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 보니 한국은 강의 전담 교수라 해도 그냥 허울 좋은 강사일 뿐이고 운이 좋아 교양 학부 교수라도 되면 그나마 다행인 것 같은데...
카네기멜론이나 버클리에서 강사 말고 Associate Teaching Professor처럼 티칭 조교수, 티칭 부교수 이런 사람들도 한국서는 강사 취급하나요? 몇년 전에 카네기멜론에서 티칭 교수 한분이 와서 강연을 한 적이 있었는데 스펙이 카네기멜론에서 테뉴어 트랙 할 정도는 안 되더라도 R2정도에서는 교수 할 수 있을 것 같은 스펙이었거든요.
미국은 강의 전담이라도 탑스쿨이면 좀 괜찮나요? 특히, 한국에서의 인식이라던가 경력 쌓아서 한국으로 돌아올 때 메리트라던가.. 버클리 같은 UC 계열에서는 티칭 교수들도 연구 꽤 하는 것 같아 연구 경력이 끝날 것 같지는 않네요.
근데 이런 곳은 되기 좀 쉽나요? 살펴보니 4-50위권만 가도 그 정도 대학들은 스펙들 좀 별로라 쉬울 거 같은데 탑 10언저리는 쨍쨍하던데...
같은 맥락에서 서울대 강의 전담은 되기 쉽나요? 아님 반대로 지사립 교수가 서울대 강의 전담 보다 되기 어렵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1.09
저도 궁금해서 댓글납깁니다...ㅎ
2023.11.09
대학원생 커뮤니티고 이공계 중심 커뮤니티라 여기 이거 답할수 있는 사람 없습니다. 하이브레인넷으로 가세요.
대댓글 6개
IF : 1
2023.11.09
이공계에나 티칭 교수들 있지 인문계도 있나요? 그리고 대학원생들끼리 진로 얘기하는거니까 여기가 더 맞지 않나 싶었는데 아닌가요?
2023.11.09
음 저는 잘못된 지식을 가져가실까봐 우려해서 말씀드린 겁니다. 저는 이공계 교수인데 강의전담은 어디에서 했든 포닥 이상으론 안봅니다.
조급한 알렉산더 벨*
2023.11.09
인문사회도 강의전담 뽑아요 경영 쪽은요
이공계처럼 무시당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그리고 여기는 현직자가 소수라 하브가서 물어보라는거에요
잘 알지도 못하는 현직 아닌 사람들이 이야기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나요
IF : 1
2023.11.09
그렇군요. 컴싸에서 버클리면 부동의 컴싸 1위이고 여기 티칭 교수들 보면 왠만한 인서울 대학 교수들 보다 나은데 그냥 포닥쩌리군요...
몰랐습니다..
조급한 알렉산더 벨*
2023.11.09
영국이나 영국 계열 시스템으로 운영하는 학교는 달라요
거기는 좀 존중받는 분위기라 들었어요
2023.11.09
영국은 lecturer가 조교수 포지션입니다. 애초에 강의전담용 용어가 아니죠. 적어도 국내에서는 이공계에서 강의경력을 연구경력보다 중요시 여기는 경우는 못봤습니다. MIT 강의전담, MIT포닥 하면 전 후자를 선호할것 같은데요
2023.11.09
탑스쿨에서는 간혹 research scientist 중에서도 유명하신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제가 포닥할때도 옆랩 senior research scientist중 대가라고 불리는 분도 계셨고요. (사실 저는 당연히 정교수로 알고있었습니다.) 근데 teaching professor는 일반적으로는 포닥정도 수준으로 판단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research scientist 혹은 research faculty 중에서 대다수는 포닥과 동일합니다. 다만, 탑스쿨에서 adjuncted professor는 결이 조금 다릅니다. 비정규직임에도, 상당히 훌륭한 젊은교수들이 많으며, 탑대학 adjuncted professor로 랩세팅하고 학생들도 다 받으면서 운영하다가, 다른 탑대학 정교수로 옮기는 경우는 비일비재합니다.
대댓글 2개
IF : 1
2023.11.09
겸임은 겸임이라 이미 다른 직업이 있는 사람들인데요? 제가 아는 것과 정반대네요. 혹시 미국에서 교수를 하시나요?
2023.11.09
adjuncted professor가 한국말로 하면 겸임교수인데, 비정규직으로 소속된 경우도 꽤많이 있었습니다. 제 직접적인 주변으로 제가 포닥했던 랩(top3) 박사졸업생이 5~8위권 (UIUC/CMU/UTAustin)학교에 adjuncted로 3-4년하다 최근 spk교수로 임용됐습니다. 그뿐아니라 주변에 adjunct assistant professor로 시작하고 탑대학으로 옮기는경우 많았어요. 물론, Rogers나 현택환 교수처럼 타학교에서 자리잡은데 명예직처럼 adjunct로 겸임교수하는 사람들도 꽤있고요. 저는 제 후배때문에 adjunct 교수 루트를 알게된건데, 특정학교가 adjunct assistant professor라는 명칭을 연구교수한테 사용한걸수도 있겠네요.
2023.11.09
2023.11.09
대댓글 6개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09
2023.11.09
대댓글 2개
2023.11.09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