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sh 전자과 3학년 생인데 카이 ai 인기랩 (ㅎㅅㅈ, ㅅㅈㅇ 교수님 랩) 에 진학하고 싶은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카이에 있는 형들한테 물어보면 수석 졸업을 하더라도 학벌컷 때문에 인기랩은 커녕 그냥 대학원에 단순 합격 하는것도 만만치 않다는 의견이 많아서 좀 충격인데요. 형들이 전부 전전이고 ai대학원 다니는 분들이 아니어서 정확한 정보는 아닐 것 같아서 김박사님들한테도 좀 물어보려 합니다.
h 전자과 학벌이 성적표만 갖고는 카이 ai 인기랩에 컨택과 합격하는 것이 정말 아예 불가능한 정도인게 맞는지, 만약 그렇다면 논문 스펙을 얼마나 쌓아야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이 부분은 자대 교수님과도 한번 상담한적이 있는데, 좋은 학회에 논문을 내는 것은 현역 박사생애게도 쉬운 일이 아니고 솔직히 말해서 학부연구생에게까지 논문 지도나 서버 컴퓨터 할당을 하주는 것은 어렵다고 하셔서 막막한 상황입니다.
경험과 의견 많이 공유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8개
우아한 유클리드*
2021.08.14
ㅅㅈㅇ ㅇㅇㅎ ㅎㅅㅈ는 자대에서도 가고싶은사람이 줄선랩이라 빢세긴할거야
2021.08.14
AI학과가 생긴지 얼마안돼서 인기랩이라는게 뭔지 모르겠지만, 아마 신생랩 혹은 컴싸등에 원래부터 계시던 교수님이겠죠? 카이스트에 오시면 한양대, 성대 출신들은 정말 많습니다. 아마 모든학과가 동일할겁니다. 학점만 좋으면 입시에서 걸리진 않을것같은데, 원래 랩컨택이 훨씬 어려워요. 자대생들은 URP나 학부연구생하면서 얼굴도장이라도 찍지.. 그마저도 정말 인기랩은 학부연구생으로 뽑히는것도 어렵고요. (간혹 1년동안 계속 학부연구생하고싶다고 어필해서 겨우 된 케이스도있음)
대댓글 1개
2021.08.14
전전에는 형들 정말 많이 계시는데 ai대학원에는 아무도 안계시고, 입학이 많이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특히 인기랩들은 멤버 명단 보면 비skp 출신이 거의 없어서 걱정중입니다.
2021.08.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양대면 가능합니다~
열심히 하세요
대댓글 1개
2021.08.14
ai대학원도 정말 가능할까요…? 저도 전전을 못간다고는 생각 안하는데 ai는 정원이 작아서 그런지 너무 안보여서요.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현역입니다.
카이스트 AI대학원 입시에서 인기랩을 컨택할 때 조심해야 할 점은, 거기서 컨택이 안된다고 다른 랩을 갈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애초에 다른 랩에도 다 다수 인턴이 있습니다.)
대댓글 6개
2021.08.14
ㄴㄴ 뺑뺑이로 AI대학원에 배정해주긴함 제일 인기없는 랩으로 가겠지만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그게 못 간다는 뜻인데요.
2021.08.14
인기랩은 어차피 사전컨택 필수라고 알고있습니다. 컨택안되면 아마 지원 자체를 안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혹시 학부가 비 skp 출신이신지 궁금합니다. 비 skp 한테 ai대학원 입시 난이도가 어느 정도인지, 인기랩 들어갈 논문을 비skp 대학생이 쓸려면 도대체 어디서 연구지도와 연구 장비를 얻어 써야하는지 이런 부분이 너무 막막하네요.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저는 자대 출신이라서 그런 점은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제 생각에는 AI쪽에 좋은 교수님들이 워낙에 많아서, 리소스만 받쳐준다면 타대 학부 인턴으로 / 석사로 계시면서 충분히 좋은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이렇게 말하긴 좀 그런데, 카이스트 AI 정도 되면 학생들이 다 잘해서 집중지도를 못받는데 타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면 완전 애제자가 되실 수 있습니다. (학부생임에도 불구하고)
2021.08.14
혹시 타대 학부 인턴으로 온다는게 무슨 뜻인지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KAIRI 같은 정식 제도가 아니라 비공식적으로 인턴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저는 일단 KAIRI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줄 몰랐습니다... (네... 자대생이라고 정보 밝은 거 아닙니다.)
