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입학을 앞두고 있는데요
신소재공학과 나와서 대학원을 진학해서 대기업 연구소에 들어가는 게 목표인데요
1. 신소재에서 바이오 쪽으로 연구방향을 잡는 경우가 많이 있나요? 제 적성이 바이오와 잘 맞습니다
2. 또 반도체 쪽은 교대근무가 거의 해당된다고 해서 힘들 것 같은데 석사 나와서 취업해도 교대근무 많이 하시는지 궁금해요
3.대학원 진학을 위해서 학부생이 준비해야할 것이 뭐가 있을까요?
치기어리지만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2.06
1. 학부 신입은 적성을 논하긴 한참 이르고요. 적성은 적어도 전공수업은 듣고 얘기합시다. 신소재에서 바이오 연구는 많이 하는데, 그걸로 대기업 가긴 힘듭니다. 대기업 갈땐 다시 물리나 화학 베이스 전통 소재로 돌아가거나 대기업 포기하거나.
2. 박사를 나와도 많이 합니다.
3. 학점.
대댓글 1개
2021.02.27
네 아직 전공수업은 하나도 못 들어봤습니다...ㅎ
감사합니다!!! 학점 열심히 따겠습니다!
2021.02.06
바이오 재료하시는 교수님들도 많아요. 다만 이 주제로 대기업 가기는 매우 힘들듯.
대댓글 1개
2021.02.27
감사합니다!
2021.02.07
바이오 재료분야는 미국에서도 아직 이른 상태입니다. 현재 컴퓨터 기반사회이구요. 논문을 바이오쪽으로 하고 수업은 대기업 선호도 위주로 하던지 그 반대로 하세요 무엇이 됐든 현재 기업이 원히는 것을 본인 대학원생활에 끼는 것이 유리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2.27
전략적인 답변 감사합니다!
IF : 5
2021.02.07
1. 그나------마 바이오센서쪽 하면 공정 해본걸로 어떻게든 비벼서 대기업 진입은 가능. 그 외엔 대기업은 어려워요 특히 박사는.
일단 신소재학과 학부 커리에서 바이오는 없다고 보셔도 됨. 거의 고체물리학과입니다.
2. 반도체분야 뿐 아니라 24시간 공장 돌아가는 제조업 회사는 그럴 가능성이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신소재과에서 석박사 끝나고 가는 대부분의 대기업은 제조업이죠.
대댓글 1개
2021.02.23
저희 학교는 2학년 때 전공이 금속신소재와 전자재료로 나뉘는데요,
바이오 분야로 막연하게 저의 진로를 생각하고는 있습니다만..
금속신소재의 경우 반도체 배터리와 더불어 철강 분야도 배우는 반면,
전자재료의 경우 반도체 배터리 위주로 배운다고 하는데요.
신소재공학이 넓고 얕은 학문을 배운다는 점이 있어 석사 진학을 매우 희망하고 있습니다. 저는 아직 이 분야에 대해 아는 것이 부족해서 두루 배우는게 낫다고 생각하기도 해서, 금속신소재전공에 들어가서 전자재료전공보다 반도체, 배터리 분야는 부족하지만 철강까지 넓게 배우는 것이 나을지 고민이 됩니다. 만약 제가 금속신소재전공에 들어가서 석사 진학을 바이오 분야로 할 수 있을까요? 말씀하신대로 바이오 분야는 전혀 커리큘럼에 나와있지 않습니다...
2021.02.06
대댓글 1개
2021.02.27
2021.02.06
대댓글 1개
2021.02.27
2021.02.07
대댓글 1개
2021.02.27
2021.02.07
대댓글 1개
20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