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신 vs 공동1저자

2019.08.26

7

19832

연구교수로 있습니다. 학생들 연구주제 실험 논문작성 지도해주고 지도교수는 아무것도 안하시는데 교신을 하는게 맞을까요 공동1저자를 하는게 맞을까요? 교신의 비중을 잘몰라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Martin Heidegger*

2019.08.26

구체적인 상황 설명이 없어서 답변이 어렵습니다. 지도교수가 아무 것도 안하고 있어도 교신저자를 기대하고 있다면, 교신저자를 해주는 것이 우리나라의 잘못된 관행입니다. 글쓴님이 기여도가 크다면 공동 1저자로 하시고, 지도교수님을 교신저자로 하는 것이 무난할 것 같습니다. 굉장히 젠틀한 지도교수라면 양심적으로 교신저자할 수 없다고 할텐데, 우리나라에 그런 분이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19.08.26

앞으로의 관계를 위해 교신을 그냥 주는 게 낫지 않을까요

2019.08.26

질문자 입니다. 제말은 교수의 역할을 제가 책임지고하고있습니다. 물론 교신하게되면 제교수님과 제가 공동교신을 한다는것이었습니다. 아닐경우 교수님이 교신혼자달고 저와 학생들이 같이 공동 1저자를 하는 두가지 옵션을 고민중입니다. 임용을보고있는터라 어느쪽이 더 인정해주는지 궁금합니다.

2019.08.26

1저자나 교신저자나 임용시 점수에는 딱히 차이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뭘해도 상관없을것 같긴한데, 저같으면 공동교신저자로 들어갈 것 같습니다. 교신저자는 학생을 지도해서 얻는 논문의 책임저자 포지션이니 교수님에게 얹혀갈수'도' 있는 1저자보다는 스스로 쓴 느낌이 강할것 같네요. 그리고 공동교신저자에 지도교수님 있으면 왠만한 눈치있는 연구자는 글쓴님이 실질교신저자인것 다 알겁니다ㅋㅋ 그런데 공동1저자로 들어가있으면 포닥하면서 애들거 뺐었나? 란 생각이 들수도 있죠
Martin Heidegger*

2019.08.26

논문을 읽다 보면 가끔 공동 제 1저자는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공동 교신 저자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글쓴님은 공동 1저자로 하시고, 교수님은 교신 저자로 하는 것이 무난할 것 같습니다.

2019.08.26

ㄴ저희동네는 공동교신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만... 교수님 3명이 코웍하면 교신저자가 3명까지도 늘어납니다

2019.08.27

현직인데 요새 공동주저자 기여도 지속적으로 깎는 방향으로 가고 있으니 분위기 참고하세요. 현직이든 임용지원자든 이거 어뷰징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언젠간 닥쳐올 미래였긴 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