AI대학원에 비공식 인턴이 꽤 많은데, 여건상 제대로 지도받아서 학부생 때 결과를 내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자대생 입장에서, 학부생이 집중 케어받을 수 있는 랩은 따로 있습니다.) 이건 한양대도 같은 상황일 거기 때문에 위와 같이 말씀드렸습니다.
2021.08.14
아니면 석사는 자대에서 하고 실적잘내서 석박통합 박사과정이나 박사로 지원하는 방법도있음 박사지원시에는 학부 학점보단 연구능력 위주로 보니까
대댓글 1개
2021.08.14
의견 감사합니다. 사실 말씀해주신 방안도 어느 정도 알아보긴 했는데, 일단 자대 교수님들 랩 중에서 좋은 학회에 논문을 쓰시는 분들은 석박통합만 선발하시고 석사만 할 학생은 필요없다고 하셨습니다.
이런 경우 일단 카이 전전에서 석사를 해야할련지, 또 전전에서 석사만 할 랩을 따로 컨택 하자니 그것도 골치 아프고 석사만 하려고 컨택하는 랩의 연구여건이 나중에 박사과정 하고싶은 인기랩의 눈높이에 맞는 성과를 낼 수 있는 수준이 된다고 하면은 굳이 박사할때 또 연구실을 옮길 필요가 있는지… 머리가 아프네요.
못된 알렉산더 벨*
2021.08.14
입시자체는 한양대 수석이면 들어갈텐데 랩컨택은 미리미리 준비.. 개인적으로 카이스트 ai 하계 인턴연구원 뽑을때(이건 과 차원에서 하는거라 교수님들이 맘에들면 타대생도 받을거임 아마) 적극적으로 들이대는게 좋을듯
대댓글 1개
2021.08.14
내년 1학기까지만 다니면 졸업요건을 다 채울것 같아서 내년 6월부터는 아예 연구 여건 좋은 곳으로 가서 지낼 계획입니다.
내년 여름에 인턴을 시작한다고 해도 지금 시점에서 컨택을 하는게 좋을까요? 너무 이른 시기에 연락하면 괜히 안좋은 인상 남길까봐 걱정입니다.
2021.08.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 다이렉트 유학도 있어요
그것도 루트중 하나로 추가해보세요
유튜브 "외길이" 한양대 기계졸하고 다이렉트로 가서 박사마치고 현지근무중인 사람인데 톡이나 메일로 멘토 구할수 있을꺼예요 전 한대출신 아니라도 재미있어서 새거 올라오면 한번씩 봐요
대댓글 3개
2021.08.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튜브에 풀펀딩 받고 간걸로 나와요
2021.08.14
저도 그 분 유튜브는 여러번 봤습니다. 좋은 정보도 종종 올리시고 하는것은 좋다고 생각하는데 그분은 기계과시고 PSU면 입학이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h 출신이 전전이나 ai 전공에서 카이스트보다 연구랭킹 높은 미국 대학 박사과정 입학은 너무 치열해서 유학 입시에 시간 갈아넣는 기회비용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알고있습니다. 저희 과에서 공부 잘한걸로 진짜 유명한 형들 중에서도 유학에 올인했다가 올 리젝 먹으시고 그냥 카이 다니시는 분도있고,, 어쨋든 여러 생각끝에 포닥이면 모를까 석,박사를 유학을 사도하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큰 것 같습니다.
