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MZ라고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9-22를 근무시간으로 정한 랩 자체도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저도 학위는 한국에서받았지만 이후에 제가 미국생활을 오래해서 그런걸수도 있겠지만요. 한국에 있던랩도 자유출퇴근이였고, 전문연 친구들만 정해진 시간이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 문화에서 식대요청을 하는건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교수가 느낄때 눈에띄는 행동을 하는게 좋지만은 않은게 한국문화죠. 개인적으로 9-22 근무시간을 무조건하라고 하면, 식대요청을 할수있는게 당연하다고 지금은 생각하지만, 저도 한국에 있을때는 'MZ는 다르네?' 라고 생각했을것 같습니다. 물론 미국또한 애초에 9-22를 요청하는곳은 말도안되는 중국인/한국인 PI랩 제외하고는 거의없지만, 그렇다해도 다들 본인이 싸와서 먹는편입니다.
여튼.. 9-22를 강제로 하는 랩은 조금 충격이네요.. ㅎㅎㅎ
대학원에서 풀타임 근무시 저녁 식대에 대해서
26 - 저희 연구실은.. 제가 교수임.
우리 연구실 졸업생들
32 - 원론적으로는 다 맞는 얘기인데, 현실적으로는 이미 대학원생 인건비는 그냥 누구나 다 받는 장학금 개념으로 변질돼버림. 솔직히 석사과정은 커녕 박사과정도 과제에 큰 도움 안 되는 경우도 있지. 그래도 어쩌겠누. 세상이 변했고 인건비보고 대학원 진학 결정하는 애들이 넘쳐나는걸. 이제는 과제를 따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학생 인건비 지급임.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22 - 굳은 일 혼자 다하시고 과제 따러 항상 혼자 이리 저리 바쁘시고 인건비는 인턴부터 박사까지 풀로 주시고 해외 인턴쉽도 골고루 다 보내주시고 학생들은 자율출퇴근에 자유롭게 연구하도록 최대한 배려해 주시고 정말 눈물나게 고마운신 스승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14 - 그럼 미국만큼 퀄리티 있는 대학을 만들어서 모두가 오게 만들던가 지금 개나소나 다 의대갈려고 발악하는 와중에 월급마저 끊기면 퍽이나 가겠다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40 - 어그로 ㅋㅋ 어디서 교수컨셉하나. 좀 잘 조사하고 따라하던가. 여튼 어그로짓도 머리가 좋아야 잘한다니까. 넌 탈락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15 - 미국도 석사 돈주던데 뭔소리하냐 ㅋㅋ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13 - 아무 도움 안되는 신입사원 돈을 왜주죠? 대리/과장부터 주는게 당연한거 아님? 같은 무식하고 얕은 생각을 교수컨셉으로 씨부리니까 개웃기긴하네 ㅋㅋㅋㅋ 전형적으로 머리 나쁜 애가 팩트거리는 팩트충이잖아. 논문 한번 안써본 깊이가 그냥 보인다야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14 - 대한민국 인재상은 지방 to 있잖아요 ^^
오 카이 면탈했습니다
25 - 지방 to있는데 진짜 인재는 아니죠
카이 면떨 대한민국 인재상 1차통과
12 - 쉽게 생각해보면 됩니다. 자대생이라고 뽑히는게 아니라, 인기랩에 들어간 자대생들은 1년정도 랩인턴 하면서 본인이 연구실 문화에 잘 적응할수있는걸 보여준 사람들입니다. 그런 사람을 놔두고 굳이 검증도 안된 사람을 뽑으라는것 자체가 웃기지 않을까요.
상대방이 지금까지 열심히 쌓아온건 안보려고 하시고 단순히 "자대생이니까 특혜받네" 라고만 말하는건 패배의식일 뿐입니다. 본인이 그걸 극복하기위해서 뭘하셨는지부터 생각해보시는게 어떨까싶어요. 최소한 본인이 1-2년 전부터 해당랩에 가고싶거나 인턴하고싶다고 적극적으로 교수한테 어필하셧는지 돌아보세요.
