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진짜 그런 마인드로 교수하면 나라 망합니다.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31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연구실에서 시끄럽게 떠들면 먼저 책상을 내려칩니다.
또 떠들면 컴퓨터를 내려칩니다.
그러면 다시는 떠들지 않더라구요.
비록 저는 퇴학에 구치소까지 다녀왔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빠따가 남았으니까요.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66 - 님은 이미 학벌에 대한 차이를 받아드리고 있기 때문에.. 아마 덧글에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잘 와닿지는 않을꺼 같네요.
학벌이 좋다는 기본적인 머리/지능이 된다 정도의 상관성만 있지 이것만으로 연구의 잘함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다른 변수들이 너무 많습니다.
연구는 수능이나 수학문제 풀듯이 문제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끈기/인내, 멘탈, 사회성 모든게 결합됩니다.
근데 님은 이미 지식과 지능은 정해졌고, 위 학교를 간다해서 본인이 바뀌는건 없고 환경이 바뀌는 정도죠.
즉, SKP로 옮겨도 연구 수준이 올라간다? 그런건 없습니다. 주변 동기/선후배들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는 있어도 위에 말했듯이 학벌 좋은 사람들이라고 연구를 잘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건 랩by랩입니다. 또 학부처럼 수업 수준이 높고 교수님 수준이 높으면 더 잘해질꺼다 그럴수도 있는데, 대학원가서 하는 연구는 강의와 다르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구요, 교수님들 수준도 인서울 내에서는 큰 차이 없습니다.
지금 적으신 글로보면 글쓴이 연구실은 이미 괜찮은 연구실인거 같은데, 이 이상 잘 맞는 연구실을 찾을 확률보다 님이 그 연구실에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논문 추가되는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7 - 님도 똑같이 하셈
쉽게 돈 번다고 생각되겠지만 나중에 인생이 망하는길이란걸 알고 있자나
머가 억울함?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2 - 학부생인데 학부 공부와 연구가 다르다는 것을 안 것부터 좋은 출발을 하신 것 같습니다. 옥상옥 내 위에 또 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위엔 spk가 있고 spk 위엔 미국이 있더라고요. 그래도 요즘 k는 미국에 박사 가신분들 만큼 실적 잘 뽑으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분야마다 다를테지만 제 분야인 cs에선 그렇습니다)
헌데, 저는 k분들은 머리가 좋아서 쉬엄쉬엄하는 줄 알았습니다. 아니더군요. 주말 출근을 기본으로 생각하거나 같이 밥 먹고 커피 마시는 도중 랩탑을 꺼내서 실험 잘 돌아가고 있는지 서버 원격접속해서 확인하는 분들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론 꾸준히 차곡차곡 쌓은 분들이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더 높은 대학 글쎄요... 윗댓처럼 더 좋은 환경이 되겠지만 그 환경에서 적응하는 시간이 더걸리거나 기반을 잡는데 오래걸리거나 자대생들과 비교하면서 스스로를 갉아먹는 분들도 있습니다. 답은 꾸준함인 것 같습니다. 잘할사람은 어딜 가서도 잘하더라구요)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6 - 요즘 k훌리가 많은 듯. S랑 p는 그런거 없는데 의도적으로 k 띄우는 글이 많이 보임.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2 - 교수 욕하는 학생들 중 인성 정상인 사람 없더라. 다 자기 부족함을 교수한테 투영할 뿐.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7 - 교수님이 지도력 없다고 느끼는 이유가 공부 안 해서가 아니라 타분야를 너무 열심히 공부하셔서인거네요ㅋ 그건 절대로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요. 그분은 그냥 정말 공부가 재밌어서 교수하시는거네요. 어떻게 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연구자의 모습과는 조금 안 맞을 수도 있지만... 저는 그런 분이 학생 잘 가르치는 교수는 아닐지라도 좋은 학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궁극적으로 통섭에 다다를 수도 있겠죠. 밑에 있는 어리석은 중생들이 문제인건데 님도 위기 의식을 느끼고 어떻게든 살아남을 길을 찾게 되고 그러면 또 결국 살아남게 되는거죠. 고생은 하겠지만 결과적으로 님은 스스로 살아남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그런건 학생 때 (+포닥 시절) 겪어봐야 되는게 맞고 님의 상황이 결코 특수하거나 문제가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느낍니다. 님 지도교수님이 답없다는 얘기 들으실 분은 아닌 것 같아요. 저는 오히려 더 존경스러운데요.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3 - 이 작은 커뮤니티 글 하나에는 담지 못한 수많은 행적들이 있습니다..
본인 창업에 연구비 재원을 끌어 쓴다든지, 타과 교수들을 지칭하면서 '아마 OO과 교수들은 나처럼 못 가르칠거야'라고 수업중에 비난한다든지, 한 학기 거쳐간 인턴 학생의 창업에 아무 관여도 안했으면서 지분 50%를 요구한다든지...ㅋ
그리고 당장 이 본문의 내용만 하더라도, 교수님이 존경받을 학자의 면모가 나타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지도를 받기 위해 대학원에 들어가지 않나요?
