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 전공

2021.12.21

10

2927

수능 끝난 학생입니다. 학과 선택에 어려움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수능 성적은 연고대 정도입니다. (메디컬은 생각 없음)

교수에 대한 꿈은 전혀 없고, 석사나 박사 이후 사기업 혹은 입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컴퓨터, 반도체, 임베디드, 소재 등등 관심 분야가 너무 많아서 탈입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물리학과에 진학하고, 공학의 기본인 물리 공부를 통해 기초를 쌓으며, 진로를 탐색해보는건 어떨까요?

물리학과 커리큘럼을 살펴보니 전자기학, 열역학, 고체역학, 양자역학 등등 엄청나게 많은 분야를 다루던데 이 과목들은 공학(공정)과 큰 관련이 없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IF : 5

2021.12.21

대학원생 커뮤니니 일단 석박사를 굳이 왜 하고싶은지부터...

대댓글 1개

2021.12.21

그냥 학부 공부로는 뭔가 개발하기에는 부족하니까 더 깊게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업계 1위 기업에 들어가서 기술발전의 최전방에서 일해보고 싶습니다.

IF : 1

2021.12.21

근데 학부공부도 해본적 없으면서 학부수준에서 부족한지 어케앎? 현차 연구원들 중에도 학사로 하는사람 없진 않은데

대댓글 4개

2021.12.21

학사로 연구개발 한다고 해도 결국 박사 석사 아래서 일하지 않나요?

IF : 1

2021.12.21

일단 분야 따라 다르고 본인이 지금 언급한 분야들이 너무 다른 분야들인데 뭘 하고싶은지 부터 정하고 커리어를 계획하는게 좋아보여요. 보통 박사까지 할거면 사기업 취업만을 목표로 하는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IF : 1

2021.12.21

그리고 물리학과 가서 다른 분야(언급하신 분야들) 하는거 의외로 힘들 수 있어요. 배우는 과목도 아예 다르고 예를들어 컴퓨터(? 정확히 뭘 말하는지 모르겠음) 같은 경우 컴퓨터공학과 전공 보시면 물리 거의 안배워요 다른 분야들은 어느정도 기초적인 수준에서 배우기는 하지만 물리가 주는 아니에요. (많이 하지만 초점을 물리학 그자체에 맞추는게 아니라는 뜻)

2021.12.21

답변 감사합니다
뻔뻔한 아리스토텔레스*

2021.12.21

물리학과는 진짜 열망과 신념이 있을때만..

IF : 2

2021.12.21

관리직은 일 잘하고 머리 잘돌아가는 사람이 하지, 더 상위 학위를 가지고 있다고 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 물리학과를 전공한다고 CS 잘하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 좀 더 구체적인 진로탐색이 필요해 보이네요.

대댓글 1개

2021.12.21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너무 겉핥기 식? 겉핥기 식도 아닌 포장도 뜯기 전 만큼의 진로탐색이 되신 것 같아요 작성자님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