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 노동 위원회에 따르면 삼성은 60세까지 고용 연장을 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50세 이상 인원에 대해 대규모 퇴직을 반강제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 그룹 계열사 퇴직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삼성 그룹 퇴직자 1만 2천 315명 중 정년 퇴직은 188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퇴직자 전체 인원 대비 1.5%에 해당하는 낮은 수치이죠.
이런 기사가 있길래.. 물론 그 전에 임원된 사람들은 또 그 전에 퇴직하겠지만 그건 극소수라고 보면..
대충 언제까지 일할 수 있다고 보는게 합리적인지 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IF : 1
2021.08.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임원못달면 50이면 나가야지
2021.08.11
지금20~30대가 50대 되었을땐 저출산으로 사람이 없어서 잘 안자를듯
대댓글 1개
세심한 윌리엄 켈빈*
2021.08.11
이생각도 했지만 사람이 굳이 일을 할 필요가 없을듯
무선사업부 연구개발직군 거의 안뽑고있는 추세라고 하더군요
2021.08.11
걍 진급 라인에서 밀려나갈 뿐이지 50살 이후로도 다니는 사람은 꽤 있는거 같아여. 그래도 최대가 55살 느낌이고... 근데 그 이전에 삼전이 망할수도 있으니
2021.08.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직안하고 다니면 정년까지 갑니다
다른곳에서 좋은조건으로 오라고 하면 언제든 떠나는거죠
2021.08.11
고과 별로면 오래 못다니죠
대댓글 1개
2021.08.11
제도가 몇년전 바뀌어서 사실 NI고과를 주지 않습니다~. 고과 나뻐서 짤리는 경우가 없어졌죠~.
달리는 닐스 보어*
2021.08.11
기업에서 정직원으로 있는 이상 어쨌거나 회사 맘대로 사람을 짜를 순 없습니다. 대신 스스로 나가게 만들 순 있죠. 뭐 회사가 연일 매출 기록 갱신하면 정년까지 근근히 버티는 분들도 계속 젖은 낙엽처럼 살아남으실 수 있지만, 위기가 찾아오면 돌연 나이 많은 분들부터 고과 안 좋은 순으로 나가기 시작합니다. 회사에서 타겟이 되었는데 안 나가고 버티는 사람은 거의 본 적이 없네요. 40대 들어서면서 이제 이 회사를 몇 년이나 다닐까 심각하게 고민하기 시작하고, 40대 후반부터는 떨어지는 낙엽에도 조심하죠. 50대에 이르러서는, 근래 연구소의 경우 외부유입이 아닌 이상 50대에 갓 상무 다는 경우는 오히려 못 봤습니다. 이미 50인데 상무가 아니라면, PL로서 좀 큰 규모의 과제를 운영하며 힘을 과시하든지, 아니면 그냥 쥐죽은듯이 다른 후배 밑에서 삽니다. 52-3쯤 되면, 실제로 그정도 나이에 갑자기 나가신 분을 봤는데, 언제 나가라고 매일 매일 불안에 떨며 살게 됩니다. 근래 2020년까지는 이래왔습니다. 앞으로는 또 어떻게 될지는 두고봐야겠지만요. 중요한건, 삼성은 항상 한 해의 목표를 두고 그 목표 달성을 향해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조직이지만, 그 목표에 비용 절감은 있어도, 직원 행복도나 정년 증가 같은건 없습니다. 즉, 앞으로도 별로 달라지진 않을 것 같긴 합니다.
2021.08.11
미국 기업에선 사람을 짜르는 게 쉽고 (1. 하위 고과 평가 연속 후 개선이 안 될경우 2. 대규모 Layoff) 종종 일어나지만 한국에서는 회사 맘대로 사람을 짜를 수 없습니다. 현재 삼성에선 만 60까지 사실상 짤리지 않습니다. 단 57부터는 임금 피크제에 들어가서 5%씩 연봉이 줄어듭니다. 이런 57 ~ 60 사이에 분들도 꽤 있습니다. 그냥 얼굴에 철판깔면 60까지 다니는게 가능합니다.
더군다나 삼성은 지금은 하위고과를 사실상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과가 나뻐서 나가는 사람도 최근 몇년은 없습니다. 후배 밑에서 일하는 것이나 아니면 자기 스스로 능력이 떨어져서 일에서 배제가 되는 것등에 대한 스스로의 불만이 아니면 60까지 안 짤린다고 봐도 됩니다.
삼성은 안정성 면에서는 높으나, 문제는 임원이 되지 않으면 연봉이 너무 적습니다. 실리콘 밸리나 그런데 처럼 개인이 잘하면 개인 보너스가 오르고 빠르게 승진하는 구조도 아니고 연봉 자체가 수석으로 받을수 있는 최대 한도 까지 올라도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잘 하는 연구자 면에선 안정적이지 않더라도 미국 분위기가 10억배 더 좋습니다.
2021.08.11
2021.08.11
대댓글 1개
2021.08.11
2021.08.11
2021.08.11
2021.08.11
대댓글 1개
2021.08.11
2021.08.11
202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