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돈굴리는거에 흥미가 있고 사회 시스템이 돈에 의해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는게 좋아서 경제학과로 목표를 잡았었는데요. 요즘 소프트웨어랑 데이터사이언스가 엄청 뜨더라구요 친구들도 생기부를 이쪽으로 많이 채우는거 같고.. 저도 이래야 하나 싶어서요. 그래서 굼긍증이 있습니다 1. 서성한 이상으로 대학은 갈거 같은데 데이터사이언스에 경제부전공하고 경제에 데이터 부전공하고 큰 차이 없나요? 2. 제 가족중에 서성한에서 교수 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대학원갈때 유리할까요? 3. 제가 개발은 진짜 하면서 살기 싫은데 데이터에 가면 이런거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해야한다면 다른 학과 추천도 해주세요.. 일단 이과여서 과탐은 하는데 경제로 가도 취업에 걱정 없으면 사탐을 하려 합니다 어차피 정시라서요.(명문고입니다) 4. 수학에 흥미가 있어요. 유망한 학과 추천도 해두세요. 이왕이면 개발 빼고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9.15
유망은 뭔 유망 니 졸업할 때 되면 트랜드 180000° 바뀜
대댓글 3개
2025.09.16
화공과는 어떤가요? 요즘 화학쪽에도 흥미가 생기고 있어서요
2025.09.19
현재 ssh 화공과 박사과정입니다. 배터리 중국에 먹히고 석유화학 중국에 먹히고 뭐 남은 큼지막한거랄게 어렵네요. 많은 교수님들이 재료 쪽에 힘쓰시는걸 보면 화공은 현시점에서는 매력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나중에는 어떻게될지 모르지만요
2025.09.22
180000도면 제자리구만 ㅋㅋㅋ 반말 쓰시는거부터 인성부터 챙기십쇼 반박시 당신 말이 다 맞습니다.
2025.09.15
1. 같겠어요? 주 전공은 주 전공이고 부전공은 부전공이에요 경제학자가 코딩할 수 있는 거랑 컴공이 경제 하는 거랑은 달라요 2. 단점이 될 순 있으나 장점이 될 순 없어요 3. 데싸건 뭐건 간에 코딩 관련 업계는 현 추세에서 보면 ai를 만들 능력 없는, 낮은 정도의 코딩 능력이면 아무 것도 못할 가능성이 커요 4. 남들 안하는 거 하던지 통계 대학원 가시던지
글을 보면서 느끼는 게 있다면 하고 싶은 게 정확하지 않아요 하고 싶은 것을 정확히 찾고 그것을 하기 위해 뭐가 필요한지 찾아서 그대로 하세요
대댓글 1개
2025.09.16
하고싶은게 저는 솔직히 경제쪽으로 나가고 싶어요. 거기서도 데이터 분석해서 미래로의ㅡ방향을 설계하거나 미래 경제경향등을 예측해서 대비하는등의 일을 하고싶어요. 근데 요새 하도 문과가 청시받다보니 저도 데이터쪽으로 학과를 나와야 하나 싶어서요.. 혹시 이관점에서 다시 답변 해주실수 있을까요?
2025.09.15
1. 보통 부전공은 취급을 잘 안해주죠.. 그래서 전공으로 하나를 정하셔야 합니다. 만약 대학원까지 가서 박사 딸 생각이라면 큰 전공의 틀안에 세부적인 연구실들이 있으니 님이 원하시는 연구하는 곳으로 가면 됩니다. 박사받으면 뭐 데이터-경제학부든 경제-데이터학부든 별 의미 없어지구요.
2. 님 커리어에 아무런 상관 없다고 생각하세요. 부모님이 교수시면 종종 상담이나 요즘 분위기 파악정도 정보 얻는 수준만 도움 받으세요.
3. 뭔 고등학생이 벌써부터 개발을 하기 싫니 좋니 라고.. 말하기에는 기초 공부를 더 하세요. 연구는 그렇게 "개발" "응용" 이런식으로 딱딲 나눠지지 않아요. 적어도 코딩할꺼면 개발을 안할수도 없구요.
4. 수학의 범위가 얼마나 큰데.. 수학자가 될 거 아니면 그냥 수학은 기초 잘 해놓으시면 문과가 아닌이상은 대부분 수학 잘하면 + 될겁니다. 수학을 전공으로 삼는건 또 전혀 다른 이야기의 차원입니다.
아직 좀 더 경험하시고 겸손하시고 공부에 매진할 시기 같네요. 먼저 과부터 잘 정하시고 대학가서 학부~그 이상 공부하시면서 인생 방향을 잡으세요.
대댓글 1개
2025.09.16
감사합니다. 쓰다보니 두서없이 적은 거 같은데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09.16
공부나 하세요
2025.09.16
말투 보니 서성한 교수 아버지가 가정교육 전문가는 아닌가보다
대댓글 1개
2025.09.19
이딴 댓글은 무시하세요
글쓴이는 일단 본인이 뭘 하고 싶으신지 정하는게 가장 중요해보입니다
2025.09.16
경제학과 가도 개발해야한다ㅉ 데이터 사이언스는 개발자라고 보면되고 답변 끝
2025.09.20
정신차리고 공부해서 의대가요. 아니면 하다 못해 서울대라도.
2025.09.21
경제학쪽의 문과 포지셔닝은 지키면서 개발자 노가다 고급 인력 수요에 따른 이득도 같이 가져가려는건 욕심임.
2025.09.15
대댓글 3개
2025.09.16
2025.09.19
2025.09.22
2025.09.15
대댓글 1개
2025.09.16
2025.09.15
대댓글 1개
2025.09.16
2025.09.16
2025.09.16
대댓글 1개
2025.09.19
2025.09.16
2025.09.20
2025.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