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학부연구생이나 인턴 기간이 없을 때를 기준으로 반 년 안에 연구를 시작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인데, 선배님들의 의견은 어떤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8.27
보통 연구실 들어가서 하는 모든 연구관련 일들이 첫 연구 시작이긴 해요. 연구실 논문을 읽든, 실험을 도와주든 뭐든간에 첫 연구 introduction에 쓰일 지식들을 쌓는거니까요. 구체적인 연구 시작(논문 작성 고려, 논문 제목 정해지는 정도)은 들어가서 연구실 들어가고 최소 몇달, 1학기 정도 후 정도부터 겠죠. 보통 교수들은 신입 입학전부터 대략적인 주제를 생각해놓지만, 논문은 기본 지식이 깔려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제 던진다고 바로 적을 순 없죠. 기초지식이 탄탄해야하기 때문에 아마 실험 보조나 논문 읽기 같은 일부터 시킬겁니다. 그리고 한 학기쯤 후에 어느정도 퍼포먼스를 보고 교수님이 구체적인 주제를 던져주고 실험이나 결과를 내게끔 시키죠. 석사기준 대략적으로는, 1학기 연구실 기초 지식 습득, 2학기 주제 선정 및 실험, 3학기 논문 작성시작, 4학기 SCI 투고 목표 및 졸업준비 정도?
대댓글 1개
2025.08.27
아하..길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8.27
1학기동안 주제 잡고 실험해서 논문냄 인턴 X
2025.08.28
분야마다 교수님마다 다르십니다. 금방 끝낼수 있는 분야가 있고 뭔갈 키우거나 수술하거나 등등의 난이도가 있거나 하면 어차피 줘도 할수없긴합니다. 물론 프로젝트를 먼저 딱주시는 교수님도 계시지만 아닌분도 계십니다.
2025.08.27
대댓글 1개
2025.08.27
2025.08.27
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