진짜 연구실 배정 타대생 짬처리 비일비재해요?
13 - 논문이야 다다익선인데.. 일단 첫째로 '석사가 이렇게 다작 하는건 일반적으로 불가능한데, 교수가 다 써줬나?' 라는 생각이 들 수 있구요. 둘째로 '데이터/샘플 쪼끔씩 깔짝 바꿔서 low reputation 논문 양산하는 연구실에서 트레이닝 받았나?' 라는 생각이 들 수 있겠네요.
'스무살인데 과학 연구 경력이 17년입니다' 라는 말을 듣는거랑 비슷한 기분..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13 - 괴수면 김박사넷 말고 하이브레인넷으로 가라고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13
!졸업을 도와주세요! 대기업 연구개발(R&D)인력 대상 설문조사 참여자/조사협력자 모집
2025.09.17

서울대학교 산업인력개발학과 석사과정 노예원입니다.
저는 현재 대기업 연구개발인력의 창의적 행동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장의 창의적 행동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현직자분들의 소중한 의견이 필요합니다.
1. 연구 안내
연구대상 기업은 아래의 목록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설문은 약 5분 정도 소요되며,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커피 키프티콘을 보내드립니다.
2. 참여 방법
하단의 연구 대상 기업에서 연구개발(R&D) 업무를 수행하고 계신 분은 아래 이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y1y1818@snu.ac.kr
이메일로 연락 주시면 연구 대상 여부를 확인한 후, 설문에 참여하실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리겠습니다.
3. 조사 협력자 모집
설문 링크를 동료에게 공유하여 10명 이상의 응답을 얻는 데 도움을 주시는 조사 협력자분께는 커피 기프티콘 외에 소정의 사례를 드립니다.
조사 협력을 희망하시는 분께서는 이메일에 '조사 협력자 희망'이라고 함께 작성하여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4. 대상 기업(가나다 순)
● 기아
● 네이버
● 대웅제약
● 두산에너빌리티
● 르노코리아
● 삼성디스플레이
● 삼성물산
● 삼성바이오에피스
● 삼성에스디아이
● 삼성에스디에스
● 삼성전기
● 삼성전자
● 셀트리온
● 에스엘
● 에스케이바이오팜
● 에스케이온
● 에스케이텔레콤
● 에스케이하이닉스
●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 에이치엘만도
● 엔씨소프트
● 엘엑스세미콘
● 엘지디스플레이
● 엘지에너지솔루션
● 엘지이노텍
● 엘지전자
● 엘지화학
● 원익아이피에스
● 유한양행
● 카카오
● 케이지모빌리티
● 케이티
● 포스코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한국항공우주산업
● 한미약품
● 한온시스템
● 한화비전
● 한화솔루션
● 한화시스템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현대건설
● 현대로템
● 현대모비스
● 현대자동차
● 현대제철
● 현대케피코
● 현대트랜시스
5. 문의사항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02-880-4894(노예원)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어제 pd 수첩 레전드 컷 김GPT 83 11 9323-
49 25 5112 -
59 31 5521 -
0 2 478 -
124 37 12594 -
44 29 7220 -
49 41 8358
대기업 연구 가고 싶으면 김GPT 2 11 1877
연구 모집 김GPT 0 0 282-
293 45 73972 -
98 41 9266 -
330 31 6895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04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37 - 그냥 김박사넷도 하나의 디시네요 ㅋㅋㅋ
43 - 대학원에서 풀타임 근무시 저녁 식대에 대해서
32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49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28 - 오 카이 면탈했습니다
12 - 카이스트 자대 떨어졌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18 - 미국 T60 권 박사 유학 (풀펀딩)vs 서카포연고 박사 진학
12 - 식대 안 준다, 대학원에 일하러 왔냐 하는 애들 특 = 좋은 대학 아님
25 - 이공계 스타이펜드 돈떼먹는지만 말해줘요
17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22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9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