2021.08.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렇군요 카이스트 공대에 한대출신 교수님들중에 MIT 박사하신분도 계시고(기계) MIT 포닥(신소재)하신분도 공대 랩 서치하다가 본거 같아요 포닥도 좋은 방법인것 같네요
상처받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1.08.14
아마 인기랩은 힘드실것같습니다. 그래도 목표가 카이 ai 인기랩이신거 보면 학점이 어느정도 뒷받쳐준다는 이야기인거 같으니 좀 더 이야기를 해보자면. 목표가 '인기랩'인지, 내 관심 분야를 하는 연구실이 인기랩인지 구분을 먼저 하시기 바랍니다. 전자라면 설령 입학한다 한들 성공적인 대학원 생활을 하기 어려울거에요.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지금 글 분위기를 보아하니 인기랩 재학 이라는 타이틀을 중요시 여긴다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전자라면 입학도 힘들 것 같고 입학 후의 생활도 힘들 것 같구요.
후자라면, k뿐만 아니라 spk혹은 yk나 ist의 ai대학원 에서 관련 분야 연구실을 전부 보시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댓글 7개
2021.08.14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다행히 전자 보다는 후자의 이유로 랩을 알아보니까 인기랩이었다고 하는 편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제가 지금 진학을 희망하는 곳은 강화학습이나 그래프 신경망 쪽 연구가 가능하면서, 실제로 해당 분야의 좋은 학회에 논문을 많이 내는 연구실인데 이 조건에 해당하는 곳이 우리나라 전체에서 카이 ai의 인기랩 두 곳 밖에 없다고 판단이 들었습니다.
어렵다고 말씀하셨지만, 정말 두 곳 중 하나에 들어가고 싶은 상황인데 성적 외에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게 뭔지 궁금합니다. 성적면에서는 솔직히 수석이나 차석이 그렇게 중요한건지 모르겠고 (현재까지 평점은 4.2x/4.5 정도 되고, 석차 2% 정도에 해당합니다.) 연구적으로 뭔가 보여줄 수 있었으면 하는데 자대에서 도저히 방법이 없는거 같아서 고민이 큽니다.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카이AI에서 RL이나 GNN이 주 분야인 곳은 다른 랩인데요..?
2021.08.14
실제로 나오는 논문 수와 학회 수준을보면 (제가 잘 아는게 아니다보니 유관분야 선배 형들에게도 많이 물어봤습니다) 오히려 제가 생각하는 연구실들이 말로만 강화학습이나 그래프 한다고 써있는 연구실보다 더 잘하고 열심히한다고 판단했습니다.
2021.08.14
실제로 나오는 논문 수와 학회 수준을보면 (제가 잘 아는게 아니다보니 유관분야 선배 형들에게도 많이 물어봤습니다) 오히려 제가 생각하는 연구실들이 말로만 강화학습이나 그래프 한다고 써있는 연구실보다 여러모로 핏이 맞다고 판단했습니다.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말로만.... 이라
네 알겠습니다. 저는 RL이나 GNN 하는 랩 소속은 아닌데, 어쨌든 컨택 잘 해 보세요.
상처받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1.08.15
아, 혹여나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본문에는 관심 분야 관련 언급이 없어서 섣부르게 판단했네요.
아랫분께서 말씀하신대로 타대에서 카이 ai 인기랩 2곳만 타겟으로 잡는다면 결과를 장담할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아무쪼록 학점관리 잘 하시고 연구실 잘 정해서 지원해보시기 바랍니다. 학부연구생을 할 수 있다면 눈도장 찍을 가장 좋은 기회 중 하나입니다.
상처받은 쇠렌 키르케고르*
2021.08.15
물론 학부연구생을 해당 인기랩에서 하면 베스트겠지만, 그게 불가능하다면 관련 분야 다른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겁니다. 자대에서 하는 것도 괜찮구요.
