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 못 가면 인생 망한다는 글은 아님을 먼저 밝힙니다.
다만, SPK 간판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이유들에 대해 적어봅니다.
당연히 YK, IST, HSS 혹은 그 아래 학교들에서도 우수한 인재가 배출되기도 하고
실제로 HSS 아래 학벌의 학/석/박에서도 교수가 배출되기도 하고
SPK 나와도 대기업 취업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겠죠.
1. SPK 대학원생은 이미 한번 검증된 사람.
SPK 자대생이 아닐지라도, 서성한에서 4.0/4.5 정도 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곳입니다.
입시과정에서 전공지식과, 학부, 학점을 통해 SPK 교수진들에 의해 검증이 진행됩니다.
SPK 대학원 입시는, 왠만한 대기업 입사 난이도와 유사합니다.
따라서, SPK 대학원생을 채용하면 적어도 완전 폭망 할 확률은 없습니다.
2. SPK일수록 대기업과 중요한 과제를 수행
국내 핵심 대기업은 당연히 SPK와 다양한 산학과제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미 해당 기업의 과제에 참여한 SPK 대학원생을 채용하는 것이 성공확률이 높습니다.
한번도 본인 기업과 과제해보지 않은 학생과
꼭 본인 기업은 아니여도, 다양한 대기업과 산학과제를 수행한 학생,
당연히 후자가 우위를 점할 수 밖에 없습니다.
3. SPK일수록 교수진 역시 우위
물론 YK, HSS에도 대가 교수님들이 계시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SPK 교수진들이 대가일 확률이 높습니다.
대기업에서도 대가 교수님들에게는 잘보이려고 노력하는 수준입니다.
SPK 최상위 연구실 학생들은 대기업으로 잘 안가기 때문입니다.
SPK 최상위 랩 인원은 리쿠르팅 대상입니다.
뭐 더 생각나는 이유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우리사회(기업)에서 SPK를 선호하는 이유는 위의 이유들이 있다고 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1.06.16
하나 수정하실 점은 SPK는 인서울 뿐만 아니라 지방대 출신이라도 학점 높은 커트라인 수준에서 뽑아 간다는 것이죠.
대댓글 6개
2021.06.16
맞습니다. 그런데 지방대 출신이면 거의 수석 혹은 차석급에 각종 스펙이 필요하겠죠.
결국 그정도 스펙이면 지방대라 할지라도 국내 대기업 취업 가능성이 일정 수준 있다고 봐야죠.
제 말은 결국 SPK 교수진들의 눈높이와 대기업 채용 담당자의 눈높이가 비슷하다는 겁니다.
SPK 교수진들이 OK할 학생이면, 대기업 면접가서도 OK받을 확률이 높다는 거죠.
2021.06.16
어딜 가서나 열심히 꾸준히 할 사람인 것은 명확하죠
방탕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06.16
여기서 근데 spk후려치는사람들은 지방대 학점높은사람을 벌레취급하면서 말하는데, 사실상 spk내에 오시면 대부분 자대생+서성한정도의 출신이 대부분인건 누구나 알고있음. 또한 지방대 수석 출신 사람 수준을 본인이 함부로 판단하는것도 사실 웃김. 예로, 저도 연고대 출신이지만 연대 3.0/4.3짜리가 지방대 수석보다 전공지식이 깊다? 절대 동의못합니다. 3.0/4.3애들이 어떻게 공부했는지, 얼마나 아는지 제 경험상 아는데, 연고대출신이 머리는 좀더 좋을순있지만, 함부로 지방대 수석의 전공수준을 폄하할수는 없습니다. 본인이 spk대학원생이라고 비 spk보다 본인이 우월하다고 생각하는것도 한심하지만, 반대로 비spk가 spk깔때 항상 인용하는 '지방대출신 spk대학원생'도 한심해요.
방탕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06.16
본인들 논리대로면, 제 주변에 있는 인하대/아주대/충남대 학부출신에 카이스트 석박하고 spk 교수하시는분들의 수준을 단순히 학부타이틀로 깔수있겠나요. 반대로 비spk출신 학석박에 메이저대학 교수하시는분들을 spk 대학원생들이 대학원 간판으로 수준을 논할수있겠나요. 결국에는 본인 하기 따름입니다. 학부타이틀이든 대학원 타이틀이 조금 도움이 될순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본인이 해당필드에서 월등하게 잘하면 아무런 문제 없습니다. 본인 실력에 자부심이 없으니, 그놈의 학부나 대학원 타이틀로 서로 비방하는거죠.
2021.06.16
말씀대로 저는 지방대 출신 인원들이 더 대단해 보일 때도 있습니다.
왜냐면 그들은 주변에 SPK 진학하는 선배나 동기도 거의 없을텐데
아무런 정보도 없는 상태에서 최선을 다해 학점 관리하고, 스펙 쌓아서 진학하는 경우죠.
그리고 왈가왈부 할 게 없는게
이미 SPK 교수진들이, YK, HSS 탈락자들보다 그 지방대 합격자를 높게 쳐줬다는 건데
기껏해야 대학원생들이 그래봤자 지방대~라고 하는게 우습죠.
이미 그 지방대생은 고등학교 때 성실하지 못했던 부분을, 대학교 4년간 노력해서 따라잡은 거라 봐야죠.
2021.06.16
스스로 위축 될 수 있을텐데도 SPK에 도전하는게 멋집니다
2021.06.17
삼성전자 S급인재 분류기준보면 학벌이 SPK (타대출신 석박도 고려대상)나왔거나 미국 탑 30 대학교더라구요.
