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박사 차이는 그거아니겠습니까.
전문성이 딸리지만 해고는 잘 안됨.
전문성이 제일 집중되어 있지만 알앤디가 젤 먼저잘림...
돈은 전문성을 따라가지만 정년은 해고를 따라가니 어떻게 험난한 세상을 헤쳐나갈지는
오롯이 본인의 저울질에 따라 달렸습죠
2019.12.08
ㄴ ?? 알엔디 짜르는건 사업 접을때 말고는 없을건데?
기업 입장에선 이직이나 안하면 다행이지;
2019.12.08
ㄴ제가 알기로도 최악의 경우가 부서재배치지 학사가 오히려 더 불안정한거 아닌가요?
2019.12.08
ㄴ
저는 석사 졸업하고 대기업에서 3년 근무 후 현재 박사과정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Friedrich Nietzsche님 댓글은 틀린 말입니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석박사들이 경쟁 업체로 이직이나 안하면 다행입니다
사업 접는거 아니면 석박사들은 R&D부서 정리해고 될 확률은 낮습니다
오히려 학사들은 별 시덥잖은 이유로도 우수수 갈려나가죠
요즘 컨설팅 창업같은거 되게 많죠? 대기업 출신 학사들이 다 저러고 있어요
뭘 좀 알고 댓글 좀 쓰시죠
그런데 imf때 박사들부터 짤린것도 사실임
고연봉자들 하나 짜르면 젊은애들 3명 쓸 수 있고
우리나라는 imf 시즌2 곧 올 분위기고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08
참고바랍니다~홧팅합시다 | 19.04.13 | 조회수 9,813
하이닉스 최근 학사졸 1년차 연봉 8000 대
삼성전자 최근 박사졸 1년차 기본급 6000 대
대댓글 1개
2023.04.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김박사넷 상주 박사과정 30대 연봉 2천따리들 분노의 비공질 ㅋㅋㅋㅋ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08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거치며 공대 위상은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기업에서 가장 먼저 엔지니어를 정리해고 대상자에 올려 놓으면서 공대 출신 직장인들이 길거리로 내몰렸다. 평생 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2000년대 들어 우수 학생들이 의대로 몰리는 `의대 광풍`이 불었다. 전국 의대 정원이 채워진 뒤에야 공대 입시가 시작됐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 사회 문제로 부상했다.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08
남들이 보기엔 니가 정신병이야.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08
여기서 이러지 말고..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대학원 진학이 좋은지 취업이 좋은지 검색해봐..
다들 취업하라는 분위기이니까..
2019.12.08
ㄴ할매 댓글 안 단다며 ㅋㅋ
2019.12.08
Charles Scott Sherrington 그분 등판
2019.12.08
순수히 금전적으로 따져봤을때는 학사졸이 훨씬 이득인건 맞음. 근데 애초에 다 내려놓고 정출연이나 학교쪽이 아니라 취업만을 위해서 spk대학원 가서 학위를 딴다는건 바보라고밖에 말할수 없다고 생각함. 대학원이라는게 적성에 안 맞으면 짧은 석사학위기간이라 할지라도 그 2년이 의미없고 고통스러운 시간이 될 수 밖에 없음.
2019.12.08
이번에 spk대학원 1년 다니다 도저히 안 맞아서 때려치고 취준하는 사람으로써 잘 생각해 보았으면 함. 내가 적성에 맞고 평생 이 일을 해도 재밌게 잘 할 수 있을지를..
2019.12.09
ㄴ근데 SPK 설포카 출신 박사들 정출연 가는 비중보다 삼성전자가는 비중이 많이 높지 않나요..? 금전적으로 이득이란건... 박사졸이 전문연 포함했을 시 학사졸보다 4년 늦게 나오는데 4년 차이가 그렇게 큰가요..?
Louis Agassiz*
2019.12.09
그러니까 전문연하고 29-31살에 박사따고 기업가면 학부졸업보다 메리트 있음
군대다녀오고 어영부영하다가 35살에 박사따면 메리트 없음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전문연하고 29-31살에 박사따고 삼성전자 가면... 최근 박사졸 1년차 기본급 6000 대
그냥 군대 나와서 대학 졸업하자마자 26살에 하이닉스 가면.. 최근 학사졸 1년차 연봉 8000 대
박사 31살에 연봉 6천... 대학원 다니며 등록금 약 5천만원을 썼음. 마이너스 오천에 연봉 6천
학사 26살에 연봉 8천... 26살부터 31살까지 5년간.. 4억원을 범.. 플러스 4억에 연봉 8천+호봉..5년이면 대리승진도 해서 연봉이 더 올랐을 것.
대댓글 1개
2021.09.14
병있으신가ㅋ 댓글보니까 내내 연봉 6천 염불외우시네
신기하네요 ㅋㅋ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박사 따면 학부 졸업 보다 메리트가 없고.. 빚이 있음..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학사 26살에 하이닉스 입사 후.. 29살에 대리 승진..
근데 밑으로 31살짜리 박사 신입사원이 들어왔어..
그러면 인제 심리적으로 복잡해진다..
31살 박사는 자기는 박사고 2살 많은데..
2살 어리고 학부 졸업하자마자 취업한 대리를 직장상사로 모셔야 해..
연봉도 대리가 더 많아.. 빡치겠지.. 매우..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그럼 그 박사가.. 주변 사람에게 대학원 다니라고 할까?
자기 가족 친인척한테는 절대 대학원 다니지 말라고 함..
평소 되게 얄밉게 생각했던 놈에게만 대학원 가면 아주 좋다고 얘기해줌.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내가 연봉이랑 등록금 같은거 가지고 자세히 설명해줬는데..
