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트 서서히 녹아내리고 있는거 보면 유니스트도 온전치는 못할거라 생각되는데 실적은 계속 좋아지고 있으니 궁금하네.
지스트 몇년전만해도 괜찮았는데 요샌 많이 내려간듯...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너그러운 노엄 촘스키*
2021.07.27
유니스트가 내부적으로 좀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긴 함.
대학원생 수가 최근에 좀 감소하고 있고, 교수 뽑기가 좀 힘들다고. 뽑아놓으면 재임용 탈락하거나 타대학 이직 하는 경우 많고.
카이스트급으로는 안될 거 같음. 지역적인 한계도 있고.
대댓글 2개
2021.07.27
그나마 성공적으로 평가받는 유니스트도 이런데, 한전공대 미래가 훤히 보이네요.
2021.07.27
유니스트가 교수인재풀은 동급대비 진짜 장난아니었는데. 고충이 있구만...
2021.07.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전공대는 잘못 기획된 실패작이라고 평가되고 있는데 미래는 그저그런 지방대로 갈것같음
대댓글 1개
2021.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나라도 한전공대 갈 바엔 디유지 아니면 인서울감
2021.07.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니스트는 지금처럼 교수풀이 좋으면 ㄱㅊ을듯함. 서울사는 사람도 지금 교수보고 내려오니 교수 퀄리티 유지에 생사가 달릴듯
대댓글 2개
2021.07.27
처음에 실적좋은사람들이 유니스트로 끌어모으는건 가능한데, (조교수 초봉기준으로 보면 사실상 거의 최고대우니) 유니스트내에서 잘한 교수가 상위권 교수로 옮기는건 막기 힘듬. 연고대뿐아니라 서성한만 되도 서울권 매리트때문이라도 굳이 서울대면 몰라도 카이스트/포공으로 옮기는 케이스는 적은데, 유니스트는 그런 매리트없이 단순히 인건비 매리트 하나뿐이니.. 명예도 사실상 종합대학만큼 높을수도 없고요. 결국 교수로만 의존하는게 아니라 학교자체가 누가들어도 괜찮은 학교가 되야지 교수진을 유지할수있음. 아니면 spk뿐 아니라 인서울상위권으로 교수가 옮기는걸 절대 막을수없음
2021.07.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예전부터 교수이직은 유니스트의 이슈였고 지금도 유출 계속 당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퀄리티는 유지중. 지금까진 방어 잘하고있긴함.
교수 유출해도 새로뽑은 교수가 잘커준면도 있음.
지금 남은 대가급 교수님도 석교수님 백교수님 김교수님 조교수님 등등 말만해도 입아프다.
온화한 장자크 루소*
2021.07.27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되니 전망이 밝진 않죠 (포스텍도 뚜렷하게 서울대 카이스트에 비해서는 선호도가 낮으니..)
다만 같은 이유로 정부 지원은 앞으로 더 크게 받지 않을까요? 울산의 그저그런 국립대로 남을뻔한 대학을 QS 150위권까지 끌어올렸으니 그 전략대로 계속 가야죠
교수 연봉, 학생 복지를 최상위급으로 유지하면서 근교 개발, 도시권과의 연결성 강화 등등이 필요해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7.16
서울 대란이라 포스텍만이 아니고 카이스트도 확실히 선호도 떨어지는듯
2021.07.27
유니스트의 교수 이직은 예전부터 학내에서 중요한 문제였고 완벽히는 아니더라도 억제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높으신 분들이 아무것도 안했지. 여기선 오지라고들 하지만 막상 살아보면 살만하기도해서 여전히 좋은 교수들 많지. 그리고 교수들 자리 옮기는게 그렇게 간단한 문제만은 아니라서, 여기서 말하듯 실적 좋다고 그냥 막 갈 수 있는 것은 아니지.
대댓글 4개
IF : 1
2021.07.27
진짜 살만하세요? 저는 본가가 구영리인데 고등학교때 평생 소원이 서울에 있는 대학가서 오지 탈출하는거였는데.. 그래서 집앞에 있는 유니스트 붙었는데 바로 서울로감.. 울산안에서도 많이 시골이잖아요 삼산동 버스타고 갈려면 한시간반정도 걸리는데
IF : 1
2021.07.27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서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건 좋은것같기도 하지만.. 근데 진짜 고등학교때 한번씩 유니스트 가면 막 뱀허물 나오고 아침에 ubc 뉴스 보면 유니스트 캠퍼스에 멧돼지 나온거 나오고 그랬는데
2021.07.30
헤르츠/ 살만 하던데요? ^^ 사람마다 추구하는 생활 방식이 많이 다르니까요. 지금은 거기 안살지만 눈감으면 그 동네 구석구석 생각나고 그때가 그립기도 하네요. 청학동칼국수 맛있었는데...
