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성, LG 등 대기업 채용순위: SKP 가 1순위, YKH 2순위 ..등등으로 순위나눔. 국내 1순위는 미국 1순위와 동등함.
2. 교수임용 순위: SKP의 경우 해외 포닥이후는 미국 주요 명문대(대략20위이내)와 구별안함. 실적으로 승부함.
3. 교수연구실적: 해외유명그룹에서 Nature/Science를 주저자로 논문내고 들어와서 한국에서 채임저자로 내는 것 어려움. 국내에서 책임저자로 Nature/Science내었던 연구실은 다르게 인정받음. 이경우도 해당 국내 연구실 학생/포닥이 주저자로 들어갔는지 봐야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19.10.12
4. 이런글 남기는 놈 치고 실력있는 인간은 없음. ㅂㅅ임
Franz Schubert*
2019.10.12
ㄴ 본문에 딱히 틀린말 없지않나? 이런식으로 일침 날리면서 뭔가 있어보이고싶나봄?ㅋㅋㅋ 적어도 저런세계에 대해 1도 모르는 너보다는 원글자가 나아보이는데?ㅋㅋㅋㅋㅋ
2019.10.12
ㅋㅋ 근데 저런식으로 논할거면 1,2,3번 이전에 학부 학벌에 대한 논의가 있는게 맞을듯ㅎ
2019.10.12
저기서 spk가 1순위라는 말은 학석박을 모두 자대로 밟은 사람을 말하는거지. 학벌 세탁한 yk 등등 그 아래 학교 출신들을 말하는게 아님. 게다가 전문연으로 나이도 어려야 그래야 겨우 해박이랑 동등해진다는 말임.
IF : 1
2019.10.12
동의 합니다. 지인들 중 학석박을 카서서, 카카카, 서서서 이렇게 받으셨던 분들은 임용시장에서 다들 잘 풀리셨던것 같습니다. 물론 꽤 인기랩에 들어가서 실적 역시 평균 이상은 되었고요.
특히나 나이가 박사 졸 기준으로 20 후반이었다는 점이 특징이었던것 같네요
2019.10.13
위에 댓글 단 사람들 중 하나인데,
어차피 SKP 학부아니라 YKH 중상위 학부를 나와서 SPK로 나가도 어차피 결국엔 큰 차이가 생기는 건 없는 것 같아요. 그냥 연대맨 고대맨.. 등등으로 찍히는 건 똑같을 뿐. 해외 탑스쿨로 유학 가지 않는 이상 임용 시장이라는 관점에서는 본글의 논점인 “학벌”면으로는 큰 메리트는 없다고 봐요. (물론 SPK 최상위 랩을 진학할 수 있으면 마이너스는 없겠다만 SPK 평균랩 갈바에는 차라리 걍 자대 최상위 랩 가도 별 큰 차이 없는듯..) 특히 기업 취직은 YKH 학부생이 국박으로 진학할 경우 더 상관 없구요...
하지만 오히려 지거국이나 인서울 하위 학부는 자대로 가는 것보다 SPK로 가면 어느정도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봐요.
2019.10.13
왜 게속 spk로 불리는지 모르겠는데 p는 많이 내려가지 않았나요
2019.10.13
ㄴ포항공대 빌런 또 등장 ㅋㅋㅋㅋ 이거 김박사넷 똑같은 인물임
2019.10.13
?
2019.10.13
monet님 그래서 p진학은 가능하심? 학부는 커녕 대학원도 못가실듯 ㅠㅠ
2019.10.13
p가 떨어지면 미쳤다고 p 자대생들이 대부분 자대 대학원을 가겠음? 다 s나 k가지 ㅋㅋㅋ
Johannes Fibiger*
2019.10.13
설>>카>>>연고>포 팩트
Hans Geiger*
2019.10.13
불편할거 전혀없는 누구나 다 아는 사실
2019.10.13
여기 게시판은 유독 정신병자들이 좀 많은듯..
IF : 1
2019.10.13
실제로 포공에서 서/카로 대학원 진학 하는 학부생들의 수가 점점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는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알 사람들은 다 알지만..서카에만 있고 포에는 존재하지 않는 교내채용이 최근들어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2019.10.13
나는 이런글이 전반적으로 김박사넷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문제있는 글이라고 봄.
졸업하고 대기업 가서 그냥 시키는일 하면서 연봉 많이 받고 싶은 사람들은 제발 여기서 눈팅만 했으면 좋겠음.
