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023.09.23

17

3573

현재 물리학을 전공하고 있는데 물리화학에 큰 관심이 있어 물리학과 화학을 복수전공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물리화학 쪽으로 대학원을 간다 생각했을 때 물리학과 화학을 복수 전공을 한 게 유효한 가치를 지닐지 궁금합니다.

그쪽 전공으로 간다 할 때 물리학과 화학을 복수전공한 게 화학 단일 전공 한 것만큼, 혹은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닐까요?

두서없이 적어서 죄송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3.09.23

좋은 루트임.

대댓글 1개

2023.09.23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이기적인 요하네스 케플러*

2023.09.23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대댓글 1개

2023.09.23

장난치자고 글 쓴 거 아닙니다

2023.09.23

물2 화2 ㄷㄷ

2023.09.23

물리쪽이랑 겹치는게 양자쪽 밖에 없을건데 굳이? 뭐 한다면 해도 상관은 없지만 화학 복전하면 화학쪽 전필실험에 시간 엄청 뺏길걸

대댓글 2개

2023.09.23

대학원으로 물리화학 쪽으로 갈 때 복수전공이 도움이 되는지 궁금한 거라서요.

2023.09.28

아래 댓글처럼 정식 학위가 아니라 석박사 때 지식을 목적으로 한다면 부전공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공모전이나 그 밖에 공학적 지식, 연구 트랜드 등 다양한 학습과 병행하는 것도 진로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학점과 투자시간을 최소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2023.09.23

복수까진 좀 그렇더라도 부전공은 좋을듯

2023.09.23

부전공정도는 충분히 할만합니다 저도 화학부 5년 다니면서 물리 부전공한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3.09.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굳이? 물리화학이 물리학 안에 포함되어 있는거라 딱히 화학과 수업을 들을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2023.09.23

현재 물리, 화학 복수전공 중에 있습니다. 대학와서 가장 잘 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학계에 계실 생각이면 더욱 그렇습니다. 전자구조가 왜 나오고 전자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는 양자역학을 통해 예상할 수 있고, 작은 분자부터 고분자의 역학은 통계역학을 배우지 않고는 제대로 이해할 수 없어요. 또한 물질의 광학적 전자기적 성질은 그 물질을 분석하고 활용하는데 꼭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재료쪽으로 가신다면 고체물리는 언젠가는 공부해야 할 내용이죠. 물리학은 화학과 다르게 기초부터 차근차근 공부해야 하기에 학부시절부터 기본기를 갖추시는걸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9.23

아 글을 잘못보고 화학 전공중인데, 물리학을 다중전공하면 어떨까 물어보시는 걸로 착각했습니다. 그래도 저는 두 학문을 같이 배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3.09.23

물리가 보는 대상보다 화학이 보는 대상이 더 크죠(입자와 분자) 무엇을 연구하실지는 모르겠지만 관점을 넓힐 기회는 만들 수록 좋은 듯 합니다. 화학이 아닌 다른 것이 되어도 좋고요

2023.09.23

물리과 출신 물리화학 전공해서 화학으로 밥벌어먹고 있는 사람입니다. 한국에 이 프로필 가진 사람 몇명 안되는데 ㅎ

하면좋냐? - 당연한 소리
할 필요가 있냐? 본인 판단

하면 좋냐는, 어떤 물리화학을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는데, 정말 fundamental한 주제 잡는다면 화학과 지식 없이 물리화학 논문은 쓸 수 있는데, 조금만 더 하려면 의사소통 때문에 화학과 출신들하고 코웍이 안됩니다(내가 정말 대가면 그들이 가르쳐주는데, 커리어 시작부터 대가인 사람은 없죠?). 화학 당연히 알아야 합니다. 포닥이후의 인터뷰에서 화학 기관에 물리과 PhD로 지원하면 끊임없이 검증하는 부분이 저 부분입니다. 화학과랑 의사소통할 수 있는지.

할 필요가 있냐, 없습니다. 참고로 저는 학부/대학원 거치면서 때 필요하다고 판단한 핵심 과목들만 수강했습니다. 몇학년이신지 모르겠지만, 화학과 코어 실험과목 로드가 장난아니기 때문에 물리과/화학과 복수전공해서 4년 내 졸업하는거 거의 불가능합니다. 거기다가 물리과 출신이면 특히 물리화학 계열 과목 수강이 시간낭비라(이 부분은 물리과서 훨씬 깊고 심도있게 가르칩니다. 다 들어보고 하는 소리임. 그냥 책이나 사서 책장 슥슥 넘기고 모르는거 있으면 이런 것도 있구나 보는 정도면 충분 ), 제 모교는 물리/전자 같은 경우는 복수전공자가 많아서 이런 유사과목은 학점 대체로 전필 수강 처리해줬지만 물리/화학은 하는 사람이 없어서 이런 예외 없었습니다. 뭐 질문자 학교 시스템상 큰 부담이 없다면 해볼만도 한데, 거의 안될걸요? 동기 중에 물/화 복전자는 없었지만 화/생 복수전공자들이 좀 있었는데 (생화학한다고) 4년 졸업한 사람을 거의 본적이 없는데.
위에도 적었지만 phD들 노는데, 화학지식 있는지 없는지 인터뷰에서 다 잘들 알아서 거르기 때문에, 졸업장에 전공 화학 안찍혀있어도 지장없습니다. job market에 뛰어들때쯤이면 님 이력에 물리화학 논문 잔뜩 있을거고, 인터뷰에 그거 지도교수가 써준건지 직접 쓴건지 검증만 하면 되기 때문에.

대댓글 1개

2023.09.23

와 정말 감사합니다. 이런 심도있는 댓글을 원했어요.

2023.09.28

아래 댓글처럼 정식 학위가 아니라 석박사 때 지식을 목적으로 한다면 부전공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공모전이나 그 밖에 공학적 지식, 연구 트랜드 등 다양한 학습과 병행하는 것도 진로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학점과 투자시간을 최소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