 과제들로 의례적으로 수행함. 교수들이야 돈나오니깐 당연히 하지만, 학생취업, 선도 연구와는 거리가 멀고 결국 메인스트림과 멀어지는거고 학생들은 인건지는 많이 받는데 쓸대없는 과제만하다 졸업하게됨. 교수들도 허구한날 지역 연계 사업제안서 불려다니고, 정작 최신연구트렌드 따라가기도 힘듦. 다만 과제는 많으니 학생은 뽑으려고 하는데 자대생이 오면 땡큐고, 아니면 인근지역 대학 한국학생들인데 이들은 박사진학 거의 안함. 결국 교수가 직접하거나 외국유학생들이 논문쓰는거에 의존해야함.
2025.05.14
지방에 박혀서 시야가 좁으니 이런 이야기도 당당하개 할 수 있는게 제일 장점인듯
대댓글 4개
2025.05.14
굳굳!
2025.05.14
서울에 있으면 시야가 넓다고 생각하는게 더 웃김
2025.05.15
서울 촌놈도 안타깝죠. 대한민국 나머진 모르고 그 좁아터진 서울만 아는
2025.05.15
서울 촌놈이란다ㅋㅋㅋㅋㅋㅋ 진짜 얘네는 뭐가 있긴 있나봐
2025.05.14
경북대 출신으로 한 마디 하자면 최고 실적이니 최고 장비니 뭐니 하는 건 매우 소수 랩실의 경우입니다. 다 안 그래요. 연구에 손 놓은 교수도 많습니다. 그리고 국내 최고수준 반도체 팹 2개라고 말하고 다니는데, 거기 장비들 대부분 중소기업 거고 허구한날 고장납니다. 측정 장비들은 어차피 돈 내고 쓰는 거라 의미없네요
" 교수들 연구 커리어 트랙 보면 괜히 설카포 교수들이랑 같이 논문 쓰고 공동과제 하는 게 아님" 라고 말씀해주셨는데 당장 생각나는 건 한 5명? 정도 밖에 안 떠오르네요
2025.05.14
경북대 입결로 내려쳐지는 것에 비해 괜찮은 학교라고는 생각하는데... SKP 운운하는 이런 억빠는 지능형 안티인가 싶음
2025.05.14
원글
경북대? 아직도 학부 입결 타령하는 사람 있나? 지금은 과거만큼 입결이 높지 않다고 해도, 그걸로 이 학교를 폄하하는 건 연구 생태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는 소리다.
한때는 서울대랑 지방거점국립대 투톱으로 불릴 만큼 위상이 높았고, 지금도 실제 교수진, 인프라, 국가 주도 연구사업 수주 실적을 보면 지방대 중 단연 독보적이다. 학부 입결만으로 모든 걸 판단하는 건, 실험실 돌아가는 냄새 한 번 안 맡아본 문과적 사고.
연구실 하나하나 보면 알겠지만, 경북대는 특히 이공계, 의생명, 소재, 기계, 전기전자, 농생명 분야에서는 서울대, KAIST, 포스텍 못지않은 연구성과를 내고 있음. 실제로 대구·경북권에서 산학협력이나 국책사업 하면 제일 먼저 경북대 이름 올리는 거 다들 알잖아?
게다가 대구라는 도시가 가진 지역 내 위상과 행정적 지원을 감안하면, ‘지역 내 독점적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프리미엄도 있음. KAIST나 포스텍이 지방에 있지만 지역 주도권은 없음. 반면 경북대는 지방에서 ‘거점’을 넘어 ‘중심’임.
연구비, 인건비, 장비, 시설 수준은 국내 최고 수준이고, 교수들 연구 커리어 트랙 보면 괜히 설카포 교수들이랑 같이 논문 쓰고 공동과제 하는 게 아님. 단순히 탑저널 논문 숫자보다도, 어디서, 누구와, 어떤 임팩트로 연구하느냐가 중요한 시대에, 경북대는 그걸 ‘지방거점’이라는 핸디캡에도 불구하고 증명해내고 있음.
