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졸 박졸 대기업갈바에 학졸 대기업 간다라고 하는데

John Ambrose Fleming*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11.13

11

11330

나만 그러냐? 돈도 당연히 중요하긴하지만 결국 자기 인생의 성취감을 위해 대학원다니는거 아닌가요?

결국 머 유지보수를 하든 연구실에서 일을 하든 직업에서 자신의 성취감이라던지 재미를 느끼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하지만 그래도 내인생의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대학원가는거 아닌가요?

기업에 입사하면 일에 대한 회의감이 들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하고 싶다) 라는 마음으로 모두들 대학원을 다니는 거라 생각합니다 

인생에서 돈도 중요하고 자신의 가치를 만들어가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석졸 박졸하고 대기업가서 연구직으로 돈많이 버는거지 

돈으로 따지면 학사로 취업하는게 낫다 그런 분은 없었으면....

인생은 rpg.....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Eduard Buchner*

2020.11.13

당연한..
Robert Robinson*

2020.11.13

여기는 원래 박사후 기업가면 그냥 루저취급하는 곳임.
고딩때 오르비에서 배치표 보고 누가 높네 비교질하면서 서열매기는거에 특화된 애들이
교수>정출연>기업 이걸 배치표처럼 보고 서열매기면서 희열느낌.

평균적으로 보면 저 부등호가 맞을수도 있겠지만 그 안에 스펙트럼이 엄청나게 다양하다는 것을 이해 못함. 교수 타이틀만 다면 무슨 계급이 하나 달라지는 줄 앎.

하물며 spk 신임 교수들을 봐도, 임용된 뒤 연구실적 못 내고 빌빌거리는 교수들이 있는 반면(국내 대학 특성상 안 자름), 엄청 유명해져서 해외에도 소개되는 교수들이 있음. 이런건 이거 나름데로 지옥이지 않을까?

2020.11.13

평균적으로 가성비 떨어지는거야 사실이고 부정할 사람은 별로 없는듯. 그냥 자기가 가고싶음 가는거고 말고싶음 마는거지 한쪽이 정답인 마냥 얘기하는건 비정상임.
Anton van Leeuwenhoek*

2020.11.13

박사따면 뭔가 솔직히 간지나긴 하자나
Charles Hard Townes*

2020.11.13

가성비 따질 거면 평생 국밥이나 먹으라던 댓글이 넘 공감됐었음.. 돈으로 따지면 학부 졸업하고 대기업 가는 게 낫지.. 박사 따면 물론 리스크가 있지만 거지같이 사는 것도 아니고. 적어도 내 분야에서만큼은 남들이 만들어 놓은 걸 소비만 하면서 살고 싶지 않아서 대학원 옴.
Halldór Laxness*

2020.11.13

자기합리화가 넘 심하네

박사동안 한우물 죽어라 파서 논문써봐야 그거 회사입장에선 관심도 없고 도움도 안됨
석사학위만 있어도 회사 연구직 잘 들어가서 박사랑 똑같은 업무 보는 경우가 대부분임
정말 박사학위가 기술적으로 중요한 상황이라면 대기업이 아니라 스타트업같은데 가겠지
그리고 박사시작할때 난 회사갈거야 하고 들어가는 사람 없음 안 풀리니 회사 가는거지

spk교수도 실적 안내고 빌빌거리는 사람 있다? 제발 비교할걸 좀 비교하자.
Anton van Leeuwenhoek*

2020.11.13

ㄴ 박사학위 취득자랑 석사학위 취득자랑 회사내에서 똑같다고? ㅋㅋㅋ 진짜 어디 회사 다니냐 니는?
W. Somerset Maugham

IF : 1

2020.11.13

박사학위와 석사학위가 똑같은 취급으로 똑같은 업무 보는 곳 = 석사로도 갈 수 있는 곳

IF : 3

2020.11.13

인생에서 돈은 아주 중요한 요소지만, 어느정도 먹고살만하게 되면 돈 못지 않게 다른 요소도 매우 중요해짐. 예를 들어, 특정 분야에 대해 바깥에서 발언권을 준다할 때 학사한테 더 많이 줄까, 박사한테 더 많이 줄까. 그리고 누구 말을 더 신뢰할까? 우리나라 사람들 그 누구보다 명절때 사회적 지위 비교하는거에 고통 많이 받지 않나? 남들과 비교하는 것에 있어서 그렇게나 민감한 사람들이 왜 이럴 때만 쿨병 걸려서 누구말마따나 '합리화'가 심한거지? 여기서나 박사가 쓸모있네 없네하는거지 일반인들한테 박사학위는 여전히 내 말을 힘을 실어주는 아주 효과적인 도구임.
Robert Robinson*

2020.11.13

Halldór Laxness// 뭐가 비교할걸 비교하라는거야,

학생들한테 인기도 없고 논문도 못 쓰는 spk교수보다 잘나가서 미국회사에도 스카웃되는 그런 회사 연구원이 나는 더 잘나보이고 더 닮고 싶은데?

생각하는 수준이 딱 옛날 구식 마인드이네. 50대 이상 아재들 사고방식인듯. 그렇게 남 시선 신경스면서 살다가 평생 후회한다.

2020.11.13

가능성의 문제임. 박사졸업하고도 단순테스트만 줜나하는 사람도 분명 있긴 있음. 근데 상대적으로 학졸이 그런쪽에 더 많음. 당연한거임.. 연구 할줄도 모르는 사람에게 창의적인 연구를 요구하지 않음..
단순 테스트만 줜나 돌려도 연봉은 똑같이 혹은 연차 대비 더 많이 나오긴 하겠지. 근데 그렇게 50살까지 일하면 재미가 있나?
반대로 학사졸업하고도 운 좋으면 자유도 높게 직접 연구도 하고 논문도 쓸 수 있는 팀도 분명 갈 수 있음. 다만 확률이 매우 낮은건 어쩔 수 없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