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2025.10.05

20

3627

비단 연구라는건 아무도 모르는 사실을 밝혀내는 행위인데

답지도 없는 상황에서 문제가 안풀리면 다른일 할 생각이 듬?

나는 끼니 챙길 시간도 아까울 정도로 그 문제에대한 생각만 나던데

워라밸 타령하는 사람들은 연구하려고 대학원 온게 맞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5.10.05

연구실마다 다르긴 한데 일만 잔뜩 시키면서 연구에 시간 아끼지 말라는 교수, 학생들 상시 9 to 9에 연휴에도 주말에도 쉬지 말아라
자유로운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열심히 하는거랑 과로 시키는 거랑은 다른 문제 같음

온전히 일이 없이 연구만 시키면 모르겠는데 학생도 사람이다요 제발

2025.10.05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과 사는 방식만이 정답이라 생각한다면 다른 생각과 사람은 다 틀렸다고 생각할 수 밖에요. 님만 옳고 님이 다 맞습니다. 틀린채로 살아가는 이들이 많아 얼마나 갑갑하고 힘드실까요.

대댓글 2개

2025.10.05

적어도 교수의 지도를 받고싶다면 내가 맞음

2025.10.05

혹시 논문도 이렇게 쓰시나요?
'내 발견, 내 주장이 무조건 맞음 어떻게 이거랑 다른 생각을 할 수 있음? 출판하고 싶다면 다른 주장 그건 무조건 틀린 것임. '

2025.10.05

적당히 쉬면서 해야 창의성도 생기는법이죠. 엉덩이 12시간 붙이고 앉아있는게 능사는 아닙니다 ㅎㅎ

2025.10.05

헉 엉덩이 12시간 붙어있어서 어떤 논문들을 내심 ㄷㄷ 레퍼런좀

2025.10.05

워라밸 챙겨서 성과내는 사람이있고
워라밸 다 버리고 연구해도 성과없는 사람이 있음
해석은 다양하게 가능하지만
시간을 갈아넣는다고 딱히 연구를 잘하는건아님

대댓글 1개

2025.10.06

맞음 연구자 각자 몫인거지 열 올릴 것까지 있나?
그리고 알아서 깨닫는 영역인거지.
나는 워라벨 챙겼다가 연구 집중 하면서 자발적으로 안 챙기는 시간이 자연스럽게 많아짐. 그것 또한 깨닫는 각자의 몫이고, 대학원도 다 같지 않고 사람마다 대학원 온 목적도 다름. 극단적으론 글쓴이 같은 분들이 오히려 연구실 분위기 망침.

2025.10.05

랩에서 강제하는 경우가 있으니 문제 아닐까? 냅두면 알아서 잘 함.

2025.10.05

그 연구라는걸 평생하려고 시작하는건데, 스킬을 intensively 익히는 기간이 있는거지만 연구를 장기적으로 하기 위해서 삶과 연구를 병행시키는 방법도 배워야하는거 아닌가?

그런 마음으로 연구할거면 잠은 왜잠? 잠이옴? 경조사 챙길거임? 지금 실험 결과가 코앞인데 타인일이 뭐가 중요함?

그런데, 연구는 혼자하는게 결코 아니기도 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끊임 없이 연구 분야가 발전하려면, 열심히 연구만 하면 삶을 살 수 있다, 가정을 이룰 수 있고,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이미지를 줘야 우수인력이 계속 들어올게 아님?

열심히 해야하는 순간에 나태를 허락하는게 아님. 당연히 악셀 밟아야 하는 순간에는 잠도 못자고 중요한 다른 일 높치기도함. 하지만 길게 봤을 때는 삶과 병행 할 수 있어야함. 그래야 재밌게함.

2025.10.05

님은 문제가 있으면, 해결에 집중하는 스타일로 보이는데,
어떤 사람은 문제를 회피하는 쪽(스트레스 회피형)을 택할 수도 있고,
문제로 보지 않는 경우(취업목적형)로 볼 수도 있음.
그리고, 워라벨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음.(마라톤형, 지속가능한 형태로 평생 과학자로 살기 유리함)
--> 다양한 사람이 있다 + 인생에 정답은 없다 + 내가 통제할 수 없는 것에 굳이 시간과 에너지를 쓸 필요는 없다라는 생각을 하면 유리할 듯.
(과학자로써,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제가 보기에는 님도 괴학적해답을 찾을시간에 쓸데없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서 에너지를 낭비하는 사람중 하나로 보임. 잘못된 것이라기 보다, 비효율적인 부분으로 보임.)

2025.10.05

어디에나 빌런은 있지만... 회사보다 학교에서 더 많이 보이는 이유는 자원의 결핍이 문제인걸까?

2025.10.06

지능이 낮아서 이런 일차원적인 사고를 하는건가

2025.10.07

대학원/연구실 생활을 하게되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될 위험이 커지는데 그쪽을 향해서 달려가시는 듯. 세상은 넓으니
주위를 둘러보세요.

2025.10.07

시간을 갈아넣는다고 해서 연구가 잘되는건 아니죠.
너무 단편적으로 생각하는것같네요

대댓글 1개

2025.10.08

근데 본인이 낸 결과에 대해 고찰로
수 많은 경우의 수를 생각해서 검증한다면
시간을 갈아넣을 수 밖에 없죠

뭐 원론적으로 재능이 다르기에 정답은 없다고 생각되지만,
오랫동안 생각하고 낸 결과는 탄탄합니다
그 과정이 다 리뷰어 질문들에 대한 해답이 되므로...

우수한 사람이면 님 말씀처럼 적당한 시간에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봅니다

2025.10.08

딱봐도 석사 신입생 ㅋㅋㅋ

2025.10.08

인간은 기계가 아닙니다...

2025.10.09

인간의 목적은 아주 다양합니다. 대학원 다니면서 사업을 구상할수도 있구요. 특히나 본인의 사례만으로 모두가 그래야만 한다던가 또는 다른 방식이 가능한가 따위의 질문을 하는게... 매우 비과학적으로 보이네요.

2025.10.09

맞는 말이긴 한데 그걸 강요할 순 없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