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 평판

2021.03.02

4

2228

교수님 평판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구글 스칼라에 나오는 인용수로 판단해도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1.03.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김박사넷 오각형과 한줄평 참고하고
김박사넷에서 연구실 검색하면 교수님이나 석박사
연구논문과 진로 아웃풋 정도 검색해보면 감이와요

2021.03.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인용지수랑 연구지도력과 어떤게 중요한거 같아요?
지도교수는 말 그대로 연구를 잘할수 있게 지도를 잘해야 되요
본인이 잘 할수 있는 연구실을 찾아가서 처음엔 랩구성원들의 도움도 좀 받고 지도교수의 지도를 잘 받아 ,좋은 실적을 내어 꿈을 이루도록 하셰요
처음부터 잘 하는 사람은 별로 없어요

2021.03.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도교수는 본인보다 더 우수한 연구자를 길러내는 사람이 훌륭한 교수이고 최고인 스승임
청출어람이라고 하죠
배고픈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1.03.02

인용수는 상당히 중요하지만, 분야/연차/리뷰페이퍼개수 등에 따라서 많이 달라집니다.
예로, 인용수가 3000인데, 그중 2000정도가 리뷰페이퍼에서 나오고 나머지 1000이 technical paper에서 나온경우와, 인용수가 2000인데 모두 technical paper에서 나온거랑은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review paper를 쓴다는 것도 초청을 받아서 작성을 하기에 어느정도 해당분야에서 인정을 받은 사람이 작성하기는 합니다.
또 주저자/교신저자가 아닌 공동저자도 카운트가 되기때문에, 사실 공동저자 돌림하는 몇 연구실의 경우에는 논문개수/인용수가 높을 가능성이 높죠.
교수님 평판이라는것은 사회적(국내외) 지위/연구지도능력/인품/연구실적/강의평가 등 다양한 요소로 결정됩니다. 말씀하신게 연구실적 부분에 대한 평판이라면, 국내외 비슷한연구실들 찾아보고 연구실 박사과정학생수 대비 논문이 몇편 나오는지, 어느정도 저널에 작성을 하는지 비교를 해보시면 어느정도인지 감이 올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