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올해

2021.08.05

11

2944

기존에 인력양성 사업은 원래 교육부만 하던거고 (BK21) 나머지는 인력양성이라고 이름은 붙여뒀지만 3책 5공 포함시키고 해서 좀 제재를 걸었거든..

그런데 코로나 이후에 실업자 쏟아질 것 같으니까 혁신법에다가 산자부 보건복지부등 여타 인력양성도 다 3책 5공 면제시키고 산자부 에기평 산기평 등과 빅데이터 혁신 공유대학 같은거 만들어서 큰 인력양성 사업 만들어서 전국적으로 거의 흩어 뿌렸어.

이게 이제 20대 청년실업 쏟아질것 같으니까.. 일단 대학원에 잡아두라고 뿌린거다. 백수로 시간 보내는 것보다는.. 코로나 때 대학원에 있어서 뭐라도 배워두고 하면 그나마 좀 나으니까.

미국이 예전에 CC라고 Community College에 왜 국민세금 투입하냐고 뭐라 할때 (미국은 기본적으로 사립대 전통이라 대학교육에 세금 내는거 엄청 반발이 심함) 거기에 넣는 세금이 걔들이 대학 안나와서 범죄율 올라가면 교도소 유지비용이 더 들어서.. 라고 반농삼아 도는 얘기가 미국에선 유명한 얘기인데

지금 사실 공대 대학원 특히 빅데이터 자율주행 탄소중립.. 이런 키워드 만들어서 인력양성 전국단위로 뿌리는게 크게 다르지 않음. 그런데 내가 정책입안자여도.. 다 대학 졸업시켜 백수만드는 것보다야.. 대학원 교육 시켜두는게 더 미래는 있을거 같거든. 인건비도 좀 주고.. 그리고 교수들은 일단 사업가져오면 실적이 되니까.. 물론 하다보면 좀 행정일 부담같은게 크긴 하겠지만 교수들이야 그게 직업이고.

그리고 사업관리기관에서 계속 기업매칭 시켜서 니들 대기업 아니더라도 취업해라.. 여기에 가서 현장실습해라 계속 푸쉬하고.. 그 중에서 적성 맞으면 박사도 가고.. 뭐 그런거지. 그래서 아래 글 보니까 학문 뜻 없으면 대학원 가지 말라는데 그거는 반만 맞는 말임. 이제는 학문 생각 없어도 석사후 취업할려 해도 대학원 가라. 그게 인력양성 사업 취지야. 그리고 공유대학 이라고 해서 이제 대학원간에 교류프로그램 하는 것도 다 하라고 하는건데.. 이거야 당연히 대학(원) 구조조정 대비하는 프로토타입같은거지. 이건 교육부 의중이고.

그리고 그 인력양성 하면서 머신러닝 공부도 좀 하고.. 자율주행 하는 사람들 강의도 좀 듣고하면서 뭐 완전하진 않겠지만 좀 신산업에 적응도 하고. 교수들도 공부도 좀 하고. 뭐 기존에 자동차 하던 사람들은 내연기관 하던 사람들이지만.. 이제 전기차/자율주행 뭐 그 사람들도 (교수 포함) 공부해야 미래가 있을거 아냐. 그러니까 자꾸 유도하는거지.. 그래서 난 이런 기회는 취업용으로라도 활용하는게 맞다고 봐. 다만 가서 너무 배째는건 진짜 시간 낭비고 가면 좀 능동적으로 참여해. 그래도 지자체에서 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보다야 대학원에서 돌리는 인력양성이 10배쯤은 내실이 있으니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칠칠맞은 프란츠 카프카*

2021.08.05

본글을 보니, 아랫쪽 대학에서는 잘하면 취업하고 도피성으로 대학원 간다는 인식이 아직도 남아있나 보네요. 상위권 대학에서는 그 반대입니다.

대댓글 5개

2021.08.05

요즘 대학원생 입학하는애들 보면 수준 떨어짐

똑똑한 애들이 석사까지만 하고 튐 보통 (SPK) 가끔 박사하는 애들 있긴한데 수준떨어진건 확실

2021.08.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 졸업하신지 오래되신듯
대학생 대학원생 할것없이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학생들 예전에 비해 하향평준화 심각합니다.
칠칠맞은 프란츠 카프카*

2021.08.05

대학 커리큘럼과 참여수준이 예전과 차원이 다른데, 학생 수준이 높아지면 높아졌지 낮아졌다는 근거가 어딨나요? 전 EE/CS 양쪽에 발 걸치고 있는데, 학과 공부에 충실한 정도는 각자 생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누가 보기에는 예전보다 낮을 수 있다는 겁니다) 연구 적합도나 동기부여는 예전에 비해서 요즘 학생들이 훨씬 잘 돼 있는데요.

2021.08.06

카프카님은 ML관련 연구 하시나요? 지금 그쪽에는 인력이 좋은거같습니다. 다른쪽은 개차반이에요.
칠칠맞은 프란츠 카프카*

2021.08.06

아 저는 코어AI를 하고 있다 보니 이렇게 느꼈을 수도 있네요. 타 분야 사정은 잘 알고 있지 못합니다.

2021.08.05

학생 퀄리티야 객관적인 비교야 어렵겠지만 과거에 비해서 교육의 질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는데 동의합니다. 다만 여전히 취업우선인 분위기가 있는 것 역시 엄연한 사실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뭐 있는 대학이 상위권인지 하위권인지는 제가 구분한다는건 우습지만, 저희 애들은 최상위권 애들은 의전원/치전원에 매달립니다. 그 다음은 대기업공기업 취직을 일단 고려합니다. academic 대학원은 우선순위가 좀 뒤인게 현실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8.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도 의사 치과의사 할려는 마음이 있어니까 그런거고 피보기 싫고 환자들 하루 종일 보기 싫어서 의대 안가고 공대로 온 학생들도 많은데....그런애들 최상위그룹은 대학원이 우선이죠

IF : 5

2021.08.05

글을 읽으면서 내각에 교수출신이 유난히 많다는 점이 언뜻 떠오르네요

대댓글 2개

2021.08.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실패작 정책이 마니나옴 이론과 실전은 다름

IF : 5

2021.08.05

그렇다기보다 요즘 저렇게 학계에 돈 모아주는게 맞다면(회사원 나부랭이는 잘 몰라서...) 아무래도 교수출신들이라 더 그럴 수 있지 않나 해서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