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구술고사 전형 불공정한것 아닌가요?

2025.10.25

25

6596

아는 지인이 구술고사 과목 2개중 하나의 과목만
문제풀고 대답을 했다더군요
근데 결국 대학원 입시를 붙었어요

과목이 2개였는데 하나도 못푼건 과락이 되어야 맞는것
아닌가요?
아무리 교수랑 사전에 컨택이 되었다곤 하지만
의문이네요

구술고사 전형 때는 교수와의 컨택 유무가
최종결과에 영향을 준것 아닌이상 붙은게 말안되는데
구술고사 전형엔 적어도 공정성을 위해 영향을
주면 안되는것 아닌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5.10.26

BEST 뭐가 고등학생 마인드냐면, 어떤 공정하고 절대적인 시험 (i.e. 수능) 이 있어서 해당 시험의 성적 순으로 사람을 줄세울 수 있다고 믿는게 한국식 입시생 마인드입니다.
과목 두 개중 하나만 답변을 했는데 해당 답변이 매우 우수했다면, 혹은 다른 과목이 해당 학생의 지망 연구와 전혀 연관이 없다면?
아니면 교수와 컨택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교수와의 토론과 면접으로 본인의 우수성을 충분히 입증했는데 면접에서는 하필 모르는 질문이 나와서 망쳤다면, 떨어지는게 공정한가요? 그것이 '시험' 이니까?
서울대의 목표는 우수한 학생을 뽑는거지, 구술고사를 잘 보는 학생을 뽑는게 아닙니다. 미묘한 차이인데, 사실 심사당하는 입장에서는 납득하기 어렵기도 하죠.

2025.10.25

딱 고등학생 마인드네 ㅉㅉ

대댓글 3개

2025.10.25

제가 진짜 고등학생 마인드라면
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느끼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ㅠ

2025.10.25

하나만 들어봐도 수준을 알 정도였나보지

2025.10.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은 직원뽑는거랑 같은거야
사장 마음에 들면 합격이지

2025.10.25

넵! 맞습니다! 신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25.10.25

교육부 민원 ㄱㄱ

대댓글 1개

2025.10.25

무시하면 청와대 국민청원 ㄱ

2025.10.26

지인이 서울대 붙어서 배아픈건 이해하겠는데 뭐 공정성 어쩌고 하는건 어이가 없네

다른 학생들이 모든 과목 다 풀고 스펙 빵빵한데 떨어진거면 불공정한거 인정해주는데 그런정황 잘 모르면서 그런말 하는건...

대댓글 1개

2025.10.26

요즘 엠지세대 공정이란 단어가 딱 이런 의미인가봐요

2025.10.26

그래서 서류는 똑같으십니까

2025.10.26

뭐가 고등학생 마인드냐면, 어떤 공정하고 절대적인 시험 (i.e. 수능) 이 있어서 해당 시험의 성적 순으로 사람을 줄세울 수 있다고 믿는게 한국식 입시생 마인드입니다.
과목 두 개중 하나만 답변을 했는데 해당 답변이 매우 우수했다면, 혹은 다른 과목이 해당 학생의 지망 연구와 전혀 연관이 없다면?
아니면 교수와 컨택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교수와의 토론과 면접으로 본인의 우수성을 충분히 입증했는데 면접에서는 하필 모르는 질문이 나와서 망쳤다면, 떨어지는게 공정한가요? 그것이 '시험' 이니까?
서울대의 목표는 우수한 학생을 뽑는거지, 구술고사를 잘 보는 학생을 뽑는게 아닙니다. 미묘한 차이인데, 사실 심사당하는 입장에서는 납득하기 어렵기도 하죠.

2025.10.26

서울대 총장실 찾아가서 단식투쟁하면 됩니다

2025.10.26

그놈의 '불공정'.
그 지인분은 미리미리 교수님과 컨텍하고 자기를 증명하는 노력을 했던거고. 그 정도 노력도 하지않고 합격하기를 바라는 분도 불공정 아닐까요?
시험도 꼭 답을 적어내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을지도 모르구요. 아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논리적으로 자세히 설명하는지. '모르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겸허히 모른다고 할 수 있는지'가 평가 지표였을 수도 있죠

2025.10.26

좌파정권이라서 제2의 조국, 조민이 나타나게되는건 당연한 이치임. 이래서 투표를 잘해야돼

2025.10.26

서울대는 컨택유무랑 상관없이, 구술 면접통과 후에 1지망 교수님께 연락을 드려 합불을 정합니다.