2021.08.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 ai지원하고, 결과에 따라서 자대ai에서 실적 잘 내고 미 포닥을 생각하는것도 좋을것 같은데요
카이에서 실적낼 사람이면 자대에서도 실적 잘내지 않을까 싶은데요 물론 랩 전체 분위기도 있겠지만 잘하는 사람은 자대에서도 제몫을 해 내는걸 많이 봤어요
대댓글 2개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그건 아닐 겁니다. 분위기 이전에 다루는 토픽의 트렌드가 달라요. 이건 카이스트와 미국 탑스쿨을 비교할 때도 반대 방향으로 마찬가지고.
2021.08.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 친구는 카이 가면 제 몫을 제대로 해낼 학생같이 보이네요
산만한 알프레드 노벨*
2021.08.14
(원글)
====
안녕하세요. ssh 전자과 3학년 생인데 카이 ai 인기랩 (ㅎㅅㅈ, ㅅㅈㅇ 교수님 랩) 에 진학하고 싶은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카이에 있는 형들한테 물어보면 수석 졸업을 하더라도 학벌컷 때문에 인기랩은 커녕 그냥 대학원에 단순 합격 하는것도 만만치 않다는 의견이 많아서 좀 충격인데요. 형들이 전부 전전이고 ai대학원 다니는 분들이 아니어서 정확한 정보는 아닐 것 같아서 김박사님들한테도 좀 물어보려 합니다.
h 전자과 학벌이 성적표만 갖고는 카이 ai 인기랩에 컨택과 합격하는 것이 정말 아예 불가능한 정도인게 맞는지, 만약 그렇다면 논문 스펙을 얼마나 쌓아야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이 부분은 자대 교수님과도 한번 상담한적이 있는데, 좋은 학회에 논문을 내는 것은 현역 박사생애게도 쉬운 일이 아니고 솔직히 말해서 학부연구생에게까지 논문 지도나 서버 컴퓨터 할당을 하주는 것은 어렵다고 하셔서 막막한 상황입니다.
경험과 의견 많이 공유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말로만 연구하는 랩을 꼭 피하라는 의미로 글을 남겨놓도록 하겠습니다.
대댓글 2개
2021.08.14
?
2024.01.03
어휴 찌질하긴 꼭 이런 선배들이 생각보다 본인이 인정 못받는 것 같고 잘 안풀려서 이래요 익명인데 그냥 어려서 잘 모르는구나 넘어가면 되지
걍 신경쓰지 말고 현재 본인의 수준도 한계가 있어서 그 말로만 한다는 연구실들이 내는 학회 수준과 티어들을 잘 모를 수 있어요. k ai면 아무리 못해도 세컨티어 이상은 무조건 내고 있을텐데요 계속 본인 관심분야 팔로업하면서 작은 스케일이더라도 유관실적낼 수 있는 방법을 찾으세요
쇠약한 피에르 페르마*
2021.08.14
대한민국에 있는 수 많은 AI 랩 중에서 단 2개만 타켓팅 한다면 당연히 입학을 장담하기 힘듭니다. 한양대 출신이면 더더욱 그렇고요. 차라리 유학가는게 훨씬 나을듯요. 위에 박사 유학 리스크가 크다고 하셨는데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리스크는 적습니다. 나중에 포닥 유학이나 해외 취업을 노릴때 실패하는게 훨씬 더 리스크가 크죠.
2021.08.14
2021.08.14
대댓글 1개
2021.08.14
2021.08.14
대댓글 1개
2021.08.14
2021.08.14
대댓글 6개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4
대댓글 1개
2021.08.14
2021.08.14
대댓글 1개
2021.08.14
2021.08.14
대댓글 3개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4
대댓글 7개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4
2021.08.15
2021.08.15
2021.08.14
대댓글 2개
2021.08.14
2021.08.14
2021.08.14
대댓글 2개
2021.08.14
2024.01.03
2021.08.14
2021.08.14
대댓글 1개
2021.08.28
2023.03.22