대댓글 2개
2021.06.17
언제적 소리를... 요즘 프레시박사에 S급 인재 달아주는 대기업 없음. S급 대우 받으려면 경쟁사(삼성 기준 인텔이나 애플 등) 시니어급이나 언급된 학교 교수여야함.
화난 피보나치*
2021.06.17
윗댓님이 생각하는 S급 인재와 삼전에서 이야기하는 S급인재 분류는 다른 겁니다.
님이 말하는건 임원(상무)로 오는 급이고, 위 댓글 이야기하는 S급인재는 고과, 처우 등에서
혜택받는 인재 풀을 말하는 겁니다. 현재도 그런 분류 존재 하고요.
다만, SPK는 이젠 존나 많기 때문에 SPK 나왔다고 S급 인재 시켜주진 않습니다.
SPK 인데 그쪽 분야에서 좀 유명한 사람이면 몰라도요.
튼튼한 르네 데카르트*
2021.06.17
아주 많이 이전으로 올라가면 지거국 대학원 출신이면 그 지거국 출신 교수도 되고, 조금 더 올라가면 연고대 대학 나온 우수한 애들도 별 생각없이 자대 대학원 가기도 했음. 근데 세상이 가면 갈수록 양극화가 심해져가서 우수 인재가 조금이라도 자기 이득을 생각해서 더더 상위권 대학으로만 몰림. 난 개인적으로 조금 더 세월이 흐르면 사람들이 SPK에서 SK 어쩌고 하고 있을 듯. P는 지방의 본질적 한계와 사기업을 뒷배경으로 두고 있는게 큰 한계. 우리 과 교수들도 P에서 SK로 지금도 간간히 옮기고 있음. 근데 P대학의 교수들이 S대학의 교수보다 나중에 별로일거냐.. 솔직히 난 그때도 그닥 차이는 없다고 봄. 그때가 되면 S대학 임용 교수들이 스펙이 조금더 화려해지겠지만 그래도 연구 능력의 차이는 별로 없다고 생각함.. 근데 대학원 생들은 S쪽으로 몰릴걸. 지방공동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그리고 교수는 우수학생 애들이 많으면 논문 실적이 잘 나올 수 밖에 없음. 그럼 그 사람들은 대가라 불릴거고.. P대학 사람들은 걍 분통만 터트릴거고.. 지금 흘러가는 대로 가면 뻔함. 지금 우리과는 S대학의 어떤 교수는 제자가 50명 잇다. 제자 이름도 아마 잘 모를걸? 근데 거기 제자들은 다 S대학 간판 땃다고 만족하고 살겠지. 아니 사실 S대학 대학원 정원 자체가 예전에 비해 3배가 늘어낫어. 난 개인적으로 이렇게 인재들이 특정대학으로 몰리는게 우리 나라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거라고 생각함. 한명의 교수가 아무리 우수해봣자 그많은 제자를 다 케어한다? 말도 안되는 얘기. 요즘 사람들은 점점 능력주의를 선호하고 간판을 조금 더 좋은 데 딸려고 난리고.. 이런 사회에서 우리나라는 가면 갈수록 폭망한다고 봐야함.
대댓글 6개
2021.06.17
언급한 이유들로 인해서, 이미 교수들 사이에서는 SPK가 아니라 SK라고 이야기 함. P는 지역적 한계와 재단의 문제 등으로 SK 심지어 Y로 교수 많이 빼았기고 있음. 점점 시간이 갈 수록 서울 집중화가 심해지는 듯.
슬기로운 마키아벨리*
2021.06.17
P는 이제 안되는거야?? 나 P붙었는데 ㅠㅠㅠ 그러지망 ㅠㅠ
부지런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1.06.17
재단문제같은 소리하네 포스코가 이번에 주가떡상으로 돈 얼마나 많이벌었는데 뭔 정성스래 개소리를
2021.06.17
구글가서 ‘포스텍 기부채납’ 검색해보세요. 몇달 전에 난리가 났었는데 모르시군요
부지런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1.06.17
포스텍이 예산딸려서 그 이야기가 나온게 아니고 카이스트보다 규모가 작은탓에 사업이 늦어지니깐 (ai대학원 k보다 반년 늦게 설립)해결방안중 하나로 논의된거지 그게 실행됐냐? 포스텍은 인원수에 맞게 전체 예산이 카이스트 딱 3분의 1이다
튼튼한 르네 데카르트*
2021.06.17
맥락이 P를 비하하는 것처럼 보이나? 단지 P도 능력주의의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예시를 든거지. 사실 S랑 K도 충분히 그럴수 잇어. 뭐 나중엔 세계적 대학이 우리나라 진출하고 그런데에서 앤드류 응처럼 유명한 사람 온라인 강의 틀어주고.. 그런식으로 운영할 수도 잇잖아? 사람들은 단지 더 반짝반짝 거리는 네임벨류만 원하지 진짜로 거기엔 뭐가 잇는지궁금하지 않으니깐. 대충 뭐라도 만들어지면 언제든 S든 K든 버려질 수도 있는거지.
2021.06.17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ㅆㄹㄱ
침착한 척척박사*
2021.06.17
간판 중요하죠 그 이하 대학 출신이 해봤자 뭐 얼마나 하겠어요
2021.06.17
HSS 학부.대학원생인데 PK붙었는데 몸에 질병이 있어서 무리하게 연구할 수가 없다고 판단해서 자대대학원가서 성실하게 밤은 안새면서 연구중입니다. 뭐 SPK생보다는 떨어질 수 있겠지만 저는 행복합니다. 그럼된것아니겠나용..
2021.06.16
대댓글 6개
2021.06.16
2021.06.16
2021.06.16
2021.06.16
2021.06.16
2021.06.16
2021.06.17
대댓글 2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대댓글 6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대댓글 1개
2021.06.17
2021.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