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이름 가지고 왈가왈부하는게 우습다. 거 위에 spk psk ksp 3!만큼 부를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저 학교들은 한국에서 이공계에서 매우 좋다할만한 학교고 뭐 그냥그런거지 이걸 또 그 안에서 누가높니 니가낮니하고 지도교수 네임이 중요하다고 또 우리지도교수가 더 유명하니 뭐니 하여간 인맥디게 좋아한다니까
사람이 끼리끼리 모인다고 재벌가들 끼리 친목있고 그렇자나 근디 학교 이름끼리 또 동문이니 뭐니하겠지만 그 학교에서 크게성공해서 이름날리는 사람들은 또 날리는 사람끼리 크게 친하단말이야?
그러니 본인의 성장에 집중해라. 자존감 높여.
2020.10.31
외국에서도 한국 학교들 중 SPK를 아는 사람들이 많은 건
일차적으로 SPK 학부 출신 탑스쿨 유학생이 많다는 점, 그리고 그들이 한국으로 돌아가 교수, 정출연, 대기업 등 각계에서 활약한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SPK에서 좋은 연구, Cool한 연구, impact있는 연구를 하시는 분들이 있기 때문이지, 결코 SPK의 각 학교별 입학과정 하나하나의 변별력을 따져서 그런것이 아닙니다.
그러한 점에서 결국 석박사급 엔지니어, 과학자들에게 중요한건 본인의 과제,프로젝트 경험 및 그것을 정량적으로 입증해주는 논문실적이며 SPK 세 학교 중 어느 학교 출신이든 좋은 연구를 한 사람이라면 고평가를 받으면 받았지 절대로 대학원 입학과정에서의 스펙으로 저평가받지는 않죠. 오히려 그런식으로 사람을 저평가하는건 구시대적인 사고방식에 갇혀있는거라고 봅니다.
아직도 입시에 몰두하는 여러분, 정 모르겠다면 혹은 아직도 고집부리고 싶다면 현직에 있는 사람들을 만나봐요. 몇 마디 대화만 나눠봐도 좋아요. 평생 입시생으로 살 건 아니잖아요?
2020.10.31
카이 입장에서도 보기 힘듬. Spk중에 가고 싶은 랩 맞춰서 가는거지 뭘.. 애초에 구조상 세 학교 중 특출난 학교가 생기기 어려움. 서울+한국 대표 국립대 vs 대표 과학기술원 vs 소규모 중점대
António Egas Moniz*
2020.10.31
서울대는 학벌 많이 봐서 걸러졌는지 열등감 오짐
2020.10.31
설대 학벌 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평가를 오지게 합니다
제가 아는 예시 몇개 들어보면
랩 1 ) 컨택한 인원 3~4명 끊어서 한 그룹으로 만들고 오피스로 부름. 자기 방 논문 1개 주고 20~30분 주고 바로 앞에서 읽기 시킨다음 further study 그룹별 discussion
랩 2 ) 미필 기준 텝스 450 over 성적표 떼오고 컨택 시작
랩 3 ) 랩 시니어 2~3명 불러서 1차 컨택 면접 진행. 여기는 제 바로 옆 방인데, 커피 마시면서 얘가 랩 사람들이랑 잘 어울릴 수있는 성격인지, 인상이 어떤지, 성격이 급한지 아닌지, 처음 보는 사람 대하는 태도가 어떤지 종합적으로 우선 살피고 교수에게 보고하는 형식
랩 4 ) 컨택 면접전에 미리 논문 3개 주고, summary + further idea 섞은 10장 내외 ppt 만들어서 랩 시니어+교수 앞에서 발표 하는 면접
랩 5 ??) 여기는 아직도 이러는지 모르겠는데, 제가 입학 할 당시에는 컨택 배수 2 약간 안되게 (약 1.5 내지 1.3?) 뽑아서 한 명씩 교수랑 저녁 같이 먹는 랩도 있었음. 이유는 그때에는 잘 몰랐는데, 아마도 학회나 워크샵 가서 보여줄 수 있는 인격, 성격, 태도 같은걸 스몰토크에서 보려는 듯? 필요한 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직접 봤으니까...
단순히 학점 잘 따는 것 보다 개인적으로는 이런식의 (물론 학점도 따로 본 이후에 치뤄지는) 평가가 나는 더 어렵다고 생각함... 그냥 설대랩은 비인기랩 제외하면 죄다 랩별로 독립적인 입시를 치르기 때문에 학점이니 수상/연구 실적이니 정량적인 평가의 카이스트랑은 전혀 다른 방식의 입시 비교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대댓글 2개
2024.11.09
어떤전공이신가요??