실제로 그 들에게는 학벌이 중요한 요소가 맞긴 맞는데 개인의 노력보다 중요한 요소는 아님. 근데 이런글 쓰는 사람들은 자꾸 착각을 하는거 같음.
그러다 보니 의미 없는 대학원 순위 같은 트래픽만 낭비하는 글이 자꾸 올라옴.
학부 까지는 팀전인데, 대학원은 철저하게 개인전임. 실적이 똑같아서 우열을 가리기 힘들면 학벌을 보는 거지, 택도 없는 애들 학벌 좋다고 뽑아주는 말랑한 정출연이나 대학은 없음. 당연히 좋은 학교 좋은 랩에 들어가면 잘하는 사람이 많으니까 동기 부여도 잘 되고 경험하는 것들이 다른건 맞는데, 그렇다고 놀아도 취직이 잘 되는건 아니라는걸 알았으면 좋겠음.
적어도 여기가 대학원 랩을 잘 못 골라서 자퇴는 기본이고 학문에 대한 꿈까지 접는 상황을 단순히 랩을 잘 못 골랐다는 이유 하나 때문에 겪어야 하는 억울한 학생을 하나라도 줄이기 위해서 정보를 공유하자는 취지로 만들어 졌다는 사실을 알았으면 좋겠음.
2019.10.13
지방대 출신도 설카포 교수 되는 시대라고 말해줘도 모름. 여기 애들 수준이 그러함
Renato Dulbecco*
2019.10.13
확실한 것은 yk 대학원은 p 보다 들어가기 쉽다는 것은 팩트임
2019.10.14
결국은 본인의 실적이 말해주는 것인데 아무리 국내 SKP도 세계TOP대학수준의 실적을 낼 수 있는 연구실이어야 본인의 가치를 높여줄 수 있다는 것...
Hans Geiger*
2019.10.14
광운대출신이 삼전 사장도 했으니 광운대 가시길
2019.10.16
서카에만 존재하고 p에만 점점 비공개 채용이 줄어들고있다고? 내가 올해 받은 석박사 선확보 및 산학장학생 메일, 또 올해 학교에 생긴 psep은 뭐지? 너 객관적 증거없이 타학교 깍아내리지마라. p 다니는 입장에서 김박사넷에 떠도는 학교에 대한 근거없는 비방이 정말 지긋지긋하다.
IF : 1
2019.10.16
윗분 익명이라고 말이 짧으시네요. 본인은 포스텍 학사 출신입니다. 객관적 근거는 차고 넘치도록 많으니 한번 다니면서 열심히 몸소 체험해 보시기 바랍니다..아, 비교할 수 있는 대조군이 없으니 힘들수도 있겠네요
2019.10.16
그 차고 넘치도록 많은 증거 알려주시죠. 개인의 실적이 아닌 학교로 판단되어 sk에는 존재하지만 p만 없는 비공개 채용. 도대체 뭔가요?
Mondino de Luzzi*
2019.10.18
P까내리는 애들은 이유가 뭐야?
나는 KKK인데 P까내리는 사람 주변에 못봤어요
진짜 궁금해서 그래..
주관적으로 SKP면 연구할 기본머리는 있다고 생각
실제로 퍼포먼스 좋은 P출신도 많이 봤어 S도 K도 마찬가지인 것같아
SKP정도면 연구실 따라 차이가 있지 간판 가지고 차이가 있는 것 같진 않아
대기업 취업도 결국 연구실에서 어디 기업 과제하냐에 따라서 진로가 바뀐다고 생각해
S가 K오는 선배도 봤고 P에서 K오는 선배도 봤고
K에서 P가는 동기도 봤고 PPP인 본받고 싶은 형님도 있어
P를 자꾸 까내리는 훌리들은 아마도 동일인이거나 소수가 반복해서 올리는 글 같은데
그러지 맙시다
논리적인 비하도 아니고 카더라로 비하하면 진짜 P인 사람들은 기분이 좋지 않을 수 있어요
또 비공개 채용이 어쩌고 하셨는데
학부에서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겠지만
대학원에서 석박으로 졸업하면 다수는 과제따라 취업도 결정합니다
질문 정리할게요
1. P가 까내려져야 하는 이유 좀 말씀해주세요
2. P에만 없다는 비공개 채용들이 뭔지 말씀 좀 해주세요
2019.10.12
2019.10.12
2019.10.12
2019.10.12
2019.10.12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3
2019.10.14
2019.10.14
2019.10.16
2019.10.16
2019.10.16
2019.10.18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