많은걸 알려주진 못하더라도, 본인이 교신저자로 들어간 논문을 학생이 가져왔을 때 하다못해 조언 한 마디, 피드백 한마디라도 해주기는 커녕
그걸 단 한글자도 읽지 않으면서 본인 공부만 하는걸 훌륭한 학자라 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9 - 공채로 임용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뇨... 교수 지원하는사람들 대부분 다 인맥 한가락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사람들끼리 경쟁하는거라 인맥이고 뭐고 없어요 굳이 유리한거라면 자대출신정도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9 - "대부분의 사립대와 버클리, 미시간 등 주립대들은 서울대보다 미박 입시에서 현저히 불리하죠." ?? 전혀 아닙니다.. 버클리 ucla 미시간 일리노이 텍사스 등 메이저 주립대는 mit 하버드 스탠포드 발사대 수준인 파이프라인 학교입니다. 유학을 가보신적은 있으신지 의문이 드는 발언이네요.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9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5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0
Data Science 석사... 뭐가 맞는걸까요
2021.08.12

요즘들어 장래에 대한 불안감이 가중되서 선배님들의 지혜를 빌리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일단 제 소개를 드리자면, 저는 제3국에 위치한 미국 대학에서 전액장학금을 받고 재학중입니다.
좋은 혜택에 좋은 학교라 부모님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드릴수 있다는 생각에 감사히 다녔습니다.
군대 전역후엔 개발보다는 데이터과학에 관심이 생겨서 한국 대기업과 스타트업에서 data engineer 인턴쉽을 하며 경험도 조금 쌓았구요.
이렇게 진출 분야를 정하고 리서치를 해보니 제가 많이 부족하고 데이터 직종은 적어도 석사학위까지 필요하겠다라는 결정을 했습니다.
대외 활동은 거의 없지만 운좋게 기업이 주관한 창업대회에서 우승한 부상으로 큰 테크기업들로부터 인턴쉽 제의를 받기도 했습니다. 여기까지는 그럭저럭 괜찮았습니다.
코로나가 터지자 언급한 인턴쉽들이 모두 취소되고 모든 것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이외에도 소름 돋을 정도로 운이 안따르는 시기가 올해 초부터 계속 되었는데요, 좋은 industry 인턴쉽을 잡았으면 취업 연계가 어느정도 보장되어서 달랐겠지만 현재는 욕심을 버리고 GRE 준비를 하면서 학교 데이터과학 연구소에서 인턴쉽을 진행중입니다.
올해까지 미국, 영국, 싱가폴, 한국 내 여러 대학원에 지원을 열심히 하고 내년 학부 졸업후 바로 석사를 시작하는 것이 일단 지금의 계획이구요.
그치만 흔들립니다... 과연 피 같은 돈 부어가며 석사를 하는게 맞는 길일까요? 석사를 한다면 어느 지역으로 가는게 맞는걸까요...
데이터엔지니어/사이언티스트가 되는 길로 미래를 설계하고 싶습니다.
맘같아선 가족들이 있는 한국에 바로 정착하고 싶지만 도대체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내 커리어를 만들수 있는건지 고민이 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말씀 해주시는 것들을 발판삼아 가닥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길게 설명드린 상황속에 제가 머릿속이 복잡한 이유를 몇가지로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데이터과학 석사과정 투자대비효율
– 돈, 정착 문제, 졸업 후 취업 문제, 교육의 질, etc.
2. 주위 CS 전공자들의 압도적인 개발자 직종 취업
– ‘개발자로 하면 석사도 안하고 바로 돈 벌수 있겠다.. 개발자로 취업 준비해서 돈 벌고 석사 지원할까..’ 같은 생각도 자주 머릿속에 스칩니다.
3.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 미국에선 해외 유학생에게 석사 장학금은 잘 안준다지만 기회가 있다면 잡고 싶습니다. 학자금 대출에 대해서도 무지해서 어떻게 잘 갚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4. 대학원별 석사 취업 연계 프로그램 수준 차이
– 좋은 데이터과학 석사과정의 기준이란? 따라서 좋은 대학원들은 어디인가?
5. 좋은 석사과정에 합격하는 비결
– GRE 점수와 SOP는 아직 준비중이고 학점은 3.75/4.0 유지중인데 어떤게 더 필요한지 의문입니다.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86 91 41506-
138 16 59970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5 39 4587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93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5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3 - 대학원생의 스케줄, 루틴을 이해 못 하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줘야할까요?
28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5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44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3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1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11 - 포카 머리고 연고가도 대가 포닥랩실 가능한가요?
6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25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1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7 - 대학원 인간 관계...
10 - 카이 전산 코테
11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4 -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10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6 - 고민이 있어요..
8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16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10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93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5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3 - 대학원생의 스케줄, 루틴을 이해 못 하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줘야할까요?
28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5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44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3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1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11 - 포카 머리고 연고가도 대가 포닥랩실 가능한가요?
6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67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4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7 - 카이 전산 코테
11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4 -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10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6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16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10
2021.08.12
대댓글 3개
2021.08.12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