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 반도체 질문

2020.11.10

9

8051

지금 물리전자와 반도체 공학을 독학중인데

이전 베이스 과목들을 잘 모른다고 느껴져

지금 보고있는 반도체 공학 책을 다 본뒤에 공수와 베이스 과목들을 공부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라는 3권짜리 책을 알게되었는데 쉽게 잘 서술되어 있다 해서 관심이 갑니다.

1. 이 책에서 커버하는 넓이와 깊이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일반물리학, 전자기학, 일반역학 이정도의 깊이인가요? 혹시 그렇다면 hayt 전자기학등의 각 전공서 대신에 파인만의 책을 봐도 깊이는 비슷할까요?

2. 반도체 소재 소자 공학을 위한 베이스 과목들을 알고싶습니다. 바로 물리전자와 반도체 공학을 공부하고 있는 중인데 전자기학과 회로이론 등을 공부하는 것이 중요한지 알고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Jon Postel*

2020.11.10

파인만 강의는 원래 파인만이 일반물리 강의할때의 녹취록을 기반으로 한겁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일반물리의 범위를 다루나 중간중간 심화개념으로 짚고 넘어가긴 하죠
따라서 제대로 공부를 하고싶다면 파인만 강의는 보조로 하고 전공서적으로 공부를 하는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전자기학은 물리과나 전자과나 둘다 매우 기초되는 학문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배워두세요

2020.11.10

ㄴ 감사합니다 전자기학은 전공서적으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회로이론도 소자-소재 공학에서 필수적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Jon Postel*

2020.11.10

소자-소재 공학쪽에서 최우선은 아니지만, 그래도 물리전자, 반도체 공부한다는거 보니 전자과쪽인거 같은데
전자과에서는 엄청 기초과목이죠
신소재나 재료과면 그정도까지 우선순위는 아닐거같네요

2020.11.10

파인만 책은 물리학과에선 거의 필수품인데 공학계열이시면 별로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2020.11.10

Jon// 학부전공은 재료-소자 혼합되어 있는 전공인데 전자과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재료과에서는 우선시되지 않는 다는 것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연구주제를 삼는 랩실에서도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학문이 과에 따라 다르다는 말씀이신가요?

2020.11.10

Francesco// 혹시 공학계열에서 추천하시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Jon Postel*

2020.11.10

학부생이신거같은데, 아직 구체적으로 연구분야를 확정한것도 아니고, 앞으로 진로가 여기저기 바뀔수 있으니까요
전자과는 어떤 전공을 해도 회로이론은 배워두는게 좋습니다

2020.11.10

Jon// 아아 이해했습니다 기본적인 전자과 과목들은 따로 공부해놓아야 할것 같네요 ㅠ 감사합니다
Eugène Ionesco*

2020.11.10

ㄴㄴ 물리학자가 쓴 물리책이라 공대에는 그닥 적합하지 않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반도체/AI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반도체/AI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