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테크닉이나 노하우 이런거 하나도 안 알려주고 모든지 알아서 해라 라는식의 연구실이 많은 편인가요?
이럴거면 혼자 논문 쓰고 말지 대학원 왜 가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3.06.10
펀딩 따오기
2023.06.10
그냥 오토 돌리는거죠 국가지원금 받고 이거저거 다받고 기업과제도받아오고 적장자기는 지도하나도 안하면 지상천국... 똑똑한 다음세대들이 잘못된걸 알고 저항하는걸 미디어에서 mz라고 조롱하는 현실... 현실에 분노하십시오
대댓글 3개
2023.06.1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토 돌리느거라닠ㅋㅋㅋㅋ
2023.07.18
우웩 요즘 mz가 저항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씹ㅇ글
2024.03.24
ㄴ 틀딱왔노ㅋㅋ
2023.06.10
세세한 테크닉보다는 큰 방향 잡아주는 경우가 많죠. 분야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매크로 매니징이 교수의 역할.
2023.06.10
1. 과제를 수행해서 대학교에 돈 벌어주기 (사립대일수록 더 그런 듯) 2. 연구 업적으로 대학교 랭킹에 기여 3. 1번 2번을 수행하기 위해, 하다보니 대학원생을 육성하게 됨.
크게는 방임형과 마이크로 티칭형 두 개로 나뉨. 내 주위 기준으론 방임형이 더 많은 듯 그래도 완전히 방임은 없고 교수가 큰 그림을 잡고 선배가 테크닉과 노하우 같은 것을 알려주는 구조가 일반적이라 봄.
대학원생 자동사냥 모드 돌려보고(자동사냥 할 때 옵션이나 사냥터는 정해줘야 하자늠 ㅋㅋ) 약간의 지도를 해주면서 논문 쓸 능력 되면 과제업무+논문 실적으로 도움 되니까 적당히 부려 먹다가 아무튼 논문을 쓸 줄 아니까(연구할 줄 아니까) 언젠가 학위를 줌. 에프터 서비스 좋은 지도교수면 취직할 때 도움 꽤 많이 줌 특히 네임 벨류 있는 교수 밑에서 졸업하면 그냥 그 자체로 연구기관에서 구미가 당기게 만드는 좋은 매물임 ㅇㅇ
하지만 논문 쓸 능력을 혼자서 못 키울 땐? 그래도 얘가 열심히 했으니까 학위 주고 물박사로 시장에 매물로 떠돌다 포닥/파트타임으로 살게 되거나 걍 포기하고 딴 거 함 아니면 아예 졸업 안 시켜줌
2023.06.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럼 혼자 논문 써보세요. 진짜로 할 수 있나.
2023.06.10
혼자서 펀딩 따올수 있고 혼자서 연구실 세팅 할수 있으면 본인스스로 해보세요. PI의 가장 큰 의무는 밖에 돌아다니면서 우리 연구실 이러이런거 하고있으니 돈주세요 하는거에요. 그돈으로 월급도 받고 장비도 사고 하는거구요. 학부생이면 그럴수 있지만 대학원생이면 질문자체에 반성좀 하시길..
2023.06.10
1. 펀딩 2. 학생 지도 (연구 방향 토론) 3. 네트워킹 (본인 및 학생의 진로에 도움이 됨) 4. 대학원 수업
연구 테크닉이나 노하우까지 교수가 알려줘야 하는 연구실은 피하는게 좋음. 그런 연구실 내에 협업이나 연구 방법론에 대해 누적된 자료가 없다는 의미.
2023.06.10
1. 펀딩 따오기 2. 연구 지도 (연구 방향, 가끔 막히는 부분) 3. 수업 이라고 생각하는데 일단 우리 교수는 3 외엔 죄다 학생들 시키거나 제대로 못함.
2023.06.10
연구비 따오고 렙 운영해주는게 교수 본 역할이고 실험하고 논문쓰는건 당영히 학생이 해야지 뭘 다 떠먹여 주길 바람 애초에 능력 안되면 대학원을 안 오는게 맞음.
