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8 - 글쓴이 성향은 창업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박사를 스펙을 위해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연구만 쭉 한 박사들 주제에 창업이 쉬울 줄 알고 스타트업 뛰어들었다 망하는 경우도 많죠.
본인의 적성을 한번 고려해보세요.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4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2 - 고3 여름때 모의고사 5등급 받고 설의대 가고싶어요 어떻게 해야해요? 정도 인듯합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1 - 돈 있으니까 좀 사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 동기나 잘 하니까 좀 알려주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이나 그냥 똑같은 듯 합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33 - 헛바람들은 소리 하지말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산학 과제로 시작하던 정규로 채용 공고를 올려라 절차없는 ㅈ소마냥 굴지말고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31 - 제가 보기엔 떠먹여주신거 같은데요 ㅠ
NeurIPS 도전기 (feat. 지도교수님)
14 - 일기는 일기장에.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3 - 꼭 오래잇다고 열심히 한거고 잘한것도 아님
루틴을 짜서 건강하고 지속가능성있는 연구를 하세요
오래잇으면 매너리즘만생김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3 - 대학원 처우는 아쉽게도 나혼자 열심히한다고 개선되진않습니다
장학금 풀은 학바학 과바과 랩바랩 차이가 심하고
지거국 과는 다른 사립대환경
학생수가 과제수비해 많은 랩실환경
과제비 타먹기 좋지않은 연구주제 풀 등
현실적으로 교수역량에 좌지우지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더 치열하게 고민하고 도전해야하는 것이 박사과정입니다
박사과정나온다고 무조건 돈을 버는 시대도 아니고 기회비용이 들어가는 것이니까요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0 - [열심히 하면 돈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빼고 다 맞는 말이네요.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5 - 대학원생 때 뿐만 아니라 해외포닥 때도 새벽 6시반 출근.
석사때부터 취미는 다 없애고 연구실-집 만. 바쁠 때나 연구 삘이 빡 올 때 아니고는 잠은 내일 지장 없을정도로 자지만, 그 외 시간은 다 연구.
걸을 때나 샤워할 때나 연구 주제나 흐름 생각.
생각보다 연구실에 앉아 있는 시간은 중요하지 않음.
실적은 분야마다 정량적인 수치가 너무 달라서 말하기 어렵고, 그냥 연구실 내 실적/퍼포먼스 top 유지하면 됨.
교수님이 어디가서나 연구실 누가 제일 잘해요? 하면 이름 나올 수 있는 정도.
연구실에서 독보적 에이스가 되면 교수님도 눈치, 대우 해줌. 딴 학생에 비교해서. 그렇게만 하면 원하는 곳 갈 수 있게 될꺼임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3 - 남자가 ㅄ인건 확실한데, 높은 확률로 모쏠이 들이댈 정도면 여자가 여지를 주는 경우도 꽤 있음.
모쏠은 아무나 안(정확힌 못)건드림. 자기에게 여지를 주는 애한테 혼자 착각 빠져서 들이대는거지 눈치도 없거든 보통.
여자는 난 그냥 사회 생활 한거다/몰랐다 무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솔직히 그거 모를수가 없음. 본인이 은근히 빨아먹을게 있어서 살짝 밀당 좀 한 것도 있을꺼임.
그래서 난 여미새나 그거 받아주다가 나중에 연구실 분위기 박살내는 여자애나 다 곱게 안봄..
연구실 여미새는 본인이 티가 안 난다고 생각하는 걸까
13
공주대 영상 3.8 → 국민대 스마트경험디자인 석사과정 합격
2025.07.10


국립공주대학교
B. 전공, 학점
영상학과, 학점 3.8/4.5
C. 스펙: 어학점수, 인턴활동, 대외활동, 자격증
<어학 점수>
없음, 최근에는 번역이나 AI가 잘되어 있어서 엄청난 영어 실력이 필요하지 않은 거 같습니다. 그럼에도 영어를 해두시면 해외논문 보거나 국제학회 발표하실 때 많이 도움될 거라 생각합니다.
<인턴 활동>
미국 조지아 한국일보 애틀란타 인턴, 1개월
1개월 체험형 인턴이고 촬영, 편집 등 영상 제작 위주로 했습니다.
교수님께 보여드렸을 때는 크게 유심히 보신 것 같진 않습니다.
<대외활동>
전공융합 연합동아리
UX/UI 프로젝트
한국디자인학회 대학생발표대회 장려상
전공융합 동아리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와 수업 때 했던 UX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제출했는데,
제 포폴이 특출나지는 않았어서 그보다도 디자인학회에서 논문을 쓴 경험을 더 흥미롭게 보신 것 같습니다.
D. 면접 후기(기출 문제)
면접은 오래 기다렸는데 3분 정도로 너무 짧았습니다.
왜 취업이 아니라 대학원에 오느냐? 대학원 이후에 무얼 하고 싶은가? 논문을 써보니 어땠는가?
이러한 질문이었고 포트폴리오 발표 형식인 줄 알았지만 포폴에 대한 발표는 거의 안했습니다.
E. 대학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대학원은 확실히 취업과는 다릅니다.
지금 당장 실무에서 쓰는 것이 아니라, 미래 먹거리가 되는 산업이나 자신이 흥미로워 하는 분야를 연구하는 곳 같습니다.
그래서 실무와 동떨어진 느낌도 듭니다. 다만, 본인이 자신이 원하는 직무나 기업의 멀지 않은 미래에 대해서 고민해보고
어떤 연구가 유리할지 생각하면서 연구에 임한다면 더 좋은 곳으로 가기 위한 발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도피성 진학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학원은 대기업에 갈 때 유리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지금 당장 돈이 되는 것을
바라보기 때문에 오히려 대학원 진학은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물론 자신의 역량에 따라 다르지만요).
디자인 계열 후기가 많이 없을텐데,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많이 고민하시고 진학하시길 바랍니다.
-
134 24 24682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김GPT 14 6 9487
대학원입시 준비하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김GPT 11 0 9596
컨택 후기 김GPT 0 1 6760
미대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0 3 7144-
0 4 606
대학원 컨택 김GPT 0 5 1985-
0 8 1160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86 91 41621-
69 31 34910 -
108 53 112330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06 - 지난 10년간 국제 심리학계를 뒤흔든 재현위기 (reproductibility crisis) 요약 (1편)
281 -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406 -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3
49 - 박사생 없고 각자도생 개인주의 랩실 1년차인데 도망칠까요?
11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76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7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40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61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23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26 - 오늘 카이면접자 모두 화이팅!
12 - 교수가 학생들에게 돈 적게 받고 연구하는걸 강요할 수 있을까?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3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74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2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31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35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24 -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12 - 31살 물리학과 대학원 진학
16 - 포공은 대학원 위주의 문화인가요?
11 -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8 - 카이 전산 면접
13 - 지금 상황에서 박사 졸업을 하는 게 맞을까요?
15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