2025.10.27

서울대는 면접에서 c를 받으면 다른 어떤 성적들이 좋아도 그냥 탈락입니다. 아마 하나를 잘 대답해서 c를 면하고 나머지 성적들로 합격했겠죠

대댓글 1개

2025.10.27

두 과목 중 하나 대답을 아예 못하면 당연히 C 아닌가요?

2025.10.27

못생긴 남자와 예쁜 여자 커플도 불공정한 거 아님? 객관적 기준으로 볼 때 너가 훨 잘생기지 않으심? 일례로 키도 크고 말이야. 근거자료 준비해서 언론플레이 시위 및 소송한 다음 마음에 드는 여자 뺏어 오세요. 그런게 정의 아니에요?

말나온김에 요즘 분위기가 공정 따지는 건 좋은데 정의라는 건 참가자가 다 합의하는 객관적 기준이 있어야 하는 거임. 근데 여기서 자신의 주관적 기준을 타인에게 강제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케이스가 많은게 요즘 심각한 문제라고 봄. 강제하는데 힘이 모자라니 요즘은 포장 잘해서 공권력을 또 잘 이용해먹지. 그 와중에 교수들은 학생 신경 더 안써요. 저런 제자 뽑거나 엮였다가 민원 하나 들어가면 몇년 연구할 시간에 없는 소득 변호사비로 날리거든. 저런 학생이 논문 지체되면 과연 가만히 있을까?

2025.10.27

많이 어리구먼 세상은 원래 불공정해. 딱 10대 까지가 공정한 사회임. 이후부터는 불공정한 걸 깨닿는 사람들이 유리한 사회임.
그리고 님한테는 컨택 기회 없었음? 누구나 다 그 기회가 있었는데 안 쓴 사람이 문제임.

2025.10.28

서울대는 이미 '정시에도 내신과 활동기록 비중을 높이는' 괴상한 개악 이후로 학부부터 신뢰도 삭감크리 맞은게 팩트인데 여기만 샤샤거탑을 위해 쉬쉬하는 중.
미국 주립대 상위권도, 거긴 공부의지로 지원하기라도 했으니 여기보단 나을거임... 마지막으로 기억하는 worst case인 서울대 예체능은 국평4등급 중반까지 내려갔던걸로 기억함, 즉 국평오까지 반발짝.

대댓글 1개

2025.11.01

와 열등감 레전드네 ㅋㅋ 내신이 심각하게 나쁘면 정시가 불리한 거지 잘하는 애들은 여전히 많은데 학부나 좀 오고 말해라

2025.10.28

이미 자기가 붙어야 됐는데, 본인이 떨어지고 지인이 붙은걸 불공정하다고 생각하고 계신데 무슨 대답이 듣고 싶으신 겁니까

2025.10.30

한 문제 못풀면 당연히 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건 누구의 가준인가...? 왜 님이 화가났을까..? 근거가 부족한듯.. 다수가 공감할 분노가 아니네요

대댓글 1개

2025.10.30

한 문제가 아니라
총 2과목 중 한 과목 전체를 못풀었다하는데 ..
문제로 따지면 4문제입니다

2025.10.31

대학원 정도 되면 이제 사회생활 초입이죠. 이제 더이상 어린애들처럼 어른들이 공정하게 줄세워주고 그러지 않습니다. 알아서 눈치껏 잘 챙겨야 돼요. 씁쓸하겠지만 어쩔 수 없어요. 모두가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납득할 만큼 일이 돌아가면 참 좋겠지만 그런 아름다운 동화책 속 이야기 같은 세상은 현실에는 없으니까요. 이런 현실이 잘못되지 않았다고는 주장하지 않겠지만 이게 현실이라 어쩔 수 없다는 말에는 반박하기 어려우실 겁니다. 혹시라도 현실에 저항하고 싸워야 한다고 생각하신다면 그러지 말라고는 안할게요. 근데 뭐 어쩌겠어요. 현실을 바꾸려면 더럽고 치사해도 이 밑바닥 똥물을 입에 머금고라도 위로 올라가는 수밖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