대댓글 4개
2023.06.11
애초에 중소기업 처럼 운영할거면 교수 안하는게 답 ㅋㅋㅋㅋ 예전엔 진짜들만 교수했는데 요즘은 교수 자체의 직업을 하려고 커리어 쌓아서 교수한 사람들이 많아져서 .... 진짜 문제네요
IF : 1
2023.06.11
예전엔 한국사회에 박사학위소지자들이 별로없어 경쟁도없었고, 그냥 해외에서 박사학위있으면 바로 교수되던 시절이죠. 그냥 돈많은 도련님들이 교수를 많이했습니다. 요즘은 경쟁도 치열하고, 논문실적이랑 학벌이라는 높은벽이있어 교수되기 힘들죠. 옛날이나 지금이나 진짜를찾기엔 어렵습니다...
2023.06.11
진짜 우수한 학생이 보이면 마이크로 티칭하면서 학계로 나아갈 수 있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대부분 석사 취업목표로 하는 학생들이고 연구에도 큰 뜻이 없는 학생에게 시간 쏟으면 본인 귀찮게 한다고 샹각하거나 일 많이 준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고 이런것들이 쌓이다 보면 학생에게 소원해 질 수 밖에 없죠. 신진 교수들 흑화되는 이유는 대부분 학생들이 자초하는겁니다
2023.06.11
대학원생들이 이렇게까지 교수를 평가하고 비교해서 선택적으로 골라서 가는 마당에, 교수는 더잘하는 학생한테 시간더쓰는건 당연한거 아닙니까. 답없네요
걍 학위장사하는 분이라고 생각하면 편함 spk중 한곳인데도 이럼 논문은 혼자써서 억셉시켰음 안그런 젊은 교수님들도 많지만 진짜 자리 차지하고 학생 갈아서 먹고사는 교수도 많음
2023.06.13
연구와 후학양성
젊은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3.06.15
방임도 적당하게 방향을 정해주고 관리는 해야지. 그냥 아무것도 안하는 방임형 교수들 엄청 많음. 학생이 갈피를 못잡으면 지도를 하주던가 아니면 짤라서 다흔 기회라도 줘야지.. 붙잡아놓고 방임.. 테뉴어를 애시당초 적게줘야함
2023.06.16
다구리
2023.06.16
누가 가르쳐주는 것만 배우고 익히는건..실습이죠...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해서 지도교수랑 논의.토의하는거죠. ...학생이 교수가 ㅈ같다고 느끼면, 교수도 학생을 ㅈ같이 보고 있겠지요...자주 연구테마를 두고 토의하자고 해보세여....제 지도교수님은 토의하자고 하니..좋아하시고..토의하다가 같이 아이디어도..도출했었고요...그러다..펀딩따러 같이 제안서도 쓰고요... 스스로 연구주제찾고..스스로 고민많이해서 지도교수 미팅하니...너무 좋은..퇴의가 되던데요,.... 앉아있으면 떠먹여주길..기다리지마세요.,
2023.06.18
떠먹여줄 때까지 굶을거면 대학원을 갈 사람이 아님
2023.10.22
교수님은 그냥 아버지같은 존재죠. 그 자상함이나 케어정도도 아버지마다 많이 다른것 같이 교수님 마다 다르고, 기본적으로 펀딩 따오면서 큰 울타리 역할 해주는거 같아요.
2023.12.10
Internal reviewer 의 역할도 매우 중요함
2024.12.14
맞습니다. 혼자 쓸수있는 논문을 대학원가서 쓸 필요없죠. 누구 좋은일 하려고. 저는 응원합니다. 자기 논문으ㅏ 가치를 나누어 가지지 말고 혼자 가지는게 맞아요.
2023.06.10
2023.06.10
대댓글 3개
2023.06.11
2023.07.18
2024.03.24
2023.06.10
2023.06.10
2023.06.10
2023.06.10
2023.06.10
2023.06.10
2023.06.10
대댓글 4개
2023.06.11
2023.06.11
2023.06.11
2023.06.11
2023.06.11
대댓글 1개
2023.06.13
2023.06.11
대댓글 1개
2023.06.11
2023.06.12
2023.06.13
2023.06.15
2023.06.16
2023.06.16
2023.06.18
2023.10.22
2023.12.10
202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