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부터 지금까지 10개월 간 자대 학부연구생 하고 있는 4학년입니다. 저희 교수님이 학부연구생도 연구주제 잡고 연구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셔서 저도 들어온지 3개월 후 부터 개인연구 시작했습니다. 분야는 재료구요
문제는.. 소자 성분 / 구조 분석까지 다 끝났는데 물성을 확인하지 못합니다. 프로브 스테이션 사용하는데 형상이 너무 Porous해서 오더도 낮고, 노이즈도 심한 등 컨택이 되지 않습니다.
아무튼 교수님이 선배님이 쓰신 논문 여러방향으로 이끌어주셨는데 워낙 문제가 본질적인 것에서 막혀서 다른 방도가 없다고 스스로 느끼고 있습니다.
이 악물고 해보는데까지 해보자해서 샘플도 벌써 6세트째고, 6일동안 학교에서 자본 적도 있습니다 제스스로를 채찍질해서 그런 것도 있겠으나 연구에 진전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생각에 더 힘이 빠지고 더이상 실험을 진행할 정신력도 고갈됐다고 느낍니다
아무래도 교수님은 나가더라도 제가 여태껏 하던것을 마무리짓고 나가기를 원하시겠지만, 정말 막다른 길이고, 4학년이라 새 주제를 잡고 시작하기도 조금 늦지않았나 싶어 랩실을 나갈까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랩실을 나간다 말씀드렸을때 예의에 어긋나는 일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Marcellin Berthelot*
2021.01.19
10개월 연구해서 잘되는 케이스가 더 드뭅니다.
Hyman Minsky*
2021.01.19
정확한 이유를 모르지만, 그 고질적이라는 문제의 해결책이라는걸 충분히 생각안해보셨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능동적으로 충분히 다양한 해결책에 대해서 찾아보시고 결론을 내리신건지요.
분야가 달라서 정확히는 모르지만 대충 구조적인 문제로인해 물성치를 제대로 확인못한다는것 같은데, 해결방안은 충분히 있을것같은데요. 포러스구조를 어떻게만든건지는 모르겠지만 구조상 일정한 측정값이 안나올수는 있겠지만요.
하다못해 해당문제점에 대해서 교수님께 해결책에 대해서 여쭈어보신거긴 한가요.
여튼 그것과 별도로 저도 예전에 연구실학생들 없을때는 개별연구나 URP하던 친구들이 붙어서 같이 연구하면 좋았는데, 그래도 4-5명이랑 해본결과 제대로 개별연구를 하거나 책임감 있떤 학생은 거의못봤습니다. 그중 한명은 연구실 후배긴한데, 그학생 제외하고 전부다 그냥 적당히 시간때우다 가는 정도?? 그래서 저는 더이상 개별연구학생 와도 제가 받지는 않습니다.
2021.01.19
학부연구생인데 뭘... 쉬엄쉬엄 하세요 나중에 지쳐요
2021.01.19
학부생인데 왤캐 부담가지세요
2021.01.19
그러한 이유로 나간다는 것 자체는 예의에 어긋나거나 하지는 않아요. 다만 너무 부담감을 가지고 계신 것 같네요.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대학원생들도 1년차때 스스로 제대로 된 결과물 하나 뽑아내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지도교수님과 어떻게 상의를 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그대로 진행해서 마무리짓기 원하신다는 것은 교수님이 보시기에 잘 끌고가면 논문거리는 나오겠구나 하고 판단을 내리셨기 때문이겠지요. 만약 잘 해내야겠다는 부담감에 좋은 결과만 말씀드리고 막힌 부분은 그냥 혼자 고민하고 계셨던 것이라면 이야기가 좀 달라지긴 하겠지만 교수님과 잘 상의해보고 본인의 연구내용이 더 끌고 갈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먼저 확실하게 판단하고 생각하는게 맞는것 같네요. 스스로 확신이 없으면 될 연구도 안되기 마련이니깐요. 그리고 가능하면 잠은 푹 자시길. 몸상해요
2021.01.19
ㄴ 모두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21.01.19
나도 학부 연구생 때 동일한 처지였음. 6개월 넘게 붙잡고 있던 실험의 결과가 제대로 나온 적이 없어서 자책을 많이 했음. 근데 그거 가지고 논문 쓸 것도 아니였고 그냥 좋은 경험 했다고 생각하니 나에게 모두 득이 되는 시간들이었음.
IF : 5
2021.01.19
물질을 잘못 만들었거나, 안봐도 되는(굳이 필요없는) 성질을 애써서 찍으려고 하거나 둘 중 하나 같아요. 보통 porous 물질의 전기저항이 크게 의미가 있나요? 전기적 컨택이 문제라면 silver paste같은거 살짝 발라보거나요. (전 박막랩이라 자세히는 모르지만...)
너무 몰입하지 말고 조금 멀리서 바라봐보세요. 의외로 해결책이 나오거나
IF : 5
2021.01.19
최소한 마음은 편해지실 것 같아요
2021.01.19
실적 압박에서 벗어나시고, 잘 안되는 이유는 꼭 기억해두거나 공부하세요.
꾸준히 노력하다보면 언젠가 결과가 잘 나옵니다.
세상에 연구하다가 2년 3년 5년 버리는 사람들 허다합니다.
그런데 실패의 시간이 결국 뼈와 살이 됩니다.
장담컨데 실패없이 성공은 없습니다.
2021.01.19
2021.01.19
2021.01.19
2021.01.19
2021.01.19
2021.01.19
2021.01.19
2021.01.19
2021.01.19
2021.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