이 정도 숫자 계산도 안 되면.. 이공계 가면 안 된다..
숫자 계산 빠른 이공계가 대학원이 미달되고..
숫자 계산 전혀 안 되는, 수학을 포기한, 예체능계가 대학원 경쟁률이 엄청 높지..
2019.12.10
Charles Scott Sherrington
님 사회생활은 해봄?ㅋ
어떤 당나라 군대같은 회사에서 29살짜리 대리가 박사따고 과장으로 온 나이 많은 사람을 자기 부하로 생각?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요즘 변호사도 사원급으로 뽑고.. 미국 로스쿨에서 법학박사 받은 미국변호사도 사원급으로 뽑아.. 어떻게 박사 땄다고 과장급이니..
한국 로스쿨 나와서 석사 따고 변호사 되면 복덕방에서 사원급으로 채용 공고 내고..
미국 로스쿨 나와서 미국 법박 따고 변호사 되면.. 금융계에서 사원급으로 채용 공고 내고..
그게 현실..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환경미화원 모집에 '물리학 박사'까지 지원
서울 강서구는 환경미화원 5명을 뽑기 위해 지난 7일과 8일에 지원서를 접수한 결과 63명 지원했고 이 가운데 서울의 한 대학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은 지원자 등 대졸 이상의 학력자가 11명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526600&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526600&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박사 환경미화원·석사 은행텔러…학력거품 갈수록 커져 -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view/2011/07/472422/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0
글고 교수님 근무하시다가 은퇴하시면.. 소일꺼리로 택시기사 한다..
가끔 교수 출신 택시기사를 만날 수가 있어..
2019.12.11
제가 들은거랑은 다르네요.
과마다 다른 것 같아요. 삼전 작년에 박사급 과장 입사해서 기본급 6700에 성과급 터져서 연봉 1억 남은 걸로 들었고, 물론 sk 박사급 과장도 성과급이 더 터져서 1억 가뿐히 넘겼다고 들었어요.
뭐 대학원 간다고 해서 다 그런 대접받는 것도 아니겠지만, 그렇게 비교할 필요까진; 물론 spk 학박 출신에 30 초반에 입사한 친구들이죠.
2019.12.11
뭔 극단적인 경우의 기사들을 가져다가 이상한 소리를 하고 앉았는지.. 진짜 사회생활 안해본 티가 나네
이공계 박사졸 대기업 취업 시 기본이 과장급 또는 대리 말년차란다. 최소한 어디서 검색이라도 해보고 댓글을 달던가 ㅋㅋ
저 밑에서부터 계속해서 이상한 댓글 다는 사람과 동일인물 같은데, 김박사넷에서 이런 사람들은 좀 ip밴을 하거나 무슨 조치가 필요할 듯 하네요. 물을 흐려도 정도가 있지..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1
난 옛날에 대학원 박사 과정 안 들어가고 그냥 취업했는데..
그때 취업했던 회사.. 요즘 대졸 신입사원 초봉이 7천이라고 하드라..
그때 대학원 안 가고 취업했던거 정말 잘 했다고 생각하고 있음.
2019.12.11
신기하네..
난 학사 졸업하고 바로 취업했던 사람인데 7년차된 지금까지 일하면서 대학원 못다녀온게 너무 아쉬운데 말야.
그리고 우리회사와 업계는 phd를 엄청 우대하는 편이야.
개인마다 다른 경험을 하는거겠지...
학위라는게 어떤 자격이라 생각한다면 대학원에 맞지않다는 것은 공감함.
그리고 누구에게나 필요한것도 아니고 말야.
다만 분명 업무적으로도 어떤 장벽이 있었고 그 장벽을 쉽사리 뛰어넘는 박사분들을 보면 내 전공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한점과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경험이 부족한것이 참으로 안타까움.
선배들이 박사가 모두에게 필요없더라도 너한테는 필요할거같다 라고 했던 말들도 이해함.
이건 내가 공대라서 그럴지도 몰라. 아마도 가성비를 따진다면 아마 대학원만큼 비싼 것도 없을거아는데. 가성비 생각하면 할수있는게 별로 없더라고.
지금와서 후회하는건 행복이란걸 레버리지 삼아서 살았던 나의 삶이지.
잘 모르겠어서 회사왔지만 그때 조금만 더 주체적이었으면 좋았을것같다.
마치 동전넣고 그만큼의 아웃풋이 나오길 기대하며 살았는데 지금은 그렇지는 않아.
나같은 사람들도 있겠지 싶다.
Charles Scott Sherrington*
2019.12.11
회사 다닐때 동료 하나가... 대학 학부 졸업하고 바로 취업했는데.. 입사한지 몇년 안되어.. 인센티브 몇십억원을 받았다.. 박사 출신이 인센티브 몇천만원 받은거 같고 부러워 하면 안돼.. 그 동료는 학부만 나왔는데.. 대학에서 초빙해서 강의하러 가더라..
그리고 석사 2년, 박사 6년... 8년을 들여서 박사 따서.. 과장급 취업되었다고 하면...
학부졸업하고 취업한 사람들.. 보통 사원 3년, 대리 3년.. 6년만에 과장다는데..
그중에 아주 능력있는 애들은 1년에 한단계씩 승진하던데..
불과 3년만에도 과장 다는 사람 있더라..
2019.12.07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대댓글 1개
2023.04.16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8
2019.12.09
2019.12.09
2019.12.10
대댓글 1개
2021.09.14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0
2019.12.11
2019.12.11
2019.12.11
2019.12.11
2019.12.11
2019.12.12
2019.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