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Term Project 진행을 위해 읽는 논문인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은데 (특히 수식이 어떤것을 의미하는 바 및 증명과정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저희 실험실 분야와 동떨어져 있어서
선배님들한테 도움을 요청할 수가 없네요 ㅠㅠ...
혹시 너무 어려운 논문들은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면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씩씩한 임마누엘 칸트*
2021.05.09
'어렵다'의 구분에 따라서 접근 방식이 다른데요. 어떤 부분이 어려우신가요? 해당 분야의 연구배경 또는 기초 파악이 안되어 어려운가요? 수식이 어려운가요? 실험 방법이 어려운가요? 결과 해석이 어려운가요?
위에 대한 답변을 주셔야 명확한 답글이 달리겠네요.
대댓글 3개
2021.05.09
앗 죄송합니다. 수식이 뜻하는 것을 제대로 이해를 못해서 막혀있습니다.
씩씩한 임마누엘 칸트*
2021.05.09
저 같은 경우는, 두 가지로 해결하는데요.
- 아랫분처럼 다회독하면서 수식을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 써보며 익힌다
- 해당 논문의 레퍼런스, 해당 논문을 인용한 논문들에서 관련 수식이 있는지 찾아보고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책을 보며 기초부터 다시 따라가기엔 시간이 부족하거나, 연관성이 없을 수도 있다고 판단되기에, 저는 위의 방법을 해봅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 바래요
2021.05.09
조언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제 연구도 해야하고 시간을 많이 쓸 수 없네요 ㅠㅠ
그렇다고 과목을 던질수도 없고...
말씀하신데로 따라해보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오만한 제임스 맥스웰*
2021.05.09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은데
--> 다회독 뇌에 때려박아야됨
대댓글 1개
2021.05.09
음...그냥 닥치는데로 읽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IF : 5
2021.05.09
그런 경우 많아요. 특히 내가 모르는 분야면, 거기서 다 안다 생각하고 건너뛰는 부분을 나는 모르기 때문에...
저는 최대한 그 비어있는 부분을 채워보려고 합니다. 수식 부분 주변에 있는 개념어들로 힌트를 얻고 열심히 구글링하거나 주변에 있는 레퍼 찾아본다던지요. 거기서 어물쩡 넘어가면 또 다른 부분에서 비슷한 일을 언젠간 다시 겪게 되더라구요.
대댓글 1개
2021.05.09
감사합니다! 구글링을 조금 더 활용해보아야겠네요
IF : 2
2021.05.10
좀.. 가볍게 답을 말씀드리자면.. 쌍욕을 하면서 읽습니다. 어려우니 신경질도 나고 자괴감도 들고 복잡다양한 마음이 들쑥날쑥 하니까요. 위에 분들 의견처럼 검색기능을 활용해서 내용을 좀 더 보완하면서 공부하시거나 학부 때 보시던 기본교재 같은 걸로 개념을 다시 한 번 잡아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2021.05.09
대댓글 3개
2021.05.09
2021.05.09
2021.05.09
2021.05.09
대댓글 1개
2021.05.09
2021.05.09
대댓글 1개
2021.05.09
2021.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