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help!!!) 우리 연구실에 외국인 박사님이 있어요!!

2025.11.20

0

김박사넷 이용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다음은 2018년도에 BRIC과 ESC가 공동으로 조사한 국내 다문화 (외국인 연구자/학생) 연구실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입니다.

2025년 현재 시점에선 뭔가 달라진게 있을까요?
(지금은 굳이 긍정적/부정적 영향이라고 할만한 부분이 아니거나, 새로운 시각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외국인 연구자/학생과 함께 하시는 랩구성원 분들의 많은 자유로운 의견 부탁드려요!
(가감없이 필터링 없이 말씀해 주셔도 되요!)

말씀 주신 의견은 외국인 연구자 대상 한국 연구 문화 이해와 관련된 교육자료의 초기 방향 설정 용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댓글에 미리 감사드려요!

=====================================

1. 연구실 내 외국인 연구자/학생의 긍정적 영향
- 외국어 능력 향상 및 국제적 감각 함양 (영어 이용 기회 증가, 영어로 진행되는 랩 미팅, 잦은 영어 사용으로 외국인 포비아 해소)
- 연구실 문화 개선 및 다양성 증대 (자유롭고 수평적 분위기,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 디스커션 문화)
- 연구 역량 및 국제 네트워크 (연구시너지,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으로 미래 공동연구 기회)

2. 연구실 내 외국인 연구자/학생의 부정적 영향
- 행정 및 생활 지원 업무 부담 가중 (한국어 서류/행정처리 불가)
- 부가적 케어 업무 발생 (의식주/가족/은행 등)
- 호의/배려를 당연하게 여기는 마인드

3. 연구실 내 외국인 연구자/학생으로 인한 역차별 인식
- 업무부담 불균형 (언어 장벽을 이유로 행정/잡무(연구비 보고서, 공동 실험실 업무, 청소 등)에서 열외)
- 재정적/복지 혜택 차이 (외국인에게만 등록금 전액 장학금, 생활비 추가 지원, 기숙사 우선 배정(더 좋은 시설 포함)
- 연구 책임 및 평가 기준 완화 (외국인 학생에게는 졸업 요건 충족이 비교적 수월하거나, 연구 성과가 없거나 포기해도 관대하게 처리)
- 연구실 분위기 (랩 미팅이나 강의를 영어로 진행하게 되면서 국내 구성원들이 모국어로 토론할 기회를 잃거나 정보 습득에 어려움)

4. 연구실 내 외국인 연구자/학생으로 인한 갈등요인들
- 언어장벽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의사소통이 원활치 않아 효율이 떨어짐)
- 문화/태도 문제 (정시 퇴근 요구, 공동 기기 사용 후 뒷정리 미흡, 위생 청결 문제(냄새 등), 개인주의 성향, 그리고 종교적 문제/식습관)
- 한국문화 적응 부족 (한국어/한국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 자신의 문화적 차이를 방패로 삼거나, 공동 생활 규칙을 무시하는 경향)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