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이공계 재학 중이고 소위 말하는 유학이 그나마 수월한 전공 중 하나임(화학/화공/재료)
이제 3학년으로 복학하고 학점은 솔직히 썩 좋지는 않아요... 솔직히 공부 열심히 안했어요 2학년 때 재수강으로 어느정도 메꿨는데도 3중반에 4.3 정도인데 확실히 공부 의지 자체는 전역하니까 더 생기는 거 같아요 지금도 틈틈이 전공 공부중이고
아마 유학 도전을 한다면 바로 칼복학해서 4학기 마저 하고 석사까지는 자교에서 할 것 같아요(현역+빠른x, 조졸x라 25살 2학기에 입학해서 27살 1학기에 졸업하고 바로 유학 가능한데 초과로 1학기 더 하고 그 후년 전기입학 할 가능성도 있네요)
일단 입대 전에는 막연히 전문연 노려봐야지하고 있었는데 군대 해결하니까 유학이라는 선택지가 더 생겨버린 느낌임
내가 각각의 특징을 생각해봤는데(정확한지는 모름)
자교 석박통합
- 전문연한 친구들에 비해 2~3년 정도 날림
- 익숙한 환경에서 박사학위까지 가능
- 인건비랑 생활비 고려하면 유학에 비해 돈이 덜 나간다고 봄
- 유학보다는 일찍 학위 취득할 가능성 크다고 봄
- 포닥하게 되면 무조건 해외포닥 할건데 미박보다는 구하기가 좀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
- 수직적인 문화??
미박 유학
- 낯선 환경, 언어적으로 한국보다는 불편
- 보통은 풀펀딩이 나온다고는 하지만 감안해도 돈이 더 나간다고 생각함
- 자교에서 석사를 마치고 나오게 되면 취득나이가 자교보다는 늦을 거라고 생각
- 낯선 환경=새로운 환경에서 열심히 적응하려 노력하면 더 넓은 식견을 얻게 될거라는 기대가 있음 한국 토박이라 환상도 있었고...
- 군필이 가질 수 있는 선택지...(솔직히 군대 해결했는데 국박 가는게 좀 저로서는 아까운 느낌이 있어요 전문연 도전한다고 붙는다는 보장은 없겠지만)
- 포닥을 하게 된다면 무조건 미국에서 할 예정인데 먼저 나와있으면 적응에 유리할 거 같다는 생각
제가 외로움을 아예 안 탄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지만 거의 안 타는 성격이라 유학도 선택지에 두고 고민하는 거 같아요...
참고로 저는 정출연 연구직으로 입사하는 게 목표입니다... 교수는 바라지도 않아요 인구도 급격히 줄고 있기도 하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방탕한 백석*
2021.06.30
좋은곳에 기회가 되면 도전해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유학이 무조건 좋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대가랩이나 누가들어도 좋은학교에 있으면 논문작성만 해도 지금보다 더 좋은 기회들이 왔을것같다 생각합니다. 나중에가면 느끼시겠지만, 논문작성 특히나 NCS정도 되는곳 쓰시려면 지도교수 네임밸류도 의외로 중요해요. 저는 전문연 메리트받고 빠르게 박사학위받고 해외포닥 준비중이지만, 말씀하신대로 해외포닥에서도 유리한 면이 있을수도있겠고요.
IF : 1
2021.06.30
관악S에서 유학을 생각하는 분이면 여기 김박사넷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얻기는 어려워요 (왜 그런지는 게시판 글들 2-3페이지만 보면 알거구요). 정출연 현직분들, 교수님들이 계시는 하이브레인넷이나 고우해커스로 가서 문의를 하는게 좋을 겁니다. 그리고 유학 간, 혹은 갔다 온 선배들에게 직접 물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6.30
고우해커스는 애초에 유학 간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보니 일부러 글 안올렸네요 감사합니다...
진지한 니콜라 테슬라*
2021.06.30
여기는 김학사넷..
2021.06.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7살 석사 졸업이 가능하다고?
