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카이스트 외에 다른 학교 갈거면, 그냥 현재 재직중인 곳에서 계속 일할 생각인데요..
혹시 plasma / etch 관련 추천해 주실 만한 교수 분이 계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George Whipple*
2020.11.01
플라즈마 그룹은 요새 많이 줄고 있어서...
그리고 플라즈마를 중심으로 끌고 가는 분들은 보통 핵융합을 중심으로 하면서 곁다리로 플라즈마 진단, 해석 툴 등을 가지고 반도체장비 등에 적용하는 것들을 하고 계셔요
서울대엔 김곤호 교수님이 유명한데 정년이 얼마 안남은거 같고, 나용수 교수나 황용석 교수도 유명합니다. 그리고 카이엔 최원호 교수말고는 관련 플라즈마 전공자가 없습니다. 다른 교수들은 핵융합 오리엔티드 된 분들이여서요
참고로 플라즈마로 또 유명한 곳은 한양대인데, 정진욱교수가 공정쪽 플라즈마로는 잘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5.01
핵융합 하시는 교수분들을 좀더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2020.11.01
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각 연구실마다 어떤 연구를 하는지 평균 실적은 어떻고 졸업생들은 보통 어떤 진로를 가는지 검증해보세요. 김박사넷에서 교수님들 인품을 비롯한 오각형을 비교해보시고 구글 스칼라에서 교수님 인덱스나 최신 논문 경향, 어느 저널에 타겟팅하는지 분석해보세요.
석박통합이면 최소 5,6년 혹은 그 이상을 연구실에서 보내셔야 합니다. 그런 무거운 결정은 신중히 진행되어야 합니다. 본인이 직접 정보를 모으고 분석하는 시간을 아까워하지 마세요.
그리고 희망 학교로 서울대 카이스트만을 언급하셨는데 본인의 스펙이 어느정도인지 최대한 자기객관화를 해보세요. 본인이 쌓아온 커리어, 출신 학부, 학점 등이 과연 최상위 학교 교수님들에게 어필할 만 할지, 그것들을 잘 엮어서 포트폴리오도 만들어보고 CV도 한번 써보세요. 삼성전자... 물론 좋은 회사죠. 그렇지만 이전 직장이 좋은 대학원 좋은 연구실을 보장해주지는 못하니까요.
2020.11.01
George Whipple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정진욱 교수님은 선배 중에도 졸업생이 계셔서.. 한번 여쭤봐야 겠네요.
Selman Abraham Waksman
홈페이지 검색 등을 해봤지만.. 윗분 말씀처럼 행육합 쪽 분들이나, 박막 쪽이 더 많은 것 같아서, 찾기가 쉽지가 않네요. 희망학교가 서울대-카이스트 만인 이유는, 다른 학교를 무시한다던가 자기 객관화가 안된게 아니라, 이외 학교라면 차라리 현재 재직 중인 회사를 계속 다니는 걸 선택할 것 같아서 입니다. 지금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여서요. 출신 대학원의 이름보단, 지도교수나 랩실 졸업생과 자기 자신의 실적이 더 중요한 건 잘 알고 있습니다. 더 고민하다보면, 생각이 바뀔 수도 있겠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삼성전자 3년전 입사면
지금처럼 어려울 때도 아니라 어느정도 스펙인지도 유추 안되구요.
학부가 어디신가요 ?
George Whipple*
2020.11.01
ㄴ 서열충 정신병자 한마리 등장했네
2020.11.01
처음 들어와서 문의글을 쓴건데... 딴 곳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 많네요. 서울대 카이스트라고 써서 어그로가 끌린건지, 아님 그냥 깎아내리고 싶은건지.... 스펙은.. 솔직히 충분하다 생각하는데, 그건 제가 고민하겠습니다. 입학할때 SCI 논문 1저자라도 필요한게 아니고서야. 학교는 계속 알아보면서 고민할거라 바뀔수도 있고요. 서울대 카이스트 지망인건 현재 자택위치와 혹시라도 다시 삼성 복귀했을때를 고려한거고요.
전 플라즈마 공학을 연구하는 교수님들이 누가 있는지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George Whipple*
2020.11.01
참고로 국내 플라즈마 그룹중에 가장 덩치가 큰 곳은 광운대인데,
대학 네임벨류는 차지하더라도 사실 업계에선 반신반의하고있습니다
거기 대장교수님이 좀 약좀 많이 팔고 바이오플라즈마로 치우쳐져 있습니다
물론 공정플라즈마 그룹도 있긴 하지만, 연구하는 스타일이 너무 대충대충한다는 마인드가 있고, 학생들도 그런 마인드가 있어서 솔직히 거기서 내는 학술발표가서 물어보면 못믿는게 많습니다
George Whipple*
2020.11.01
삼성에서 가장 필요로한 공정 플라즈마쪽으로는 카이스트에 장홍영교수가 가장 권위자인데, 작년에 은퇴하셨어요.
장홍영 교수 제자가 한양대의 정진욱 교수고요, 정교수님도 나름 연배가 있고 평판이 꽤 좋습니다
그래서 공정쪽으로 중점적으로 공부하고싶다면, 정진욱교수도 고려해볼법합니다.
카이나 서울대엔 공정플라즈마를 중점으로 하는 교수님은 제가아는한 없습니다 ㅠ
대댓글 1개
2022.09.28
평판 안좋음
George Whipple*
2020.11.01
아, 카이 원자과에 새로 임용되신 교수님이 계신데, 설대 원자과+MIT+ 미국 LAM 출신입니다
임용후엔 원자과다 보니 아마 핵융합위주로 연구할거같긴한데, LAM출신이니 공정쪽도 어느정도 하지 않을까요?
카이 원자과는 컨택할수 있으니까 컨택해보시면 좋겠습니다
2020.11.02
글쓴이와 댓글을 참조해서 한양대 정진욱 교수님 랩에 ALUMNI 검색해서 박사졸업생
진로를 보니 삼성전자반도체 입사가 대다수고 SK하이닉스나 박사후 과정(교수직희망자)
등으로 갔네요... 진로 아웃풋은 좋은편이라 컨택해서 박사과정하는것도 좋은 선택이라 보여짐.
석사졸업생들도 삼전반도체나 SK 하이닉스 비롯 모두 대기업이나 박사진학이고요
글쓴이 진로와도 부합되는 것 같이 보임
대댓글 1개
2022.10.30
대기업 들어가는 정도의 낮은 목표라면… 추천
재치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1.11.22
저온 플라즈마 기준으로 정년 5년 이상 남으신 분만 나열한다면, 서울대 정경재교수 카이 김영철 성충기 교수 포공 윤건수 교수님께서 플라즈마 물리를 기반으로 하여 응용분야를 개척하고 계신분입니다. 한양대학교도 나쁜선택은 아닙니다, 학계나 연구소로 진출하지 않고 회사에 남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말이죠.
2020.11.01
대댓글 1개
2024.05.01
2020.11.01
2020.11.01
2020.11.01
2020.11.01
2020.11.01
2020.11.01
2020.11.01
2020.11.01
대댓글 1개
2022.09.28
2020.11.01
2020.11.02
대댓글 1개
2022.10.30
202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