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학 카테고리에 넣으려다가 포괄적인 질문인 것 같아서 아무개랩에 작성합니다.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 박사로 가는 분들의 경우, 석사를 건너뛰는만큼 경쟁력 있는 연구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부연구생 경험을 통해 국내 저널/컨퍼런스의 2저자로 논문 여러개를 내는 것까진 저도 해봤지만, 다박을 가는 분들은 더 대단하신 연구 경력을 가지신 것 같더라고요. 터무니없는 질문일 수 있지만 학부생일 때 SCI급 논문의 1저자 같은 경력은 어떻게 쌓나요? 저학년 때부터 전공지식을 쌓아 남들보다 학부연구생을 일찍 시작하면 가능한가요? 아니면 학교 공부 시간 외엔 관심가는 연구에 시간을 몰두하시는지.. 제 학부가 높지 않아서 그런지 주변에 이렇게 특출난 경우는 잘 보지 못해서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무심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4.12.13
조교수의 하드캐리. 말곤 답없음.
대댓글 1개
2024.12.13
교수가 하드캐리 하면서 적어도 3학년 때부터는 학부연구생으로 들어가서 연구 해야 함. 일을 하기는 해야 교수가 하드캐리라도 하죠. 근데 이렇게 하면서 학점관리도 하면서 영어점수 및 SOP도 준비하고 이 모든 것을 다 잘하기는 매우매우 힘들겠죠. 학점 관리에 집중하고 자대 학부연구생하면서 석사까지 이어서 하고 일저자 논문 만들어서 박사 지원이 일반적이죠. 아니면 탑스쿨에 학점 그냥 탑이면 주저자 논문 없이도 박사 유학 잘 가는 경우 꽤 있어요.
2024.12.13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최소한 1-2년은 실험을 해야 데이터가 나옵니다. 근데 학부생이 1저자가 된다는 것은 학생 중에는 거의 주도적으로 했다는 것이고, 그렇다는 것은 대학원생이 아직 없는 신임 교수님들이 다 직접 가르쳐 주시면서 배운 학부생일 것입니다.
대댓글 1개
2024.12.14
글쓴입니다. 제가 본 유일한 경우도 대학원생이 없는 신임교수님께서 학부생이 1저자 쓰게 해줄테니 열심히 할 사람 오라고 유인하는거였어요. 학생 자체도 주도적으로 열심히 해야 하고, 랩 컨디션도 그에 받쳐주는 운좋은 케이스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4.12.13
내가 지금 1년차인데 대학원생 없어서 그냥 학부생 데리고 실험시키고 논문 쓰는중임 나름 기대도 없었는데 1정도 해오면 신나서 도와주는중ㅋㅋㅋ
2024.12.13
특출난 사람을 겪어볼 수 있는 위치가 아니면 감이 안 오긴할텐데, 우수한 사람이 성실하기까지 하면 학부때 탑급(분야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도 비벼보는거고 그거 아니어도 그냥 sci급 아무거나면 오케이 수준이라면 걍 좀만 일찍 움직이면 됩니다.
2024.12.13
결국 혼자힘으로는 어렵고 교수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서 연구하는 학부연구생 중 일부가 성공해서 나가는거
2024.12.14
sci도 랭킹에 따라 천차만별이긴한데 q1, q2나 그 이상급을 말하시는걸로 생각하겠습니다.
학부때 열정적인 교수님 만나서 q1 2편 + 탑급 저널 1개 써본 제 경험으로는 연구는 어떻게든 노력으로 커버가 가능하지만 논문 작성 자체는 90%이상 교수님 능력인 듯 합니다.
더불어 교수님과 커뮤니케이션도 정말 중요하고 연구 분야도 매우 중요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새로 떠오르는 학문에 교수님이랑 같이 뛰어들어서 일주일에 두세번은 미팅을 했던 거 같습니다. 제가 아이디어 여러개 들고가면 교수님께서 괜찮으신거 선별해주시고 그걸 연구하는 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전역하고 2년정도 학부연구생 했는데 주변 연구실 석박사보다 열심히 했다고 자부할 수 있을 정도로 노력 많이했습니다. (학비 문제 상 성적 장학금을 받아야해서 학업 병행하면서 항상 수석도 했습니다.)
근데 논문 작성은 어쩔수없더라구요. 제가 초안을 써가도 교수님 수정한거 보면 완전히 다른 논문이 되어있습니다. 자기 연구내용을 글에 잘 녹여내는 것도 중요한 내용이란 걸 절실히 느꼈습니다.
아무튼 어디서든 열심히하면 그에 맞는 보상이 올테니 너무 걱정만 하지마시고 하나씩 차근차근 해나가면 좋은 결과 있을겁니다.
대댓글 1개
2024.12.14
네 저도 논문 작성할 때 교수님의 수정을 받으면 완전 다른 논문이 되어있는걸 보면서 동일한 생각을 가졌었어요. 동감합니다. 그나저나 수석을 하면서도 대학원생 수준의 연구를 해내신 것에 경의를 표합니다. 존경스럽고 마지막 코멘트도 감사합니다!
2024.12.14
저희 랩에도 학부생 탑컨퍼 논문 쓴 분 있었는데 걍 대학원생처럼 똑같이 출근하고 주말에도 나왔어요. 걍 3학년부터 "난 석사과정이다"생각하고 주말 밤낮 연구에만 몰두하는 사람들이 학사 마치기 전에 해외 컨퍼나 저널 1저자로 내더라고요.
2024.12.14
그냥 운 좋게 만난 랩에 좋은 교수님이랑 같이 연구했을 뿐임.
2024.12.14
현재 학부생이고, IF 15정도 되는 논문에 단독 1저자로 논문 작성 후 마이너리비전까지 마친 상태입니다. 리뷰어 3명 중 2명은 어셉을 준 상태이고요.
저는 학부연구생을 2학년부터 시작해서 미친듯이 실험했습니다. 2년 동안 10시 전에 집에 간 적이 거의 없도록요. 3학년 되자마자 연구과제의 연구원으로 들어가 혼자 연구를 시작했고, 4학년이 되면서 두개의 연구과제의 주연구원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방법은 능력을 알아봐주는 교수님을 만나는 것과 포기하지 않는 것, 연구주제를 잘 잡는 것 입니다. 근데 저도 다이렉트 박사 준비하고 있는데 논문 하나가 크게 중요한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 같은 경우 학부가 크게 좋은 대학이 아니라 더 그런 듯 합니다.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2024.12.13
대댓글 1개
2024.12.13
2024.12.13
대댓글 1개
2024.12.14
2024.12.13
2024.12.13
2024.12.13
2024.12.14
대댓글 1개
2024.12.14
2024.12.14
2024.12.14
202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