대댓글 3개
2021.06.30
군휴학을 3학기만 하고 바로 칼복학할 예정이라 이론상 가능할거같아요
2021.06.30
원래보다 1학기 땡겨 졸업할 수 있는거니까요
2021.06.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갈수만 있다면 미국이 좋음. 힘든일도 많겠지만.. 왕관을 쓰려는자, bear the weight
귀여운 쿠르트 괴델*
2021.06.30
쓰신 말씀 대부분 맞는데, 미박이 국박보다 돈 많이 줘서 경제적으로 풍족합니다.
대댓글 3개
2021.06.30
아 그런가요 미국이 물가가 훨씬 비싸다고 알고있었는데
귀여운 쿠르트 괴델*
2021.06.30
보스턴 기준 박사 1년차 연봉 3.7만불 정도 합니다. 물가가 아무리 비싸도 렌트만 싼 곳에 살면 풍족합니다.
심심한 마키아벨리*
2021.07.01
난 캘리인데 월세 200만원.
월세 내고 아껴쓰면 그냥저냥 살 순 있음.
2021.06.30
자대에서 박사하고 포닥갈 때 중요한게 교수의 인맥 + 실적 두개임. 서울대에서 박사하고 좋은 대가 밑으로 포닥 가는 경우 상당히 많은데 보통 그 사람과 교수가 이미 알고 있는 경우가 많죠. (교수가 그 방에서 박사나 포닥을 했음.)
자대에서 진학하고자 하는 연구실 졸업생이 어느 곳으로 지난 5년간 포닥을 갔는지 꼭 확인 해보세요.
대댓글 3개
2021.06.30
그렇군요 저도 석사는 자교에서 하고 싶어서 자대 연구실 알루미는 다 뒤져봤던 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유학 준비하게 된다면 교수님들이 석사를 받아줄지는 의문이네요 ㅜㅜ to는 있지만 컨택이 어떨지
2021.06.30
다 컨택하시고 좋은 답장을 받을 수 있길 기대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아니라면 학부 연구생으로 3, 4학년 빡세게 구른 다음에 바로 미국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본인이 마음만 먹으면 길은 찾아보면 많습니다.
유학가기로 마음 먹은 이상 학위 받기 전까지 가시밭길은 각오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유학이라는게 의미 있다고 봅니다.
2021.06.30
일단 제가 어떤 선택을 할지 모르니 학점도 빡세게 올려야할거 같네요 ㅜㅠ 답변 감사합니다
심심한 마키아벨리*
2021.07.01
결론적으로, 유학을 고려하고 계시기 때문에 학점은 무조건 졸업 때까지 최대한 끌어올리셔야 할 거 같아요.
대학원 탑스쿨에 지원하는 전세계 사람들에 비하면 지금 낮은 편이기 때문에 학점에 집중하시고, 석사를 자대에서 하신다면, 전공도 화학/화공/재료이기 때문에, 1저자 하나는 꼭 쓰시고요.
그다음은..운.. 굿럭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7.01
탑스쿨은 노양심이고 밑분말대로 20위권만 가도 좋겠네요
2021.07.01
S이면 top20내권 아니면 안가는 게 추세처럼 보입니다. 잘 생각해보시길.
대댓글 1개
2021.07.01
저도 top30을 마지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2021.07.01
정출연을 목표로 하신다니 하나만 남기자면, 연구 분야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정출연은 특히 논문 실적이나 학벌이 조금 떨어져도 직무에 맞는 사람을 더 우선시 하거든요. 연구 분야를 꼭 잘 고르시길 바랍니다 ㅎㅎ
2021.06.30
2021.06.30
대댓글 1개
2021.06.30
2021.06.30
2021.06.30
대댓글 3개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6.30
대댓글 3개
2021.06.30
2021.06.30
2021.07.01
2021.06.30
대댓글 3개
2021.06.30
2021.06.30
2021.06.30
2021.07.01
대댓글 1개
2021.07.01
2021.07.01
대댓글 1개
2021.07.01
2021.07.01
대댓글 1개
2021.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