2024.11.13
아마 재료일듯 나도 석사 받으러 갔을때 비슷한 절차 치뤘고(yk라인 학부생) 첫번째 컨택 랩실에서 대학원생 그룹 면담, 기초 핸드웤 평가에서 탈락하고 다음 2지망 랩실로 갔었음. 1지망 랩실에서 애초에 논문 읽고 요약+아이디어 제시 단계에선 살아남았는데 떨어지고 한동안 멘붕이었죠
Archibald Hill*
2020.10.31
p떨어지고 k온 지인도 봤습니다. 참고로 전 k입니다.
대학원 커뮤니티씩이나 돼서 하루하루 수준레전드 꾸준히 갱신하는 모습이 같은 k로서가 아니라 대학생으로서 부끄럽네요.
2020.10.31
이 글과 댓글은 게시판 상단에 항상 고정시켜둬야한다고 생각함. 꾸준히 유입되는 입시생들에게 보일 수 있게 해야함..
2020.10.31
@Carl Sandburg 서울대 한 랩 들은 것 더 추가하자면,
랩 6) 컨택 메일 보낸 사람 중 가능성 있어보이는 사람을 교수가 일일히 1시간의 시간을 내서 인터뷰를 통해 세밀한 질문들로 파헤침. 이후 면접 2배수의 인원을 뽑음. 뽑힌 인원은 구성원들 박사과정급들이 보는 앞에서 30분간 연구 계획 및 자기어필 pt발표를 진행하며, 구성원들의 투표를 통해 최종인원을 결정.
여기서 학점 높고 자기의 연구의지가 없는애는 인터뷰 단계에서 자대생마저 걸러짐.
사실 학점보다 이런게 더 어렵지.. 어렸을 때부터 연구에 대한 꿈이 있었던 사람이 뽑히는 시스템이거든..
대댓글 1개
2024.11.11
구성원들의 투표를 통해서 결정한다고요???
교수가 뽑는게 아니라, 다른 구성원이 개입한다는 거는 약간 충격인데요...
2020.11.01
S다니는 석박사들에게 물어보니 그렇치 않다고 하든데
희안한 랩실도 있구먼 ㅎㅎㅎ
Cesare Pavese*
2020.11.01
SPK는 결국 실적 싸움... 메모..
2020.11.02
그래도 이런 글에 비공 없는 거 봐서는 카이스트충들이 정말 대깨는 아닌듯? s는 컨택 영어 정성평가 학부 등 학점 말고 다른 거 많이 보니까 k보다 상대적으로 학점컷이 낮을 수밖에 없단걸 카이 빠는 애들이 잘 몰랐던 거 아닐까? 이렇게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글/댓글이 많았으면 좋겠음 서로 욕하지만 말고
2020.11.02
기업 입장에서 대학원 학교는 입구컷용이고 같은 조건이면 연구실적 > 출신 연구실 > 학부 순서로 봅니다 k니 p니 s니 결국 바닥찍는 연구실은 존재하며 그 바닥에서 용도 나고 상위에서 미꾸라지도나고...
2023.06.08
난 P인데 우리 랩 떨어지고 K로 가더라 난 K가 더 어려운 지 알았는데 걍 선호도랑 운에따라 케바케인듯
2024.02.07
"설카포정도면 결국 연구실적이에요". 이게 딱 맞는 말인 거 같네요.
2024.02.17
실적 없는 애들이 원래 학벌 따져 실력은 사회 나오면 바로 다 털림
2024.11.09
카이가 진짜 훌리새끼들 개많음 지잡대에서 카이온애들 부심도 개지리고
2024.11.12
지방대 나와서 카이 간 다음에 모교 가서 가오 잡는 놈들 오지게 많아요. 걸레 빨아서 행주로 안 씁니다.
2024.11.13
저기..글 의도랑은 조금 다른데 단순 궁금증이라 그런건데 학점을 우선적으로 본다는게 몇점 정도가 적절한 학점일까요? 제가 아직 2학년이라 대학원 글 보면 궁금한게 많아서요..
2020.10.31
2020.10.31
대댓글 2개
2023.03.16
2023.06.22
2020.10.31
2020.10.31
2020.10.31
2020.10.31
2020.10.31
대댓글 2개
2024.11.09
2024.11.13
2020.10.31
2020.10.31
2020.10.31
대댓글 1개
2024.11.11
2020.11.01
2020.11.01
2020.11.02
2020.11.02
2023.06.08
2024.02.07
2024.02.17
2024.11.09
2024.11.12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