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d 연구개발직도 결국은 회사가 시키는 일을 하는 건가요? 김박사넷 찾아보니 논문 읽고 이런 느낌이 아니라 그냥 회사에서 주어진 일 하는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2. 석사 연구 주제와 r&d 연구개발직으로 재직하며 하는 연구가 비슷한가요? 만약 다르다면 그냥 끼워맞추기 식으로 서류 준비해서 합격한 후 입사해서 새로 그쪽 일을 배우는 건가요?
3. R&d는 r&d 라는 팀이 따로 있는 게 맞나요? 그럼 그 팀에서 여러 연구주제를 다루는 건가요? 아니면 r&d 연구개발직으로서 진행하는 연구 분야가 한정적인 건가요?
답글 달아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2.15
석사가 그럼 뭐 연구 주제 능동적으로 하실줄 알았나요 Head는 무조건 박사이상입니다
석사는 당연히 시키는 실험, 일만 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2.15
댓글 감사합니다. 혹시 석사 때 연구 분야랑 r&d 연구 분야가 매칭이 안되더라도 합격하는 경우가 많나요? 실제 기업 r&d 팀에는 연구 분야가 매칭이 잘 되는 사람만 재직하는건지 궁금합니다
2024.02.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팀 단위로 활동함. 석사급 연구원들은 보통 한두분 박사님 밑에서 시키는 일만 주로 진행. 결과 확보에 필요한 실험하고 회사 자료 만들고. 연구보고서 작성하고. 팀장을 잘 만나야하는건 지도교수랑 매한가지인데, 시스템과 체계가 잡혀있는 대기업 혹은 중견급 이상 기업연구소의 경우엔 오히러 대학원보다 워라밸이 나음.
대댓글 1개
2024.02.15
댓글 감사합니다. 혹시 석사 때 연구 분야랑 r&d 연구 분야가 매칭이 안되더라도 합격하는 경우가 많나요? 실제 기업 r&d 팀에는 연구 분야가 매칭이 잘 되는 사람만 재직하는건지 궁금합니다
2024.02.15
그냥 감옥이죠. 죄수에요. 쇠고랑만 안찼지
대댓글 1개
2024.02.15
댓글 감사합니다. 혹시 왜 감옥이라고 하시는 건지 알 수 있을까요?
2024.02.15
다 같은 박사여도 연구소장이 결국 승인하지 않는 프로젝트는 진행 안돼고, 연구소장은 오너가 승인한 프로젝트를 주로 추진함. 결국 비박사인 기업오너 취향을 맞춘 일이 생전 처음 보는 일이어도 박사과정 할때처럼 얼마나 기민하게 추진할 수 있는지가 평가의 관건임.
2024.02.15
대댓글 1개
2024.02.15
2024.02.15
대댓글 1개
2024.02.15
2024.02.15
대댓글 1개
2024.02.15
2024.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