학계에서 경북대를 과소평가하는 사람? 거의 없다. 오히려 학부생들만 학교를 잘 모르는 슬픈 구조지.
2025.05.14
학부생들 대학원 많이 지원하라는 이야기입니다
IF : 1
2025.05.14
본인이 연구를 잘해서 좋은 성과를 낼 생각을 해야지, 내가 다니는 학교가 얼마나 대단한지 주장하는 순간 되게 없어 보여요.
2025.05.14
나라에서 과제를 밀어주니까 지거국에 연구비가 가는거죠. 지역할당인데, 그거 받고 실력이라고 생각하는거 보니 저걸 다 없애야 한다는 생각이 정말 강하게 듭니다.
정말 자유경쟁체제로 하면 서울권 학교들에게 과제 싹 다 뺏깁니다.
대댓글 1개
2025.05.15
사립대 재단에서 지원해주는 지원비 차이로 인한 결과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은 괜찮은 학생들이 서울로 갔으니.. 이젠 서울 중위권은 대학원생 상당수가 외국인이고, 앞으론 서울 중위권보단 지거국 실적이 더 좋아질거고 그럼 싹 가져가진 못할겁니다. 그동안은 지원시설+학생수준에서 지거국이 크게 불리했지만, 이젠 장비나 시설도 지거국도 많이 업데이트되었고 대학원생 수준은 지거국이 오히려 더 좋아졌으니
2025.05.15
뭐 어쩌란건지
2025.05.15
"학부 입결만으로 모든 걸 판단하는 건, 실험실 돌아가는 냄새 한 번 안 맡아본 문과적 사고."
이 대목에서 내렸습니다. 일반화가 문과적 사고라면 본인도 문과적 사고를 하고 계시네요.
2025.05.15
서울 중위권 대학원생은 절반 이상이 외국인인데 지거국은 대부분 자대생입니다. 지거국의 대학원 진학비율이 서울 중위권 사립대보다 훨씬 높고, 그래서 최근 지거국 젊은 교수님들의 연구결과가 급격히 좋아지고 있음. 앞으로 10년뒤 지거국이 왠만한 서울 중위권보다 좋아질겁니다.
2025.05.15
대학원은 중경외시급이긴 함
2025.05.15
경북대 안티냐?
2025.05.15
진짜 우물안 개구리적 사고. 지역할당제 버프로 그 지역에서 벗어나보질 못함. 그래서 뛰어난 인재들이 얼마나 많은지, 세상 큰 줄 모르며 사는 사람들임.
2025.05.15
'대구'라는 도시가 가진 '지역' 내 위상
도대체 어디까지 파고들어가야 대구의 위상을 느낄 수 있는 걸까...
부산대 나온 1인으로, 없는 자존심 내세울 때 가장 없어보입니다. 수도권 중심으로 돌아가는 2025년에 지거국은 지거국이지 뭐 인서울이랑 자꾸 비비려합니까 님 30,40억 있으면 원베일리살꺼잖아요 수성구 아파트 살꺼에요?
대댓글 2개
2025.05.15
굳
2025.05.16
경북대 나온 부산 사람인데 이 글에 전적으로 동의함. 부산대가 부산대부심 부리는 건 못봤는데 왜 이렇게 경북대는 경북대부심을 부리는 지 모르겠음. 그만큼 없어보이는 것도 없는데.
2025.05.15
입 좀 닥쳤으면
2025.05.15
우리 전공에선 국제 학술대회에서 지거국을 본적이 없음.. 설카포 및 상위 인서울 정도만 매번 봄.
2025.05.15
딴건 모르겠고 에타는 너네가 제일 재밌더라
대댓글 1개
2025.05.16
이게맞다
2025.05.15
학회 참여율 보면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적극성이 보인단다. 일단 집 밖으로 나오고 이야기를 하렴;
2025.05.16
원글 말도 댓글 말도 맞는 것이다.
