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대로 진학할 시에 메리트가 있다는데 사실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석박통합으로 진학할 예정이고 자대(SSH) 인기랩과 SPK 랩 중 어디로 가는게
유리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선생님들의 의견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Jean-Antoine Watteau*
2021.01.17
자대 메리트 매우큰데,,, 석사 안정적 성장은 자대가 훨 좋음
2021.01.17
ㄴ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2021.01.17
연구와 대학원 생활이라는게 기본적으로 이전의 경험과 질적으로 동떨어진 새로운 것이다 보니... "연구"하나에 적응하는 것도 상당히 벅찹니다. 자대는 아무래도 오랫동안 다닌 학교이니, "연구"와 "대학원 생활"이외의 것들에는 이미 적응이 되어 있겠죠. 그러다보니 결론적으로 연구와 대학원 생활에 적응하는 것만 신경쓸 수 있었고, 결론적으로 꽤 빠르게 적응했네요. 아마 타대로 갔으면 이렇게 빨리 적응하진 못했을거라 생각합니다. 새로운 장소, 새로운 사람들에 적응하는 것도 일이니, 아무래도 연구 외적으로도 뭔가 긴장되는 바가 있겠죠. 다만 저의 경우는 너무 빨리 적응해버리는 바람에 여기는 답이 없다라는 것도 상대적으로 빠르게(?) 눈치채버려서 탈출하기 위한 노력을 했고 다음학기에 spk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Melvin Calvin*
2021.01.17
1. 타대학의 지역이나 시스템에 적응할 필요 없음.
2. 학사 - 석사 연계가 넘사벽급임. 학부때 연구생하면서 대학원 과정 미리 듣고, 연구주제 쭉 이어나갈 수 있음. 그래서 석사때 남들보다 실적 몇 개 더만들 수 있음(물론 하기 나름). 그거로 유학에 유리해짐
3. 대학원은 당연 연구실 퀄리티가 제일 중요한데 자대생이라면 충분한 정보망과 자대생 버프로 가장 좋은 분야의 연구실 입성 가능
4. 보통 자대생 출신의 경우 추가적인 재정 지원이 있음
Melvin Calvin*
2021.01.17
단점도 몇 개 써보자면,
1. 유학이 보장되는건 아님. 들어갈때만 해도 확답을 주던 교수가 갑자기 변심하면 끝이고, 그거 아니더라도 사람일은 모름
2. 석사 커리어 까지만 볼때 spk가 훨 나음
3. 번아웃 오는애들 상당수가 자교출신. 아무래도 같은학교를 6년 다니다 보니 새로움도 없고 빨리 지치는듯
4. 학계(대학원)에 몸담고 있으면 네트워크도 매우 지협적이고 사람 시야가 좁아지게 돼있음. 타대학 대학원이라도 가면 다양한 사람들 만나볼 기회가 그나마 더 생김
2021.01.17
말씀 감사합니다. 실적같은 경우, 그런 메리트가 석박통합과정 학생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생각하시나요??
Melvin Calvin*
2021.01.17
ㄴ 통합도 실적 자체만은 당연 메리트 있겠지만, 석박통합이면 유학은 물건너 갔다는 소리고..
유학생각이 애초에 없다면 자대는 갈 이유가 딱히 없다고 생각함
Vladimir Prelog*
2021.01.17
자대 원하는분야 인기랩이랑 spk 원하는지않는분야 비인기랩일 경우 비교도 아니고, 그냥 단순히 자대 인기랩이랑 spk만이랑 어떻게 비교가 되나요..
spk도 원하지않는 연구해야되고 특정이유(교수의 인품/실적/연구분야 등)때문에 비인기랩일 경우 굳이 갈필요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비슷한 분야면 spk가는게 손해볼거야 없죠.. 자대 교수가 상당히 대가가 아닌이상은, 자대 인기랩에 가서 잘할사람이면 어차피 spk가서도 잘할 사람입니다.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