2021.08.26
집돌이에 아싸면 살만하지 ㅋㅋㅋㅋㅋ난 강남사는데도 대학교 집 대학교 집 이 루틴에 동아리 해도 딱히 흥미가 일시적이고 게임하는게 가장 재밋고 가끔 동네친구랑 밥먹는거말곤없는데 ㅋㅋㅋㅋㅋㅋㅋ
2021.07.27
근데 진짜 유니스트 너무 외딴곳에 있긴 하더라.. 카이스트, 포항공대도 촌구석이라고 자학개그 했었는데 거긴 진짜 심각 그 자체임. 물론 정말 밥먹고 연구만 하겠다 하면 최고의 환경임, 옆에 식당이라 할만한게 2,3개 밖에 없었던것으로 기억함
2021.07.28
유니스트는 첫 단추를 잘 꿰어서 앞으로도 잘 갈것으로 봅니다.
2021.07.28
지방대로 갈 듯.
2021.07.28
이스라엘이 아무리 인재유출 심해도 결국 미국인맥이라는 형태로 자산이 남듯, 유니에서 서울로 인재유출이 많아도 결국 그게 무형의 자산으로 남을듯요. 지금 뛰어난 교수들이 있다면, 그건 어디 가는 게 아니잖아요?
2021.07.28
UNIST 위치가 울산이라는 것 말고 산에 있다고 태클 거는 사람은 도대체 무슨 마인드로 대학원 가는 거죠??ㅋㅋㅋ UNIST 캠퍼스 시설들 보면 그런 말 안 나올 거 같은데.... 개인적으로 UNIST와 울산대학교 두 학교가 엄청난 발전을 하고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이공계 분야에서.. 울산시 자체에서 공학 쪽으로 많이 지원해주다보니 학교 자체로 얻는 지원 외에도 그런 부가적인 지원까지 해주니 연구 발전이 엄청 빠르다는 생각이 드네요. 당연히 위치가 서울권이 아니니 지리적 문제는 있겠지만 그렇게 따지면 포항공대는?? 위치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아직 미래를 판단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생각이 드네요. 고작 이제 15년 정도 된 과학기술원인데.... 2030년은 되봐야 답이 나올 듯 싶네요. 개인적으로는 당연히 spk급은 힘들겠지만 현재 위상은 유지 또는 조금 더 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댓글 3개
2021.07.29
울산대는 왜 갑자기?
2021.07.29
울산시에서 두 학교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거 같고 두 학교 순위가 최근에 많이 오른거 같아서요
2024.07.16
유니스트는 솔직히 인정하는데 울산대는 좀 ㅋㅋ
2021.08.26
여기서 유니스트 지나치게까는사람들 많은데 아직 인서울 중위 4초반학생이 진짜 객관적으로 볼때 랩 좋으면(연 평균 IF10이상 저널 막찍어내시는분) 갈만하다고봄. ky ssh는 이정도 성과나는 랩은 자대생으로 꽉차고 우리같은 타대 옮기는 마당에서 보면 오히려 실적 더 좋은분도 유니에도 많이있음. 그래서 사실 연고 서성한은 입시리스트에 안넣었고 서,카,유 까지만 지원했음. 현재 상황은 카는 서탈 서는 컨택성공후 면접대기중 유니는 합격임. 보통 내 주위 연구자 선배들이 (친척 포공나오고 키스트에 계심) 유니 많이 추천해줬음.
2024.07.16
유니스트는 그래도 지스트 디지스트처럼 추락은 안할듯 보면 과기원 치고 아주 탄탄해보임 지스트 디지스트도 통합하면 많이 좋아질지도
2021.07.27
대댓글 2개
2021.07.27
2021.07.27
2021.07.27
대댓글 1개
2021.07.28
2021.07.27
대댓글 2개
2021.07.27
2021.07.27
2021.07.27
대댓글 1개
2024.07.16
2021.07.27
대댓글 4개
2021.07.27
2021.07.27
2021.07.30
2021.08.26
2021.07.27
2021.07.28
2021.07.28
2021.07.28
2021.07.28
대댓글 3개
2021.07.29
2021.07.29
2024.07.16
2021.08.26
2024.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