왜냐하면 분야마다 다르기 때문
정확히는 교수마다도 다르다
우리 분야는 경북대 교수 한 분 꾸준히 성과내고 랩실 운영 잘하시는 분 계신데 DGIST랑 협업 하시면서 시너지 나시는 듯
인프라가 SKY급은 아니겠지만 그 아래 쯤 되고, 국립대 교수라는 명예 때문에 하시는 것 같음
근데 인구가 더 줄어들면 지거국이 버틸 수 있을까? 대학원생 수급이 어려워서 실력자들은 다 서울로 올라갈거같다
2025.05.16
현직 대학우너생들이 왜 옛 영광을 얘기함?
옛 영광에 편승하고 싶음?
차라리 이미 임원 교수 된 경북대졸이 그런얘기하면 이해라도 함
2025.05.16
본인이야말로 skp 냄새 못맡아보고 하는거 같은데ㅋ
2025.05.16
어딜가나 메리트를 찾을려면 찾을수 있고 우수한 랩실도 있겠지만 인서울 다니거나 졸업한 사람들이 과연 그런 메리트에 관심을 가질지는 의문임. 본인의 환경에 만족하고 사는것도 정신이 건강하긴 한데 사회적으로 사람들이 더 선호하는 인서울 대학이 보편 상식적으로 판단했을때 메리트가 더 많은것도 현실이라는 것도 인정하는 바탕에서 그런 생각을 하는게 진짜 제대로 된 자부심이 아닌가 생각함
2025.05.16
내가 경대 학분대 교수님들 연구방향이랑 달라서 ky옴. 그래도 자대 메리트도 나쁘지 않은 듯
2025.05.16
무식하면 창피한 줄도 모르나보죠
2025.05.16
거점국립대가 왠만한 서울권 사립대(세종 홍익 외대 등) 보다 여건이나 연구 수준이 높고 좋은건 맞긴한데 학부 애들 수능성적은 별도로 놈. 대학순위도 이걸 따라가는거 같고. 대학원부터는 장비며 연구비며 거점대가 많이 좋긴함. 근데 뭐 그게 중요한게 아님. 교수 개별 역량이 대학원생들의 행복을 좌우하지 대학 간판 의미없음.
2025.05.16
아쉽게도 능력 있는 젊은 교수님들 서울로 많이 이직하십니다.. 나이드신 경상도 상남자 교수님들은...하아
대댓글 1개
2025.05.17
먼 상남자 ㅋㅋ
2025.05.17
경북대 처음들어보는데
2025.05.17
그냥 본인 연구 잘하시면 됩니다. 이미 들어간 학교 경북대건 서울대건 하나는 자기학교 다른 하나는 남의 학교에요. 학교 위상타령하는 이유가 뭔지
2025.05.18
독일 일본처럼 서울대 수준의 지거국이 되어야 국가 미래가 있다
2025.05.18
울 아버지(44년생) 경대 출신이데. 아직도 돈없어서 그랬지 서울대도 갔다고~ 돈없어서 사관학교가고 대구있을수밖에 없던 시절빼고 그 어느순간도 경북대가 최고인적은 없었다.
2025.05.14
2025.05.14
대댓글 4개
2025.05.14
2025.05.14
2025.05.15
2025.05.15
2025.05.14
2025.05.14
2025.05.14
2025.05.14
2025.05.14
2025.05.14
대댓글 1개
2025.05.15
2025.05.15
2025.05.15
2025.05.15
2025.05.15
2025.05.15
2025.05.15
2025.05.15
대댓글 2개
2025.05.15
2025.05.16
2025.05.15
2025.05.15
2025.05.15
대댓글 1개
2025.05.16
2025.05.15
2025.05.16
2025.05.16
2025.05.16
2025.05.16
2025.05.16
2025.05.16
2025.05.16
2025.05.16
대댓글 1개
2025.05.17
2025.05.17
2025.05.17
2025.05.18
2025.05.18
2025.05.19
202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