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박사 하기 싫어서 생각도 안하고 있다가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개인적으로 많이 깨닫게 된 것들이 있어 바보같이 이제서야 진학을 원하네요..
등록금때문에 원래 지도해주시던 교수님을 뒤로하고
국립대로 들어가서 파트타임으로 할 예정인데요
솔직히 주제는 딱 정하지 못했습니다.
생각을 해보니 연구소에서 진행하고있는 사업들과 같은 방향으로 주제를 정할 수 밖에 없더라구요.
그 주제가 최종적으로 연구하고 싶은 주제와 살짝 방향성이 다른게 문제인데요.
크게 다르지는 않는데 상관없을까요?
솔직히 랩실 선택도 일하고 있는 연구소 박사님들께서 대충 가능한 주제들과 관련된 교수님 컨택해 주셨습니다.
걱정인 것은 현재 일하고 있는 기관에서 하고있는 사업이 비주류 주제라 모집공고가 많이 없다는 것인데요,
석사 주제가 그렇게 중요한가 싶기도 하고..
주변사람들 보면 석박사 주제 완전 다른 사람들도 많고..
너무 고민만 하는 것 같아서 일단 질러보기는 했는데
아직도 대학원세계를 잘 모르겠네요..
여기 커뮤니티는 상위권 대학원 위주여서 제가 알고있던 대학원이랑 많이 다르네요..ㅎㅎ 다들 멋지십니다.
두서없는 긴 고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0.12.23
석사과정 연구분야는 broad하게 보셔도 됩니다. 박사까지 확실하게 할 거라면야 좀더 신중하게 봐야 하지만 석사과정 전공은 님의 관심, 흥미분야와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고 '이건 진짜 못하겠다'가 아니라면 개인적으로는 진학하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René Magritte*
2020.12.23
개인적인 생각으로 큰 틀에서만 같으면 어느정도 달라도 괜찮다고 봅니다
저희 랩에도 석사출신 정출연 연구원분이 파견으로 박사따려고 오셨는데 석사때랑 큰분야는 같지만 세부분야에서 다른 분야로 학위했습니다
근데 그렇게 조금씩 다른분야를 접하면서 본소속 연구원에서도 시야가 넓어지고 나중에 사업 시야도 넓히고 하면서 빠르게 인정받더군요
어차피 기업이든 연구소든 연차가 찰수록 보직자가 될 확률이 높아지고, 그러면 본인 분야만이 아니라 다른 분야까지 컨트롤하는 관리직이 되는데
그럴려면 다양한 분야를 접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20.12.23
ㄴHerman Boerhaave
답변 감사합니다. 잘 모르면 일단 해보고 후회하는 성격이라..ㅎㅎ
일단 큰 틀로 어거지로 맞춰서 석사 진행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12.23
ㄴRené Magritte
정출연 부럽네요.. 학연으로 많이 간다고들 해서 엄두도 못내고 있습니다..ㅎㅎ
솔직히 제가 끝까지 할 수 있는 주제가 무엇인지, 유망한 주제가 무엇인지 아직도 잘 모르겠거든요..
그나마 가장 잘 할 수 있을 것 같은 주제로 큰 틀을 잡아놓긴 했는데, 말씀해주신 것 처럼 넓은 시야를 갖는데 도움도 될 수 있겠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다들 좋은 말씀 해주셔서 용기를 얻고 있습니다.
2020.12.23
국가기관 연구원이시면 연구사신가요?
2020.12.23
ㄴLeonard Bernstein
아뇨, 공무직 연구원으로 재직중입니다.
연구사는 석사이상의 학력부터 모집을 하고 대부분 박사이상을 채용하더라구요..
2020.12.23
최종적으로 하고싶으신 주제를 박사과정때 하실 예정이고 진학하고자 하는 석사 연구실이 큰 틀에서 비슷한 분야라면 문제는 안될겁니다. 다만, 이미 하고자 하는 주제가 명확한데 2년이라는 꽤 긴 시간동안, 비슷한 분야라도, 다른 걸 하는게 동기부여가 될지 모르겠네요. 직장 다니다 느끼는 바가 있어서 대학원 다니는 분들은 대체로 동기부여가 확실해서 걱정이 덜 되긴 합니다만.
Leo Tolstoy*
2020.12.23
글쓴이님 궁금한게 있는데
학사 연구원은 주로 어떤 일을 하나요 ?
2020.12.24
ㄴJohannes Fibiger
박사때까지 연구소에 있을 것 같아서 주제가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ㅎㅎ
무언가 특별히 관심있는 주제가 있기보다는 어떤 주제이던 상관없이 제 전공과 관련된 방향으로 전문적인 지식을 쌓아보고 싶은 것에서 동기부여가 강하게 일어나서 말이죠..
답변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0.12.24
Leo Tolstoy
ㄴ기관마다 차이가 크겠지만, 제가 근무하고 있는 곳은
일반 풀타임 대학원생이랑 비슷한 것 같습니다.
박사님의 사업과 관련된 실험을 세팅 및 진행하고, 데이터 뽑아내고, 정리해서 박사님께 보고하는 형식의 일을 합니다.
쉽게 말해 연구사의 노가다꾼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ㅎㅎ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4
2020.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