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과 재학중이고 이번에 3학년이된 학부생입니다. 대학원을 진학할 계획인데 부끄럽지만 전공 공부 외에 그 어떤것도 해본적이 없어 최근 위기감이 생겨서 논문을 읽어보려고 하는데 막막합니다. 관련 유튜브 영상들을 찾아보고 있고 처음에는 리뷰 논문부터 시작하라는데 정말 안읽히네요... 질문 조금만 여쭙겠습니다 ㅜㅜ
1. 시간이 정말 오래걸리더라도 단어 하나하나 찾아가며 논문을 읽어보면 될까요?
2. 무슨 논문을 읽을지 선정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3. 인터넷에서 무료로 전체를 볼 수 있는 논문은 학교 도서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논문 사이트 링크를 통해 들어가서 찾은 논문들이 전부인거맞나요?
정말 아무것도 몰라 제가 보기에도 한심한 질문들이지만 여쭈어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3.05
누구나 처음은 있죠. 힘내시구요. 1. 그게 좋은데, 처음 리뷰 논문을 그렇게 읽으면 몇 달 까지도 걸릴겁니다. 애초에 학부생 보라고 쓴 글이 아니기도 하구요. 2. 가고 싶은 연구실을 정했으면, 해당 연구실에서 낸 논문 중 유명한 저널에 실린 것 위주로 읽어보세요. 만약 지인이 저자로 들어가있으면 설명 부탁해도 좋구요. 3. 이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는데, 학교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면 논문 사이트에서 논문을 그냥 읽을 수 있을겁니다. 도서관 사이트를 통할 필요 없이요.
대댓글 1개
2025.03.05
답변 정말감사합니다!!
2025.03.05
생명과학 전공 대학원생입니다. 저도 학부 때 똑같은 고민하면서 논문을 읽어 봐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고 시간도 오래 걸리니 조금 읽다 말고 여러 번 반복했었던지라 공감이 많이 되네요.
1. 시간이 정말 오래걸리더라도 단어 하나하나 찾아가며 논문을 읽어보면 될까요? - 사실 논문이 배경지식이 제대로 있다면 아예 이해하기 어렵진 않습니다. 관심있는 분야가 있다면 일단 그 분야에 대해서 교과서든 인터넷 검색이든 기초 지식을 더 확실히 쌓으신 다음에 그 분야에 대한 논문을 읽으면 조금 더 편할 거예요! 리뷰논문 처음부터 끝까지 읽겠다는 목표보다는 이 부분에 대한 내용만 읽단 읽어보겠다를 목표로 잡으시고 천천히 시작하시면 될 것 같아요.
2. 무슨 논문을 읽을지 선정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관심있는 분야 + review로 검색해서 되도록 최신 논문으로 고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저는 네이처 계열 리뷰 논문이 그림도 깔끔하고 퀄리티도 좋은 편이라 생각해서 nature 키워드까지 붙여서 검색해서 봅니다..ㅎㅎ 개인 취향일 수 있는데 대충 훑어보면서 짜임이나 그림이 이해하기 쉬워 보이는지, 큰 제목 위주로 봤을 때 내가 알고 싶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 기준으로 해서 마음에 드는 걸로 고르시면 됩니다.
3. 인터넷에서 무료로 전체를 볼 수 있는 논문은 학교 도서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논문 사이트 링크를 통해 들어가서 찾은 논문들이 전부인거맞나요? - 학교 와이파이 사용하면 자동으로 연결된 저널 다 볼 수 있구요, 학교 밖일 때는 학교 도서관 사이트에 교외 접속 관련해서 안내가 있을 거예요.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논문 사이트 링크말고 원하는 사이트에다 추가 주소 덧붙이면 접속 가능하다던가, 로그인하면 된다던가 하는 방법이 있을 거예요. 참고로 도서관에서 RISS DBPIA 이런 사이트가 아니라 대체로 구글스칼라(구글학술검색)나 펍메드 사용하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3.05
긴 답변 감사드립니다 ㅜㅜ
2025.03.05
3. Pubmed에서 관심키워드로 검색하면 왼쪽에 Full text나 Free full text라고 필터가 있습니다. Pubmed Central (PMC)이나 open access로 실린 논문들인데 이건 학교밖에서도 제한없이 접근가능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3.05
답변 감사합니다!!
2025.03.05
같은 학과 내에서도 분야가 굉장히 다양합니다. 분야 없이 무작정 논문 읽으면 금세 질릴 수 있어요. 전공 공부 중 흥미있는 내용에서 출발하여 찾아보는 게 좋아요. 각 연구실에서 학부생 대상으로 하는 소개 들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학부생 입장에서는 몇 달 동안 읽어도 논문 하나 이해하기 어렵고, 잘못 이해 할 가능성이 높아요. 연구실 소속의 선배에게 도움을 받거나, 유튜브에 논문 소개해주는 영상이 많으니 길라잡이 삼아 보세요. 논문은 교내 인터넷이나 학교 계정으로 구글 스칼라 접속하면 (구독 중인 학술지의 경우) 학부생도 볼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3.06
답변 감사합니다!
2025.03.06
1. 학부생이 논문 하나하나 다 읽으면 시간 엄청납니다. 논문 읽는건 학부생이 아니라 대학원생도 처음에 잘 못읽습니다. 2. 관심있는 분야의 최신 논문. 3. 맞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3.06
답변 감사합니다!
2025.03.06
리뷰논문도 처음 읽으면 어렵습니다. 그냥 처음부터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내가 관심있는 분야의 리뷰논문을 읽다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나오면 그 부분에 해당하는 논문을 찾아 읽어보세요.
2025.03.05
대댓글 1개
2025.03.05
2025.03.05
대댓글 1개
2025.03.05
2025.03.05
대댓글 1개
2025.03.05
2025.03.05
대댓글 1개
2025.03.06
2025.03.06
대댓글 1개
2025.03.06
2025.03.06
대댓글 1개
2025.03.06
2025.03.06
대댓글 1개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