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생각하기엔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 코딩실력을 높여서 도메인에 적용하기 쉽게하는 것과
- 수학 및 통계를 깊이 이해하여 성능을 높이는 것
이렇게 예상합니다.
혹시 기타 다른 의견이나 어떻게 공부 가닥을 잡으면 좋을지 말씀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우아한 버지니아 울프*
2021.07.15
교수님께 여쭤보세요. 인턴 중이시거나 다니고 계시다면 현재 학생 상태에 맞춰서 알려주실 겁니다.
대댓글 5개
2021.07.15
... 교수님 생각보다 제 생각대로 살고 싶어서..
그럼에도 묻는 이유는 더 좋은 방법이 있거나
아니면 저 두가지 중에 조금 더 구체적인게 있지 않을까 해서 적어봤습니다.
답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아한 버지니아 울프*
2021.07.15
저도 다른 학생들에게 AI 분야를 권유하거나 같이 연구를 하는 입장인데, (저도 같이 연구하지만) 어떤 사람과 몇 번 연구를 해 보면 이 학생이 어떤 분야를 하면 잘하겠다, 어디는 잘 핏이 안맞겠다 라는 걸 어느 정도 (편견이 섞였겠지만) 알 수가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생판 모르는 게시판에서보다는 그래도 자신을 잘 아는 분들께 여쭤보는 게 좋지 않나 했습니다.
지금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각각 다른 조언을 하고 있습니다.
2021.07.15
ㅋㅋㅋ 사실 연구실에서 저만 cs전공인데
다들 코딩에 미쳐 있다는 느낌이 들어서요.
제가 보기엔 그냥 요구사항만 잘 정리하면
코딩은 그렇게 어렵지 않은거 같은데..
(텐서플로니 파이토치니 다 라이브러리 땡겨 쓰는거 같아서)
다들 기본 베이스는 안하고 코딩에만... 집중하는거 같아서 한참 생각해봤습니다.
도메인 마다 입력특성이 다르니까 그거만 맞춰도 먹고 살기엔 지장은 없겠지만 ...
그럼 재미가 없을거 같고...
재미를 찾으려니.. 너무 수학이 버거워서..
우아한 버지니아 울프*
2021.07.16
AI 랩에서 (특히 논문 잘 안나오는) 많이 발생하는 상황인데 수학 피하려고 코딩 열심히 하는 척하는 모습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작성자님께서도 거기서 완전히 벗어나진 못하고 계시다고 하고 있고요.
교수님께 문제를 할당받은 뒤에 거기서 파고들 점을 찾는 데에 집중해보세요. 코딩과 수학은 모두 그 도구입니다.
2021.07.16
딥러닝 프레임워크가 있기 때문에 뉴럴네트워크 코딩이 쉬워보인다는 말은 동의하기 어렵네요... 뉴럴네트워크의 복잡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임의의 딥러닝 모델에 대해 논문만 보고 official implementation과 대동소이한 구현이 되는 사람 생각보다 많지 않을 듯 하네요.
2021.07.15
교수님 생각보다 자기 생각으로 살고싶다는데 여기엔 왜물어봄? ㅋㅋ 자기생각으로 살고싶으면 스스로 생각해서 판단하세요
대댓글 2개
2021.07.15
네 의견 감사합니다.
2021.07.16
ㄹㅇㅋㅋ
2021.07.16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저는 우선은 어느 정도 코딩 실력부터 기르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수학적으로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라도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해서 실험할 수 있는 능력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어느 정도 코딩 실력이 갖춰진 이후에는 수학 공부를 병행하면 좋지 않나 싶어요.
2021.07.16
수학이 코딩보다 더 중요하긴 하지만, 코딩이 안 중요한것도 아니고 코딩을 등한시하는 것의 논리로 적용시켜서는 안 됩니다. 저는 약간 그렇게 느껴지네요. 연구실 사람들은 수학을 등한시하고 코딩에만 들이파는 것을 글쓴이님이 비판조로 이야기하듯, 제가 보기엔 글쓴이님은 코딩을 등한시하는 근거로 수학의 중요함을 이용하는 것처럼 느껴지네요.
2021.07.15
대댓글 5개
2021.07.15
2021.07.15
2021.07.15
2021.07.16
2021.07.16
2021.07.15
대댓글 2개
2021.07.15
2021.07.16
2021.07.16
2021.07.16
대댓글 1개
2021.07.16
2021.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